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봉사하자’라는 뜻을 가진 유한책임회사 세봉(이하 세봉)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넓은 범위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센서, 초소형 정밀 볼스크류 등 주변 기기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전시 제품 중 weCat3D 및 ShapeDrive 센서는 정밀 프로파일 감지에서 최대 3차원 또는 360도 물체 측정이 가능한 모델로, 모든 차원에서의 측정과 테스트 작업을 돕는다. 미니어처 볼 스크류 스플라인은 고급 기술의 소형화, 다양한 너트 형상 등의 차별점을 지녀 관심을 끌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오토메이션월드 이동재 기자 |
단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전동 실린더와 볼스크류, 볼스플라인, 액츄에이터 등 리니어 모션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단해가 전시한 전동 실린더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볼스크류 구동을 통해 피스톤 로드의 직선 변위로 변환해주는 리니어 모듈 제품이다. 단해는 표준전동실린더,가이드전동실린더,전동로터리테이블 실린더를 선보였다. 단해는 테프론 소재로 내마모성 증가, 고정도 롱타입으로 볼부쉬 적용, 저소음 고정도, 다양한 취부 방식을 선보이고 있다. 단해는 대만 리니어 모션 제품 전문 제조업체인 대만 TBI의 한국대표대리점이다. 자동화 설비에 성능과 정밀도를 좌우하는 핵심부품인 LM가이드, 볼스크류, 볼스플라인, 액츄에이터등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적용 분야로는 자동화 산업, 로봇 산업, 반도체 산업, 산업용 기계, 의료 기기, 공작 기계 등이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
드림텍LM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고성능 모듈시스템인 FSL40 리니어 모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드림텍LMS가 선보인 FSL40 리니어 모듈은 FSL40 시리즈 리니어 모듈 제품이다. 개방형, 밀폐형, 반밀폐형 모듈로 구성돼 행정길이 1000mm까지 제작 가능하다. 정밀, 고성능, 체계적인 모듈시스템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작동이 가능하다. FSL40은 비용 대비 효율적인 스크류 선형 모듈이다. 개방형 구조로 가이드 레일 1개와 슬라이더 1개가 장착되어 있으며 스크류 로드의 양단은 베어링으로 고정되어 안정성을 높였다. 또한 중간 및 저부하 및 중간 속도 요구 사항에 적합하며 사용 환경이 안정적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리탈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캐비닛/랙 시스템과 컨트롤 패널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리탈은 배선 시스템인 RiLine과 함께 좀 더 ‘스마트’하면서도 안정성, 공간 절약, 비용 절감의 효과를 수반하는 배선 방식을 선보였다. 이는 파워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에 의한 간단하고 빠른 구조 설계, 다양한 기기 메이커와의 호환 등의 장점도 지닌다. 이 밖에 소형 인클로저, 리탈 자동화 시스템 등을 전시하며 혁신적인 작업 관리 방식을 제안해 많은 이의 눈길을 끌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오토메이션월드 이동재 기자 |
페스트펜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고도화된 산업 시스템에 최적화된 ‘FEST FENCE’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페스트펜스가 선보인 FEST FENCE는 독일의 바우하우스 디자인의 영감을 받아 제작 됐다. 고도화된 산업 시스템에 최적화된 FEST FENCE는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정확하고 신속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시스템 규격은 750, 1000, 1300, 1500, 1800, 2000, 2200mm이며 판넬과 포스트는 고객의 요청의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각종 기계, 설비에 맞는 구조변경이 가능하며 현장에 맞는 다양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사전 현장 실측을 통해 시공 현장에서 바로 조립이 가능한 상태로 출고되어 정확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
다인큐브(DAINCUBE)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각종 모션 제어 솔루션들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다인큐브가 전시한 모션 제어 솔루션 DTP7H-coreCon는 티치 펜던트(Teach Pendant)와 로봇 제어기를 통합한 제품이다. 고성능 ARM Cortex-A9 프로세서에 실시간 운영 체제 및 로봇 제어 통합 소프트웨어인 coreCon을 탑재했으며, EtherCAT Master 플랫폼을 내장해 다양한 EtherCAT 서보 모터 드라이버 및 I/O 등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로봇 모션 제어 소프트웨어인 coreCon은 다양한 로봇(Multi-Axis, Delta, SCARA, Cartesian and Cobot 등) 선택과 EtherCAT Slave의 간단한 설정과 조작만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ABB, FANUC 그리고 YASKAWA 등에서 지원하는 유사한 로봇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전문 개발자가 아니어도 간단한 교육만
