Nortech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CoaXPress over Fiber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CoaXPress는 최근 개발된 카메라 표준이다. CXP케이블 1개당 최대 전송 속도가 6.25Gbps 또는 12.5Gbps이며, 정확한 75 Ω 임피던스를 가진다. 100% 스캔 테스트를 거친 케이블로 Intercon 1 CoaXPress 케이블 에셈블리는 CoaXPress 표준으로 JIIA에 의해 인증되었다. 1990년 설립된 Nortech은 전자 제조 서비스(EMS)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하네스 연결 솔루션, 인쇄회로기판(PCB) 조립 및 수리, 고급 조립 및 시스템 통합 서비스를 포함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산업용 연결 부품 및 케이블을 생산한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
IoT 기반 물류 인텔리전스 솔루션 기업 윌로그가 대전광역시에서 추진하는 의료용 드론 배송 실증사업에 참여한다. 이번 사업은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2025 드론실증도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드론을 활용한 도심 내 실시간 의료물자 배송 체계를 검증하는 프로젝트다. 이번 사업은 혈액, 검체, 응급약품 등을 신속하게 수송하여 교통 체증이나 긴급 상황에서도 의료물자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대전시를 중심으로 국군대전병원, 태경전자 등과 협력하여 추진하는 전국 최초의 의료용 드론 실증사업으로 향후 의료 분야에서 드론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는 중요한 사례가 될 전망이다. 윌로그는 의료용 드론의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하고 혈액·검체·의약품 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모니터링 및 최적화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윌로그의 센서 디바이스를 통해 운송 중인 의료물자의 온도, 습도, 충격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상 징후 발생 시 관계자에게 즉각 알람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혈액 및 의약품이 최적의 상태로 안전하게 운송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윌로그는 지난 2021년 설립된 이후 IoT 기술을 활용한 물류 데
글로벌 풀필먼트 솔루션 기업 오토스토어가 AI 기반 자동화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물류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번 솔루션은 주문 피킹 자동화, 운영 효율성 향상, 유지보수 간소화를 목표로 캐러셀AI™, 베르사포트, 에센셜 소프트웨어 패키지, 확장된 피오 제품군, 서비스타워 등 총 5가지 기술로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캐러셀AI™는 오토스토어가 처음 선보이는 AI 기반 로봇 피스 피킹 솔루션으로 로보틱스 기술 선도기업 버크셔 그레이(Berkshire Grey)와 협력하여 개발되었다. 이 솔루션은 주문 피킹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연중무휴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며 다양한 SKU를 효율적으로 처리해 풀필먼트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기존 오토스토어 고객은 대규모 인프라 변경 없이 캐러셀AI™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 올해 여름부터 글로벌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베르사포트(VersaPort™)는 물류창고 운영의 유연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차세대 워크스테이션 솔루션이다. 다양한 워크플로우와 고객의 운영 요구 사항에 맞춰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창고 관리 소프트웨어(WMS)와 직접 연동해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작업을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다. 2025년 여름 유럽 및 북미 시장
한국플루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정밀 음향 카메라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한국플루크가 소개한 ii910 정밀 음향카메라는 원버튼 캡처와 7인치 터치스크린을 통해 누출 및 부분 방전(PD) 감지를 수행하는 일체형 도구이다. 정밀 음향 카메라는 부분 방전, 코로나 방전, 가스 및 진공 누출을 감지할 수 있다. 해당 장비는 배전 및 산업용 고전압 장비의 검사·유지보수에 활용된다. 또한 추가 도구나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완전한 이동성과 유연성이 제공되어 누출/PD 감지와 누출/PD 작업을 더욱 유연하게 전환할 수 있다. 한국플루크는 1948년 설립된 테스트 및 측정 장비 제조업체로, 전기 설비, 유지보수, 서비스 분야에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본사는 미국 워싱턴주 에버렛(Everett, Washington)에 위치하며, 북
