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물류 시스템 솔루션 업체 미르(Manufacturer industry 4.0 Revolution, MiR)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 전시장에서 물류 분야에 관심 있는 참관객을 모객한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미르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을 비롯해, 서보모터·드라이브·스카라 로봇 등 각종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공급하고 있다. 컨베이어·롤러·직교 로봇 등 단독 기술을 한데 융합해 스마트 물류 시스템으로 체제를 개선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올해 AW에서 이 같은 자사 캐시카우(Cash Cow)를 공개한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이송 작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정에 도입돼 물류 이송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 가능한 솔루션이다. 이
EMI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반도체 및 제조업체를 위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력 관리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EMI가 선보일 주요 솔루션은 Power Distribution Module로, 공간과 작업 최적화에 초점을 맞춰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Power Distribution Module은 Flexible Busbar 기술을 통해 파워 케이블의 곡률로 인한 공간 낭비를 최소화하고, 적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MCBS 기술은 배선량을 줄여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적인 생산 환경을 지원한다. EMI의 솔루션은 효율적인 생산 공정과 원가 절감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고객 맞춤형 프로젝트에 적용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Control Box와 분전반이 있으며, UL508A 및 세미 S2 인증을 바탕으로 메인 파워박스, 전기 제어 박스, 배전반을 설계·제조·배송한다. 특히 품질 결함 최소화를 위해 AVIS 방식, 온도 상승 테스트, i-Marking 테스트 등을 활용하며
(주)마이링크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제조업체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핵심 IT 솔루션 'LINKBIZ'를 선보인다. LINKBIZ는 제조업에 특화된 올인원 협업 플랫폼으로, 프로젝트 관리, 품질 관리, 생산 관리를 하나의 통합된 플랫폼에서 제공하여 제조업체의 생산성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또한 다양한 기존 소프트웨어와의 연동이 가능해 각 기업의 맞춤형 요구에 맞게 필요한 기능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기능은 배제하고, 스마트한 워크플로우로 운영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주)마이링크는 "IT로 세상을 행복하게"라는 비전 아래, 수주형 제조 기업을 위한 프로젝트 및 생산 최적화 솔루션과 제조 데이터 연계 기술 등 앞선 IT 기술을 바탕으로 특허 기반의 서비스를 다수의 기업에 제공하고 있다. 오랜 기간 대기업 및 외국 기업에서 제조 IT 솔루션을 개발한 전문 인력들이 모여 2021년에 설립된 이후, 빠르게 제조 IT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제조업 혁신 전시회인 AW2025는 국제
(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첨단 초음파 음향 카메라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에스엠인스트루먼트는 부스에 압축 공기 누설 모사 장치를 설치해 관람객들이 직접 제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주요 출품 제품으로는 휴대용 초음파 음향 카메라 ‘BATCAM 2S’와 고정형 초음파 음향 카메라 ‘BATCAM FX’가 있다. BATCAM 2S는 압축 공기, 진공, 고압 가스 누설 및 전기 부분방전, 설비 이상소음 등을 측정하는 휴대용 장비로, 에너지 비용 절감과 산업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한다. 특히 GIS 및 클라우드 기반의 AI 분석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효율적인 보고서 작성 및 측정 이력 관리를 할 수 있다. 주요 사용처로는 석유·화학·가스, 군사·항공·우주, 전기전자, 제철소, 발전소 등이 있다. BATCAM FX는 고정형 초음파 음향 카메라로, 설비의 상시 모니터링과 이상 발생 시 알람을 제공하는 설치형 장비다.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로봇과 연동해 원격 무인 감시 용도로 활용되며, 주요 사용처는 BATCAM 2S와 동일하다. 에스엠인스트루
