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넷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IoT 무선 센서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모넷코리아가 선보인 IoT 무선 센서 솔루션은 센서의 조합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건설, 농업, 건설 시설 관리, 공장, 물류 및 협력업체 등). 베터리 형식으로 구현되는 완전한 무선 IoT 센서로 별도 설치 없이 사용이 가능해 유선 배선 공사가 필요하지 않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으며 RF 통신으로 태블릿보다 작은 무선 범위를 자랑한다. 추가로 저전력 및 베터리 생활로 자주 교환을 할 필요가 없고 설정에 따라 베터리 생활에 대한 정보를 알림으로 받을 수도 있다. 인터넷 단선 시 자체 메모리로 저장 후 복구 시킬 수도 있는 실용성 있는 기술을 보여준다. 모넷코리아는 80여종의 무선 센서 및 플랫폼 보유 기업으로, 기술과 경험을 통해 여러
아이보우솔루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아이캐드플러스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아이캐드플러스는 장비, 설비 분야의 설계를 쉽고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개발된 3차원 CAD 제품이다. 기존의 CAD와는 다른 설계 기법을 활용하여 보다 쉽고, 빠르고, 효율적인 설계를 지원하는 3차원 CAD이다. 조작성 역시 간편하여 누구나 쉽게 3D 설계를 할 수 있는 기능을 구성하고 있으며, 복잡한 구속조건 없이 설계자의 아이디어를 빠르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이보우솔루션은 3D CAD 및 PLM 솔루션을 제공하는 엔지니어링 전문 기업으로, 고객 맞춤형 설계 솔루션을 통해 다양한 산업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선진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오토메이션월드 구서경 기자 |
스위치랩 인터내셔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PCB 커넥터 시리즈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날 소개된 PCB 커넥터 시리즈는 인쇄회로기판의 진동저항성 및 나사풀림방지에 효과적인 제품으로, 우수한 고온 내성 쉘 보호 기능을 갖추고 있다고 소개되었다. 그 외에도 해당 제품은 대용량 배선 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ISO/TS 16949:2009 인증 또한 준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위치랩 인터내셔날은 1988년에 설립되었으며 아시아에서 널리 알려진 산업용 스위치 및 단자대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제조업체이다. 설립 이후로 다양한 종류의 산업용 스위치, 유럽형 단자대, 미국/일본형 단자대 및 레일형 단자대를 개발 및 생산하였으며 전기제품 시장의 흐름에 따라 매년 예산을 늘여 개발 및 제조기술을 제고하고 대량의 신제품을 개발하여 고객만족도를
중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ZONCN T200 시리즈 인버터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복잡성을 단순화하도록 설계된 게임 체인저인 ZONCN T200 시리즈 인버터 핵심에는 내장형 EMC 필터가 있으며, 전기적 노이즈에 대한 독립형 실드로 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번거로움 없는 규정 준수를 보장하는 제품이다. 스마트 팩토리를 자동화하거나 레거시 시스템을 개조하여도 다중 프로토콜 통신 제품군 (Modbus, EtherCAT, CANopen, PROFINET)은 범용 변환기 역할을 하여 PLC, 센서 및 IoT 플랫폼과 손쉽게 동기화 하여 사용 할 수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중첸코리아는 2005년 중국 상하이에 본사를 둔 컨트롤러 전문 제조업체로, 인테리어 분야의 연구 개발, 생산, 판매 및 서비스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6
위즈코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4)’에 참가해 AI 솔루션 ‘위디’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AW 2025 전시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된 AI 솔루션 '위디(Widdy)'는 제조기업의 고객 지원과 내부 데이터 자산화를 동시에 지원하는 기업 맞춤형 AI 에이전트 서비스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 고객 지원에 어려움을 겪는 제조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쉽게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즈코어는 데이터 정보 및 개발을 실행하는 기업으로, 다양한 데이터 베이스를 발굴하고 그 가치를 높이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이다. 2010년 글로벌 유통 IT회사에서 시작하여, Industry 4.0 기반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팩토리 전환을 돕는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오토메이션월드 구서경 기자 |