티에스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장시간 녹화용 고속카메라·열화상 카메라·적외선 온도계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티에스텍은 캐나다 MEGA SPEED사의 한국 공식 대리점으로, 반도체, 항공우주, 군사 및 연구 분야에 초고속 카메라를 공급한다. 장시간 녹화용 고속 카메라는 다양한 생산현장에서 장시간 녹화 가능하며, 최대 24시간 주간 고속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전문화된 DVR 시스템 및 이동식 카트를 제공한다. 열화상 카메라의 경우 반도체장비, 변전소, 태양광시설, 철강산업, 로터리킬른, 각종 온도 감시 모니터링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된다. 티에스텍은 온도 측정을 위한 적외선 온도계 및 열화상 카메라, 접촉식 센서인 써모커플 및 RTD 센서를 취급하고 있다. 또한, 온도 검교정 장비인 BlackBody, Dry Blo
생활 반경 내 로봇 연결성 극대화 기대...로봇 통합관제 서비스 제공한다 “스마트싱스 프로 사용자, 별도 로봇 인프라 갖출 필요 없어” 빅웨이브로보틱스가 삼성전자와의 협업을 통한 로봇 통합관제 서비스 공급을 발표했다. 양사는 삼성전자의 인공지능(AI) 기반 IoT 플랫폼 ‘스마트싱스 프로(SmartThings Pro)’에 빅웨이브로보틱스 다종 로봇 통합관제 솔루션 ‘솔링크(SOLlink)’을 연동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협업은 솔링크에 연동된 각종 로봇 모델을 표준화해 제공하는 ‘솔링크 엔터프라이즈 API’를 기반으로 진행됐다. 이로써 주거 공간, 사무실, 빌딩, 상업 시설 등 소재 스마트싱스 프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로봇을 통합관제할 수 있게 됐다. 김민교 빅웨이브로보틱스 대표는 “삼성전자와의 협업을 통해 로봇 활용성을 고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게 됐다”며 “스마트싱스 프로 사용자는 로봇이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것을 경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빅웨이브로보틱스는 이달 12일부터 사흘간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에 출격한다. 이 자리에서 삼성전자와의
자율주행 솔루션, 제어 시스템, 통합관제 체제 등 SW 역량과 로봇 하드웨어 기술 접목한다 클로봇과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제조·물류 로봇 산업 성장과 신규 비즈니스 창출을 위해 손잡았다. 지난해부터 협력 관계를 다져온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시장 확장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클로봇은 자율주행 솔루션, 작업제어 시스템, 통합관제 솔루션 등을 개발한다. 이어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자율주행로봇(AMR) 분야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신규 발굴할 예정이다. 김창구 클로봇 대표는 “레인보우로보틱스 AMR과 클로봇의 범용 로봇 자율주행 솔루션 ‘카멜레온(CHAMELEON)과 클라우드 기반 이기종 관제 솔루션 ’크롬스(CROMS)’를 결합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제조·물류 산업 현장에서의 자동화 솔루션이 한층 고도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이어 이정호 레인보우로보틱스 대표는 “이번 협력을 통해 제조·물류 산업 내 자동화 기술 고도화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로봇 산업 발전과 양사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협력을 지속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제고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클로봇은 최근 현대자동차와 20억 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컨슈머 및 산업용 기기를 IoT에 손쉽게 연결하도록 지원하는 차세대 STM32 저전력 근거리 무선 마이크로컨트롤러(MCU)를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새로운 STM32WBA6 시리즈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웰니스 모니터, 동물용 목걸이, 전자식 잠금장치, 원격 기상 센서 등과 같은 스마트 연결 기기에 사용된다. 