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중국 배터리 업체 CATL이 중국 이외 시장에서도 신흥 강자로 급부상하면서 국내 기업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을 위협하는 양상이다. 2021년 1분기 판매된 중국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EV, PHEV, HEV)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이 1위,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도 TOP 5를 유지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CATL의 추격이 심상치 않다. 중국 배터리 기업은 자국내 압도적 판매량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강화, 글로벌 시장서도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는 중이다. 2021년 1분기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에너지 양은 25.4GWh로 전년 동기 대비 68.0% 증가했다. 국내기업의 경우, LG에너지솔루션은 7.9GWh로 82.4% 급증하면서 파나소닉을 밀어내고 1위를 나타냈다. 삼성SDI는 58.0% 증가한 2.5GWh를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와 같은 3위를 지켰다. SK이노베이션은 2.4GWh로 2배 이상 급증하면서 점유율이 올랐다. CATL은 테슬라 모델3(중국산 수출 물량) 외에 푸조 e-2008, 오펠 코르사 등의 순수전기차 판매량이 급증한 데에 힘입어 3배 이상 급성장하면서 4위로
[헬로티]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반도체 수급애로에도 불구하고 4월 국내 자동차 생산과 수출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가 발표한 4월 자동차산업 동향에 따르면, 2021년 4월 자동차 생산은 11.8%, 수출은 52.8%(수출액 73.4%) 증가했으나, 내수는 3.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 세계적인 차량용 반도체 수급 애로에도 불구하고 4월 수출은 전년 동월 기저 효과를 뛰어 넘는 호조세를 시현하며 생산 증가를 견인했다. 차량용 반도체 공급 상황에 따른 업체별 조업 조정에도 불구하고, 생산 차질 최소화 노력 및 수출 호조 등으로 11.8% 증가한 32만3644대 판매량을 기록했다. 내수로는 개소세 효과 감소 등으로 3.8% 감소한 16만1097대를 판매했으나, 월간 판매대수는 2020년 4월에 이어 역대 두 번째 판매대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신차(제네시스 등) 호조와 친환경차 판매 확대(전기차 18.8%, 수소차 59.1%)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친환경차의 경우, 내수는 전년 동월 대비 41.3% 증가한 2만5269대,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4.4% 증가한 3만2838대로 4개월 연속 내
[헬로티] 시설·R&D 투자 세액공제 확대, 인재 육성, 인프라 규제 완화 건의 (출처 : 전국경제인연합회) 국내 차량용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이 선진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와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가 반도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7일 공개했다. 설문조사는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임원 및 회원 등 반도체 산업 전문가 100명(학계 60명, 산업계 4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국내 반도체 산업 전문가들은 국내 인공지능 및 차량용 반도체 설계 분야와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의 경쟁력이 선진국 대비 60% 수준에 불과하다고 진단했다. 주요 반도체 기술 및 밸류체인 분야별로 최고의 선도 국가(기업)의 수준을 100으로 볼 때 우리나라 반도체의 기술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 인공지능 반도체 소프트웨어(56),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56), 차량용 반도체 설계(59) 부문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로 꼽히는 분야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이어 장비(60), 부품(63), 소재(65) 등 이른바 반도체 후방산업으로써 반도체 생산성과 품질을 좌우하는 요소들의 기술 수준도 낮게 평가됐다
[헬로티] (출처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이하 KAMA)가 수소차 충전 여건 미흡으로 수소차 산업의 발전 속도가 지체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2021년 3월 현재 전 세계 수소차 중 33%가 운행 중인 우리나라는 수소차 보급률 세계 1위다. 그러나 충전기 1기당 차량대수는 180대로, 1기당 224대의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충전 인프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일은 충전기 1기당 9대, 일본 38대, 중국 56대 등으로 나타나 수소차 보급 대비 충전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2016년부터 작년까지 국내 연료별 자동차 연평균 증가율은 내연기관이 2%, 하이브리드가 30%, 전기차가 88%, 수소차가 235%다. 수소충전소의 증가율은 116%로 KAMA는 수소차가 전기차 등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충전소 구축이 차량 보급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충전인프라 여건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우려하면서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KAMA는 또 충전소 설치의 지역별 편차 해소도 시급하다고 밝혔다. 지자체 본청과 충전소 간 거리가 100km 이상인 지역은 충전을 위해서만 200km 이상 이동해야 하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