가우스랩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Panoptes VM(가상계측솔루션)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가우스랩스가 선보인 Panoptes VM, 가상계측솔루션은 장비자체에 설치된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해 제조 공정 결과를 예측하게 하는 가상 계측 AI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을 통해 물리적인 전수 계측없이도 모든 제품의 공정 결과값을 예측할 수 있어 물리적 시간과 재정적 낭비를 막을 수 있다. 가우스랩스는 AI 기반 가상 계측 솔루션 Panoptes VM과 이미지 계측 솔루션 Panoptes IM을 제공하는 산업 AI 스타트업 업체이다. Panoptes VM 이라는 센서 데이터를 활용해 공정 결과를 예측하는 AI 기반 가상 계측 솔루션을 제시하고, Panoptes IM을 통해 제조 공정 중 이미지를 전처리하고 계측하여 결과를
샘트라 인터내셔널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케이블 및 와이어 제품과 다양한 커넥터 제품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샘트라 인터내셔널이 소개한 케이블 및 와이어 전선 제품은 맞춤형 설계 케이블로 초유연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내부 EMI를 보호하기에 유용한 제품으로 알려졌다. 샘트라 인터내셔널은 그 외에도 다양한 맞춤형 케이블 기술력을 선보였다. Flextrack/하이브리드 플랫 케이블(클린룸용 이동 케이블), 맞춤형 플랫 ePTFE 트랙리스 플랫 케이블, 소형 전선 및 케이블, 고온 케이블(1565도 이상) 등의 시리즈 솔루션이 소개되었다. 샘트라인터내셔널은 1995년 설립 된 업체로, 고신뢰 고수명 특수 케이블, 커넥터, 케이블 조립체를 공급해 왔다. 최근에는 팬, 블로워, 모터,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전자 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RECOM Asia pte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AC/DC DIN 레일 전원 공급 장치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RECOM이 소개한 산업용 DIN 레일 전원 공급 장치는 E-Fuse 및 중복 다이오드의 RACPRO1 제품군으로 오늘날 가장 까다로운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솔루션이다. RACPRO1-T240, -T480 및 -T960 시리즈의 전원 공급 장치는 3x320V에서 3x575V AC 및 430V에서 850VDC의 범용 AC 및 DC 입력 전압 범위를 제공하며 240W, 480W 및 960W의 전력 등급으로 제공된다. RECOM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30,000개 이상의 소형 전원 공급 장치를 갖춘 AC/DC 전자 전원 공급 장치 및 DC/DC 컨버터 제조업체이다
지테크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용 컴퓨터 및 서버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지테크시스템이 소개한 GT 미니박스 시스템 PC는 공간 효율에 최적화된 소형화 제어기로 RJ45 Type의 1G Six LAN PORT를 지원한다. 자체개발 Riser Card 사용으로 PCI/PCIe SLOT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멀티 모듈러 시스템 PC(Multi-Modular System PC)는 H/W 모듈 Hot Swap을 지원하며 고성능 VGA CARD를 탑재했다. 지테크시스템은 산업용 컴퓨터 및 서버를 개발·생산·컨설팅하는 전문기업으로 ODM·OEM 및 최적화가 가능한 산업용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SK텔레콤 시스템 고도화 프로젝트를 필두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분야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노하우를
케이지오토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용 자동제어기기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케이지오토의 산업용 제어 스위치 KS 시리즈는 상/하부 분리형 구조로 국제규격 IEC-60947-5-5를 충족한다. KM 시리즈 또한 상/하부 분리형 구조로 상부 가이즈는 메탈 소재를 채용했다. 이밖에도 상/하부 가이드 플라스틱 및 알루미늄 구조의 KD 시리즈, 비상보호 가이드 등도 함께 선보였다. 케이지오토는 2007년 창립아래 제어용스위치, 리미트스위치, 호이스트스위치, 무선스위치, 인디케이터등 자동화 분야에 필요한 각종 제어기기를 제조하는 기업이다. ‘감성 스위치 앞선 기술’이라는 모토를 바탕으로 스위치 분야에서 지속적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오토메이션월드 이창현 기자 |