다온오토메이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고출력, 고강성의 중공감속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다온오토메이션이 선보인 중공감속기는 ▲고출력, 고강성 실현 ▲강성 ▲NON BACKLASH의 고정도 위치결정 ▲대구경 중공 출력 TABLE로 배선, 배관 간소화 ▲DIRECT 체결로 신뢰성 UP ▲원점 SENSOR SET를 OPTION으로 구비 등의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다온오토메이션은 국내 제작한 DTS 랙&피니언도 소개했다. DTS 랙&피니언(DAON Trochoid Solution)은 ▲트로코이드 치형 적용 (압력각 30~30.7) ▲고효율 (미끄럼 마찰 최소화) ▲고속 이송 가능 (6.7m/s) ▲높은 위치 정밀도 (±25 ㎛) ▲저소음 구동 (온전한 구름 접촉) 등이 특징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
슈나이더 일렉트릭(이하 슈나이더)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베이직 HMI ST6000 시리즈를 비롯해 지능형 전력 센터 등 전력 효율 기반의 자동화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선보인 ST6000 시리즈는 새로운 수준의 시각화를 기본 HMI 시장에 제공한다. ST6000 시리즈는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품질의 디스플레이를 실현하며, 운영 및 시스템 정보를 최적화한다. 또 다른 솔루션인 지능형 전력 제어 센터는 에너지 효율성의 핵심인 안전하고 지속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전력 디바이스 예방 유지 보수에 탁월하며, 운전 현황 원격 감시 제어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동급 제품 중 설치 공간이 가장 작아 제한된 공간에 적합한 갤럭시 VL은 추가 설치 공간 없이 10배의 시스템 가용성을 보장한다. 간단하게 용량을 확장할 수 있어 확장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해 설비 투자비와 TCO를 절감한다. 이와 함께 N+1 내부 이중
HIK로봇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하이크로봇 머신 비전 및 모바일 로봇과 물류 비전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하이크로봇은 엄격한 EMC, 안전성 및 신뢰성 테스트를 통해 각 제품의 높은 정밀도, 높은 효율성, 높은 환경 성능을 보장한다. 머신비전 제품은 가전, 반도체, 물류 등의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위치 가이드, 측정, 품질 검사, 코드 리딩, OCR(문자 검사) 등의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생산성, 정확성, 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Hikrobot은 저상형 모바일 로봇 (LMR), 컨베이어/대형 모바일 로봇 (CMR/HMR), 지게차 모바일 로봇 (FMR) 등 일련의 제품을 출시했다. 해당 제품들은 3C, 자동차, 제조, e-커머스 물류, 3PL, 식품 및 제약 등 산업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스마트 바코드 리더, 3D 카메라, 특수 설계된 광원과 자체 개발한 코드 판독 소프트
야마하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당사의 산업용 로봇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야마하가 전시회에서 선보인 솔루션 중 하나인 리니어 컨베이어 모듈 'LCMR200'은 반송 시간까지 자동화해 택타임 낭비를 최대한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인다. 좁은 간격 고속 반송이 가능하며 개별 ID 인식, 원점 복귀가 필요 없는 완전 앱솔루트 방식, 드라이버 내장으로 배선 절감 등의 기술이 적용됐다. 야마하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선형 운송 시스템과 스카라 로봇 제조 기업이다. 야마하는 자사 제품이 만들어지는 모든 엔지니어링, 제조, 마케팅 작업장에서 뚜렷한 기준을 제시한다. 