(주)비케이인스트루먼트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산업자동화 전시회인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초분광 카메라를 활용한 품질검사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비케이인스트루먼트가 선보일 솔루션은 RESONON과 ClydeHSI 사의 초분광 이미징 시스템으로, 근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 영역의 다양한 파장대를 수백 개의 채널로 분할하여 물체의 특징적인 반사 스펙트럼 정보를 감지하고 저장하는 기술이다. 해당 기술은 기존 RGB 카메라로 해결하기 어려운 한계를 극복하며, 머신비전, 식품, 이차전지, 재활용 산업 등 다양한 산업에서의 품질 모니터링 및 이물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RESONON 사의 초분광 이미징 시스템은 연구 및 산업 현장에서 정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최적의 솔루션을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ClydeHSI의 초분광 시스템은 엔드 투 엔드(End-to-End) 솔루션으로 고객이 연구와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학술 및 산업 분야 전반에서 정확하고 반복 가능한 측정을 보장한다. 비케이인스트루먼트는 25년 이상의 분광학 측정 장비 제작
플래그십 협동로봇 시리즈 ‘인디’에 이식...모방학습·충돌회피 등 차세대 AI 기능 ‘착착’ “자율성, 작업 능력 갖춘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기반될 것” 뉴로메카가 인공지능(AI) 기반 충돌회피(Collision Avoidance) 기능을 발표했다. 이 기술은 자사 협동로봇 시리즈 ‘인디(Indy)’에 접목됐다. 뉴로메카는 이로써 지난해 선보인 ‘모방학습(Imitation Learning)’ 기술에 이어 또 다른 AI 기능을 추가하게 됐다. 충돌회피는 다양한 객체를 3차원화해 정확히 인식하는 뎁스 카메라(Depth Camera)와 라이다(LiDAR)를 기능의 핵심으로 한다. 작업 중 회피가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고, 실시간으로 안전 경로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로봇의 자율성·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 모방학습 기능은 작업자의 업무 데이터를 AI가 학습해, 로봇이 이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복잡한 동작과 패턴을 그대로 재현해, 다양한 비정형 업무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기술은 지난 1월 인디에 본격적으로 이식됐다. 뉴로메카 측은 이 같은 AI 기능을 통해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구현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스마트 제조의 혁신적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3D 로봇 비전이 ‘2025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픽잇코리아의 발표를 통해 구체화될 전망이다. 픽잇코리아의 박찬웅 매니저는 이번 발표에서 픽잇의 최신 3D 로봇 비전 솔루션과 이를 활용한 자율 제조의 미래를 조망하며 제조업 자동화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다. 픽잇코리아는 별도의 복잡한 코딩 없이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3D 비전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특히, 신규 출시된 픽잇 2세대 카메라는 향상된 해상도와 넓어진 시야각을 바탕으로 투명하거나 반사되는 물체도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세미나에서 소개될 3D 로봇 비전의 주요 응용 분야는 크게 빈 피킹(Bin Picking)과 로봇 가이던스(Robot Guidance)다. 빈 피킹은 무작위로 적재된 부품을 정확히 인식하고 자동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작업자의 부담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로봇 가이던스는 크고 무거운 부품의 위치와 자세를 자동으로 보정해 조립 및 검사 공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과거 비교적 단순한 구성요소로 시작된 제조업은 디지털화(Digitalization)·지능화(Intelligentization) 수순으로 넘어가면서 그 시스템이 점차 복잡해지고 있다. 그에 따라, 적용되는 기술적 수준 또한 고도화된 면모를 발산하는 모양새다. 인공지능(AI)을 필두로, 머신러닝·머신비전·로보틱스·디지털 트윈(Digital Twin)·정보통신기술(ICT) 등 최첨단 기술이 향후 제조업 비전 달성에 핵심으로 활약할 것으로 보인다. 이 양상에서 중소 규모 조직이 많은 제조업 특성상, 자신들의 시스템에 첨단 기술을 이식하기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우리 정부는 주관부처·전담기관을 선정해 우리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주관하는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이 대표적인데, 이 사업을 통해 3만 여개의 제조 기업이 스마트 팩토리를 실현했다. 반면 전문가들은 여전히 자동화·지능화 제조 설비 구현을 희망하는 기업은 많다고 조언한다. 그렇다면 국내 제조 생태계가 고르게 디지털화·지능화로 나아가기 위한 방안은 뭘까? 이달 18일 제조 디지털 전환(DX), 스마트 제조 실현 방법론을 공유하는 ‘2025 스마트 제조