유니버셜로봇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새로운 협동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유니버셜로봇이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협동로봇 ‘UR30’은 높은 페이로드의 컴팩트 코봇이다. UR30은 협동 작업 환경에서 작은 공간만 차지하면서도 높은 페이로드를 처리할 수 있다. 30Kg 리프팅 용량과 1300mm 작업 반경을 제공하는 이 로봇은 대형 기계의 머신 텐딩, 고중량 제품 팔레타이징, 고토크 드릴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UR30은 향상된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로봇 암 장치 및 새로운 조인트 구조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한다. 최장 작업 반경에서 최대 페이로드를 리프팅해도 코봇의 최고 속도 범위와 가속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UR30의 고토크 조인트와 힘 토크 센서는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에서도 일관된 나사 조립 작업
피아이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AI 비전검사, 데이터 기반 스마트팩토리, AI Agent, AI 기반 초음파 검사 등 다양한 제조 지능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피아이이는 글로벌 제조 기업들의 공정 첨단화 경험을 바탕으로 ‘AI로 분석하고, 해결하고, 혁신하는’ 제조 지능화 구현을 목표로 다양한 AI 기반 솔루션을 공개했다. 특히, 자회사인 제조 데이터 및 산업용 AI 솔루션 기업 ‘아하랩스’, 산업용 컴퓨팅 및 SI 전문기업 ‘비즈하이시스템’, 자동화장비 전문 제조기업 ‘에프원테크’와 협력하여 솔루션을 고도화하고 통합 운용을 추진했다. AI 비전 Zone에서는 실제 장비를 활용한 검사 공정 시연이 진행되었으며 원통형 배터리 검사, 컨베이어 공정 검사, 롤투롤(Roll To Roll) 검사, 초음파 검사 등 다양한 솔루션
아이피컨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Low level Ai inspector 장비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아이피컨은 Low level Ai inspector 장비로 IMA-05011 및 IMA-05013을 선보였다. 두 제품은 객체 감지 기능을 탑재해 검사 대상의 오류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TA 및 국정원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또한, 영상 녹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IMA-05011은 저속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IMA-05013은 고속 검사 환경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아이피컨은 롤링 셔터 및 글로벌 셔터 기반의 IP 카메라 모듈을 개발·생산하는 기업이다. 산업 전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비전 솔루션을 제공하며, 독자적인 기술을 통해 차별화된 기능을 지원한다.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지원한다. 오토메이
리비아오 로보틱스(Libiao Robotic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첨단 자동화 솔루션 ‘AirRob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리비아오 로보틱스가 이번 전시에서 공개한 AirRob 시스템은 좁은 통로에서도 박스를 자동으로 이동하고 피킹하는 작업을 지원하는 첨단 자동화 솔루션으로 기존 지게차 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혁신적인 물류 로봇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작업 속도를 크게 개선하여 물류센터 및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irRob 시스템은 경량화된 설계를 적용해 기존 선반에 별도의 보강 작업 없이 설치할 수 있어 도입이 빠르고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기존 물류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자동화율을 높일 수 있어 창고 및 물류센터 운영 기업들이 손쉽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
스토브리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새로운 4축 SCARA 로봇 TS2 모델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스토브리코리아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TS2 모델은 모듈형 설계를 적용한 새로운 4축 SCARA 로봇 시리즈다. 이 로봇은 스토브리의 특허 기술인 JCS 감속기를 내장하고 있어 정밀한 동작과 강력한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중공축 디자인을 적용해 외부 배선이 없는 매끄러운 유선형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외부 간섭 및 위험 요소로부터 로봇을 보호할 수 있다. TS2 시리즈는 방수, 클린룸, 무균 환경 등과 같은 민감한 산업 환경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제작되었다. 이를 통해 제약, 식품, 전자 및 반도체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최적의 작업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높은 정밀도와 신뢰성을 바탕으로 자동화 공정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며 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