이 새로운 MCU는 추가 메모리와 디지털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으면서도 에너지 효율성을 유지함으로써 새로운 제품 설계에서 더욱 풍부한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STM32WBA6 MCU에는 암호화 가속기, TrustZone 격리(isolation), 랜덤 생성기 및 제품 생애 주기 등과 같은 SESIP3 및 PSA Level3 인증 가능한 보안 자산이 내장되어 있어 ST 고객들이 향후 RED 및 CRA 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패트릭 에이둔 ST 범용 MCU 부문 사업본부장은 “강력하고 표준화된 무선 커넥티비티는 IoT 성공에 필수적이다. ST의 새로운 STM32WBA6 MCU는 풍부한 기능과 더 큰 메모리 용량을 제공해 스마트 홈, 헬스케어, 공장, 농업 분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오는 3월 12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되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이하 AW)’에 참가한다고 6일 밝혔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은 2018년부터 7회 연속 AW에 참가하고 있으며, 모기업인 산업용 갠트리 로봇 및 물류 자동화 전문 기업 에스피시스템스와 함께 공동 전시관을 운영 중이다. 올해는 기존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과 함께 자율제조 AI 솔루션을 중점적으로 소개하고 실제 제조 현장에 적용된 다양한 사례를 선보일 예정이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의 자율제조 AI 솔루션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시스템이 스스로 운영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다. 비전 AI 기술을 활용해 제품을 분석하고 결함을 감지하는 ‘품질예측’, 설비 활동을 탐지하고 고장을 예측하는 ‘이상탐지’, 고장 시점을 예측하고 유지 보수를 선제 대응하는 ‘예지보전’, 공정에서 발생하는 낭비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공정최적화’ 등 4가지 형태로 나뉜다. 부스 방문객은 자율제조 AI 솔루션이 적용된 다양한 사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 부품 제조 기업의 제품 품질 검사, 철강 제조 기업에서 필수적인 가열로의 최적 온도 분석 및 제어, 전자 제조 기업의 생산 공정을
파익스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전한다. 파익스 전시부스에는 각종 현장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는 모션 컨트롤러 제품이 자리 잡을 예정이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파익스는 산업 자동화, 제어 시스템 등 솔루션 역량을 보유한 업체로, 정밀 제어 기술과 고효율 시스템을 강조한다. 이를 기반으로 모션 컨트롤, 서보 시스템, 인버터, 스마트 자동화 솔루션 등 각종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파익스는 이번 전시장에 ‘NMC2E’, ‘NMC-XR’ 등 모션 컨트롤러 솔루션을 소개한다. 이 중 NMC2E 시리즈는 이더넷(Ethernet) 기반 멀티 축 모션 컨트롤러로, 고성능 모션 컨트롤 기능이 내장됐다. 이를 통해 나노미터(nm) 단위로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가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Oracle Red Bull Racing)과의 파트너십을 갱신한다고 6일 발표했다. 지난 18년간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의 신뢰를 받아 온 헥사곤은 최첨단 3D 레이저 스캐닝 및 디지털화 솔루션을 제공해 팀이 정상의 자리를 지킬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양사는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지난 2024년 팀 소속 드라이버 맥스 페르스타펜(Max Verstappen)의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십 4연패에 이어 양 사 간의 혁신, 비즈니스 지원 및 성공을 이어갈 예정이다. 또한 헥사곤은 파트너십을 확장해 오라클 레드불 심 레이싱(Sim Racing)팀을 지원하게 된다. 이로써 가상 레이싱과 실제 F1 레이싱 간의 기술적 간극을 좁힐 것으로 기대된다. 헥사곤의 로고는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의 2025년 차량인 ‘RB21’을 비롯해 가상 레이싱 대회인 ‘F1 심 레이싱 월드 챔피언십’과 ‘포르쉐 E스포츠 슈퍼컵’(Porsche Esports Supercup)에 참가하는 오라클 레드불 가상 레이싱 차량에도 각인될 예정이다. 또한 레드불 레이싱 에레나(Red Bull Racing Erena)에 위치한 팀 본부에서도 헥사곤 로고를
와고코리아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자동화 및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한자리에 내놓는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와고코리아는 운영기술(OT)과 정보기술(IT)의 통합을 통해 효율성 극대화를 목표하는 엔지니어링·자동화 솔루션 업체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스마트 산업 솔루션이 열리다(OPEN. For Smart Industry Solutions)’를 슬로건으로, 스마트 제조 구현을 위한 첨단 자동화 솔루션과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공개한다. 구체적으로, 웹 기반 설계·제어·모니터링을 담당하는 솔루션 ‘와고 스카다(WAGO SCADA)’, 빌딩 라이팅 매니지먼트 솔루션 ‘달리(DALI)’를 전시 하이라이트로 전시한다. 이 중 달리는
