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에프원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물류자동화 설비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에스에프원이 물류자동화설비 유지보수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본 기업이 자체 개발한 팩토리닥터 시리즈는 인력 중심으로 파편화된 기술력을 학습하고 디지털화해 현장에 필요한 정보와 엔지니어 인프라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추가로 엔지니어 구독형 서비스 출시, 중소기업과 물류창고에 합리적 비용의 '찾아가는 공무팀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스에프원은 물류 자동화 설비의 설계, 설치 및 유지보수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고장 예방 및 문제 해결을 위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24시간 서비스로 시스템 안정성을 지원한다. 최신 기술을 활용한 자동화 설비의 최적화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대곤 코퍼레이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Pick-up Tracking System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대곤 코퍼레이션이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Pick-up Tracking System 솔루션은 스마트 카메라 In-Sight 8500을 활용하여 간편한 시스템 구성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함께 AI 기반 고해상도 검사를 제공하여 고해상도 고속 카메라와 딥러닝 기반의 결함을 검사하도록 했다. 또한 AI 알고리즘으로 미세 결함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검출하여 생산 품질 향상 또한 가능하다. 한편, 대곤 코퍼레이션은 모션 제어, 머신 비전, 레이저 응용 기술 및 FA(Factory Automation) 컴포넌트와 솔루션을 통하여 제품 검사 및 품질 관리 지원, 공장 자동화에 필요한 부품 및 산업용 응용 제품 개발
필소베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Laser Line 3D Profile Camera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필소베네에서 소개된 Laser Line 3D Profile Camera는 레이저 광원을 통한 빠른 스캔으로 고속 검사에 적합한 기계이다. 제품의 각 프로파일에는 3,840개의 데이터 포인트가 포함되어 있어 스캔하려는 타겟의 모양을 세밀하게 렌더링 할 수 있고, FOV 별로 다양한 모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성비 있는 제품이다. 필소베네는 고해상도 및 고속 프레임을 지원하는 산업용 카메라와 렌즈, 프레임 그레버 등을 공급하는 기업이다. 10년 이상의 광학 기술 경력을 바탕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 의료장비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자동화 및 검사 분야에서 강력한 솔루션을
FAS(이하 에프에이에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CAD 파일 통한 측정 데이터 생성 검사 과정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에프에이에스가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CAD 데이터 생성은 코드 없이 시각화로만 진행되며 그래픽화, 모듈화 인터페이스로 전문적인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구성했다. 이는 최단 2시간 내에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Mech-Eye LNX 시리즈 제품은 Mech-MSR 소프트웨어와 호환되어 호환성 개발 작업 없이 측정 및 검사 시스템 구현 또한 가능하다. 한편, 에프에이에스는 CIS 모듈 판매를 시작으로 비전 카메라 및 고정밀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며, 제 2차 전지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PCB, 필름 등의 제조 공정에 있어 제품 검사용 시스템으로 활용된다. 이와 함께 OPT 등 관련
멤스룩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북라이트 어슴프레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어슴프레'는 독서에 최적화된 북라이트 제품으로, 정교한 반도체 공정으로 제작된 '매직 라이팅 플레이트(Magic Lighting Plate)'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다. 이 북라이트의 플레이트 내부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마이크로 사이즈의 출광 패턴이 포함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매우 투명하지만, 측면에서 입사된 빛이 대부분 한쪽 방향으로 출광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멤스룩스는 독자적인 3D 미세패턴 기술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및 조명 산업을 혁신하는 기업이다. 고유한 도광판 기술을 개발하여 백라이트 성능을 개선하고, 다양한 광학 성능을 최적화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첨단 리소그래피 기술을 활용해 차별화된 제품을 시장에 공급한다. 한편, AW 2025은 국
비씨엠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AI Edge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비씨엠테크는 AI Edge 시리즈 제품 중 하나인 MAVERICK-miniX 제품을 소개했다. 해당 제품은 국내에서 자체 개발된 유일한 AI Edge 컴퓨터로, 해외 경쟁 제품보다 높은 성능과 낮은 가격을 제공하여 뛰어난 가성비를 자랑한다. 해당 제품은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 자율주행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 가능한 초소형 설계를 특징으로 하며, OS와 개발 SDK를 포함한 통합 개발킷을 무상으로 제공해 개발자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국내에서 직접 기술 지원이 가능해 고객의 문제를 신속히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를 이뤘다. 비씨엠테크는 산업용 컴퓨터, AI 솔루션, 야생 동물 향 추적기기 개발에 주력하는 기업이다. AI Edge
ICORE(이하 아이코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스트로브 컨트롤러 iPulse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아이코어가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스트로브 컨트롤러 iPulse 시리즈는 LED 조명 제어 장비로, 고속 전류 제어를 통해 짧은 시간 외부 신호와 동기화하여 제어가 가능하다. 최대 전류 200A, 최대 출력 8,000W로 고전류를 지원하며, 오버드라이브 기능을 통해 고속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촬영할 때 모션 블러 현상을 제거 및 뚜렷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한편, 아이코어는 스트로브 컨트롤러, 오토 포커스 모듈, 고휘도 조명 및 리피터, 스플리터 등 다양한 머신비전 핵심 부품을 자체 기술로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스마트 팩토리와 2차 전지, 디스플레이 검사 및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