또한,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콘셉트와 고도의 기술, 세련된 역동성을 표현한 디자인이 한데 어우러진 솔루션을 갖추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에스엠인스트루먼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초음파 및 음향카메라 ‘BATCAM 2.0’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에스엠인스트루먼트가 선보인 초음파 및 음향카메라 ‘BATCAM 2.0’은 작고 가벼운 제품으로, 디지털 방식의 초소형 정밀기계 기술(MEMS: 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s) 센서를 사용해 크기(237mm)를 획기적으로 줄였으며, 무게도 1.2kg으로 휴대가 가능하다. 112개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측정 감도를 높였으며, 최대 48kHz의 초음파 대역의 신호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BSR(Buzz, Squeak, Rattle) 노이즈를 포함한 고주파 소음 측정에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특히 전기 아크에 의해 발생하는 초음파 신호도 초음파 카메라를 활용하여 실시간 촬영할 수 있어 미세한 결함이 있는 절연체를 촬영을 통해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원거리에서도 측정이 가능해 지상에서 높이 떨어져 있
한국페트라이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 SF+AW 2022)에 참가해 심플하고 경제적인 시스템인 무선 네트워크 솔루션 ‘WD PRO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한국페트라이트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WD PRO 시리즈는 장비에 부착되는 신호등 형태의 전통저긴 신호기기에 송신기를 부착하고 이를 지그비(Zigbee) 등 무선통신으로 수신기에 신호를 전달해 연결된 PC에서 모니터링 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신호기기에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장비 가동률을 높여 생산성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생산 수익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국페트라이트 관계자는 “단순히 송신기와 수신기만 연결하면 되는 방식이기에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설치할 수 있으며 송신기끼리 서로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전파 상태가 양호한 루트를 선택해 통신할 수 있는 등 유연한 무선통신이 가능해 유선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국페트라이트 부스에는 NHL 시그널타워와 임베디드 PC가 결합된 지능화된 네트워크
영림원소프트랩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맞춤형 ERP 'K-시스템 에이스'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영림원소프트랩이 선보인 맞춤형 ERP K-시스템 에이스는 경영 및 정보기술 변화에 즉시 대응하는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쳐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다양한 산업의 표준 프로세스 및 서비스 리포지토리를 제공하는 SOA 환경의 경영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공공에서 일반 제조 및 PMS까지 다양한 산업군에 최적화한 업무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특히 제약·화학·공공·프랜차이즈 등 특수 산업군에서는 산업군별 필수 업무 프로세스를 포함한 특화 패키지도 제공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
와고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를 전시해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와고코리아가 선보인 이더넷 스위치는 이더넷 네트워크 인프라의 확장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뛰어난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을 제공하며, IEEE 802.3, IEEE 802.3u 및 IEEE 802.3ab와 호환된다. 주요 기능으로는 앞선 보안 기능, 통합 모니터링 기능, 다양한 작동 모드 기능 등이 있으며, 모듈식 및 확장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와고는 파워 서플라이 ‘Pro 2’를 선보였다. 이 파워 서플라이는 최대 96%의 효율성을 지녔으며,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 디지털 시스템 구축에 용이하다. 최대 600%의 임시 출력 전류 덕분에 소형 회로 차단기의 빠르고 안정적인 트리핑이 가능하다. 또한 5초 동안 최대 150%의 출력 전류 덕분에 빠른 충전 및 빠른 접점 전환이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원프레딕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산업AI 기반 설비 예지보전 가디원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에 선보인 가디원 솔루션은 원프레딕트가 자체 개발한 AI 알고리즘과 물리적 지식을 기반으로 산업 현장 내 핵심 설비의 상태를 진단하고 고장을 예측하는 디지털 트윈 솔루션이다. 가디원은 국내 산업AI업계 선두 솔루션으로서, 반도체, 배터리 등 다양한 첨단 제조 산업에 적용되어 공장 내 효율성과 안전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오토메이션월드 함수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