스트라타시스(Stratasys)가 오는 11일부터 14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1~3홀에서 진행되는 ‘인터몰드 코리아 2025(INTERMOLD KOREA 2025)’에 국내 공식 파트너사인 프로토텍, TPC메카트로닉스와 함께 참가한다. 스트라타시스는 다양한 산업 맞춤형 3D 프린팅 솔루션을 전시하고 대량 생산부터 정밀 부품 제작까지 적층 제조 기술의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인터몰드 코리아는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이 주최하는 국내 최대 금형산업 전문 전시회로, 1981년 첫 개최 이후 독일 유로몰드, 일본 인터몰드 재팬과 함께 세계 3대 금형 전시회로 자리 잡았다. 올해 전시는 ‘AI 자율제조·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금형산업의 디지털화와 스마트 제조 혁신을 위한 다양한 기술과 솔루션이 대거 소개되며, 금형 및 제조업계 관계자들의 폭넓은 교류와 협업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트라타시스는 이번 전시에서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실제 도입해 활용할 수 있는 첨단 3D 프린터 제품군을 선보인다. SAF 기술 기반의 H350은 뛰어난 생산성, 반복 정밀도, 안정적인 출력 품질을 갖춘 대량 생산 특화 솔루션으로, 금형 및 부품 제조 현장에서 스마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고 있는 MWC 25에서 SK텔레콤과 AI데이터센터 MEP(Mechanical, Electrical, Plumbing : 기계, 전력, 수배전) 시스템 분야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AI 데이터센터 MEP시스템은 AI데이터센터 설계 및 건설 단계에서부터 이후 안정성과 효율성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국내 지역 거점에 하이퍼 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 건설 및 구축 사업 협력을 논의하며 MEP 분야에서 부품·제품 솔루션·컨설팅 등 전 사업 영역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국내외 AI 데이터센터 사업 확대를 적극 추진 중인 SKT가 보유한 기술 및 노하우에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AI 데이터센터 MEP 역량과 전력, 냉각, 보안을 통합하는 데이터센터 관리 플랫폼 기술 등을 더함으로써 양사 협력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SKT와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AI데이터센터 관련 공동 솔루션을 개발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마이크로소프트와 30년 간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한 협력을 지속해오
견고한 통신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는 산업용 모터 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러 프로세서 요소가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통신해야 하는 상황에서, CANopen®은 손쉬운 통합 등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산업용 드라이브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기술로 자리 잡았다. 이는 우수한 구성 가능성을 제공하며,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실시간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글에서는 CANopen을 저전력 모터 제어 애플리케이션 관점에서 깊이 있게 다룬다. CAN의 배경 정보 로버트 보쉬(Robert Bosch GmbH)에서 1983년에 개발된 제어 장치 영역 네트워크인 CAN(Controller Area Network)은 매우 견고한 통신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네트워크는 RS232와 같이 여러 컨트롤러 간 실시간 통신이 원활하지 않았던 기존 직렬 통신 네트워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설계됐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여러 센서가 연속적이면서도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요구가 있었기 때문에 CAN을 처음 채택했다. CAN은 여러 노드가 짧은 메시지를 사용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므로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