LEX COMPUTECH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SKY 3 3I130DW 13세대 컴퓨터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LEX COMPUTECH가 선보인 SKY 3 3I130DW는 13세대는 Intel® 프로세서를 탑재한 DIN-Rail 컴퓨터로, 다양한 I/O 포트와 옵션 디지털 I/O를 지원하며, WiFi 6 및 4G/5G 통신을 제공한다. 고성능 Edge AI 솔루션으로, 시각 검사 및 스마트 팩토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합하고, 견고한 설계로 혹독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LEX COMPUTECH는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과 맞춤형 하드웨어 솔루션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기업이다. 다양한 산업에 맞춰 최적화된 CPU, GPU, 메모리 및 저장 장치를 효율적으로 조합한 고성능 시스템을 구축한다. 기술력과 전문성을
NOVITEC(이하 노비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I-Nova2 Motor LED 제품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노비텍이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I-Nova2 Motor LED는 고속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왜곡이나 잔상 없이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초점 길이 조정이 가능하다. 특히 균일한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조명 설치 없이 제품 결함을 식별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실시간 비디오 출력이 가능하며 적외선과 백색 컬러 옵션 선택을 통해 조명 환경을 사용자가 직접 지정할 수 있다. 한편 노비텍은 머신비전 및 ITS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산업용 2D, 3D 카메라와 초정밀 광학 센서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반도체, ▲로봇 비전, ▲자동화 공정,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머신 비전 애플리케이션 관련 제품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ITS 및
미래컴퍼니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4)’에 참가해 S111D 3D Depth Camera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S111D는 고속 실시간 3D Depth 데이터를 제공하는 ToF 3D Depth Camera로, 자동화, 로보틱스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제품이다. VCSEL IR 조명을 내장하고 MIPI 및 USB 3.0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1% 이하의 높은 정확도로 Depth 데이터를 측정한다. 미래컴퍼니는 반도체, 2차 전지 제조 장비와 복강경 수술로봇, 3D 센서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2007년부터 복강경 수술로봇 개발을 시작하여 국내 최초의 복강경 수술로봇 상용화에 성공하였으며, 활용 범위가 늘어나고 있는 센서 솔루션 기술 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
NEXBER(이하 넥스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SWIR 텔레센트릭 렌즈(Telecentric Lens)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넥스버가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텔레센트릭 렌즈는 머신 비전 분야에서 물체의 크기와 형상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원근 왜곡을 최소화하여 물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가 변해도 동일한 크기로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한다. 텔레센트릭 렌즈는 일관된 배율을 유지함으로써 렌즈와 물체 간 거리가 변해도 배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치수 측정 및 결함 검사 등 정밀한 검사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예정이다. 한편 넥스버는 머신 비전 시스템 분야와 비전 및 FA 컴포넌트 사업에 주력하며, 산업 설비의 무인 자동화, 생산성 향상을 위해 반도체 및 휴대폰, 자동차, 식음료 등 산업 분야 속 검
브이원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디스플레이 및 2차전지 검사 장비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브이원텍이 선보인 압흔 검사 시스템은 최적화된 현미경 기반 비전 시스템을 통해 COG, FOG 본딩 상태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검사 장비이다. 도전볼의 수량·강도·길이·분포를 측정하며, DIC 현미경과 레이저 위치 감지 센서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을 탑재하여 정밀한 검사를 지원한다. 브이원텍은 머신 비전과 화상 처리 기술을 활용해 디스플레이와 2차전지 검사 장비를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이다. 비전 제어 및 화상 처리 알고리즘을 활용해 생산라인에 맞는 비전 솔루션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IC·FPC 부착 상태를 검사하는 압흔 검사기와 평판 디스플레이(FPD) 생산 장비용 검사 시스템을 개발 및 제조하고 있다. 한편, AW
QT Group(이하 큐티그룹)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3D 공간 UI 가상 환경 시뮬레이션을 제공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큐티그룹이 이번 AW 2025에서 폭넓은 커스터마이징 옵션을 제공하여 실시간 인터랙티브 기능을 제공한다. 큐라이트의 주행 시뮬레이션 셋업은 몰입형 3D 환경과 2D 컨트롤을 위한 두 개의 상호 연결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그래픽 통합의 성능을 선보인다. 특히 큐티그룹의 실시간 랜더링은 Qt 프레임워크의 3D 엔진을 보여주며, 3D 저작 도구를 통해 생성된 비주얼 에셋은 디자인 스튜디오로 임포트 된다고 밝혔다. 한편, 큐티그룹은 핀란드 에스포에 본사를 둔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애플리케이션 및 스마트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크로스 플랫폼 솔루션을 제공한다. 특히 자동차, 항공, 해양, 농업 등 다양한 산업 분
Qlight(이하 큐라이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다양한 다기능 LED 시그널 타워램프 제품을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큐라이트가 이번 AW 2025에서 공개한 LED 시그널 타워램프 제품 라인업은 7여종이 넘게 구성됐다. 특히 LED 점등/점멸형 시그널 타워램프은 사용 목적에 따른 시청각 신호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부저 내장 가능 제품으로 설치 환경에 따라 외경 45, 56, 80mm로 다양하게 선정 가능하다. 이외에도 모듈형 LED 시그널 타워램프의 경우, 별도의 공구 없이 단별 색상 변경이 가능하고 모듈 추가 또한 가능하다. 한편, 큐라이트는 1986년 창업 이래 시청각 정보기기와 산업용 LED 조명등을 생산하여, 산업 안전 및 효율화를 마련하고 있으며 특히 ▲LED광원, ▲방열 기술, ▲방폭 구조 등의 기술 특허를
쓰리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4)’에 참가해 공정감시장치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쓰리뷰는 공정감시장치 기술을 제시했다. 공정감시장치란, 인공지능을 자동으로 정의할 수 있는 장치로, 이는 공정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기 역할을 수행하며, 전반적으로 품질을 향상시켜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쓰리뷰는 MES, APS, AI 모니터링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 기업이다. 사람, 설비, 프로세스와 IT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동적으로 최적화된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국내외 350여 고객사에 성공적으로 솔루션을 적용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