스마트제조SW, 스마트오퍼레이션, 스마트매니지먼트 등 다양한 주제로 열려 스마트 제조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제조 전문 컨퍼런스가 열린다. '2025 스마트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가 오는 2월 18일(화) 온라인 웨비나로 개최된다. 18일을 시작으로 20일까지 3일간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1일차(Keynote & 스마트제조SW), 2일차(스마트오퍼레이션 & 스마트퀄리티), 3일차(스마트매니지먼트 & 스마트제어시스템)로 나뉘어 각각의 주제에 맞는 전문 발표가 진행된다. 주최 측은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제조업의 모든 영역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이에 스마트제조 대전망 컨퍼런스는 대한민국 제조 산업의 미래를 그리는 혁신적인 기술과 전략을 소개하는 행사다. 이 컨퍼런스는 최신 트렌드와 기술적 통찰을 얻을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스마트제조 대전망 컨퍼런스는 스마트 제조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조망하며, 업계를 선도하는 전문가들이 모여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 협동로봇, 머신비전, 산업용 통신 등 스마트 제조 핵심 분야의 최신 사례와 기술 발전 방향을 심도 있게 논
스마트 제조 분야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2025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가 오는 2월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 제조업의 미래를 설계하고 스마트 제조 핵심 기술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제조업계 종사자들에게 필수적인 최신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특히 이번 컨퍼런스는 스마트 제조의 현재와 미래를 폭넓게 조망하고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 협동로봇, 머신비전 등 다양한 기술을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 이를 위해 각 분야의 국내외 전문가들이 발표자로 나서 혁신적인 솔루션과 최신 사례를 공유하며 참가자들에게 실질적인 영감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 실시간 질의응답과 토론 세션을 통해 참가자들이 발표자들과 직접 소통하고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된다. 이번 컨퍼런스는 AI 기반 제조 혁신, 스마트 공정 관리, 디지털 전환 기술 등 제조업의 다양한 요구에 맞춘 맞춤형 세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션을 통해 참가자들은 각자의 관심 분야에 맞는 정보를 얻고 스마트 제조의 지속 가능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할 수 있다. 그 중 19일에 진행되는 2일 차 행사에서는 ‘
1일차에 기조강연 및 스마트제조소프트웨어 주제로 한 전문 세션 진행 스마트 제조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제조 전문 컨퍼런스가 열린다. '2025 스마트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가 오는 2월 18일(화) 온라인 웨비나로 개최된다. 18일을 시작으로 20일까지 3일간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1일차(Keynote & 스마트제조SW), 2일차(스마트오퍼레이션 & 스마트퀄리티), 3일차(스마트매니지먼트 & 스마트제어시스템)로 나뉘어 각각의 주제에 맞는 전문 발표가 진행된다. 주최 측은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제조업의 모든 영역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이에 스마트제조 대전망 컨퍼런스는 대한민국 제조 산업의 미래를 그리는 혁신적인 기술과 전략을 소개하는 행사다. 이 컨퍼런스는 최신 트렌드와 기술적 통찰을 얻을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스마트제조 대전망 컨퍼런스는 스마트 제조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조망하며, 업계를 선도하는 전문가들이 모여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 협동로봇, 머신비전, 산업용 통신 등 스마트 제조 핵심 분야의 최신 사례와 기술 발전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할
Q. 리즈텍시스템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리즈텍시스템은 2015년 7월 설립 이후 IoT 제품 및 헬스케어 제품 개발 전문 기업으로 보다 차별화된 제품 개발에 주력해 왔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발명 특허 대전’과 ‘SBA 서울 어워드’에 이어 최근 CES 2025에 참석해 왔고 특허와 지적재산권을 비롯해 기타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고객 만족을 위해 더욱 더 열심히 증진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입니다. 경영철학인 ‘꿈을 현실로, 생활을 행복하게’를 토대로 고객 생활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입니다. Q. 지난 2025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 리즈텍시스템이 참여했습니다. 이번 CES 2025에서 선보였던 솔루션과 현지 반응이 어땠습니까. A. 이번 CES에서는 스마트헬스케어 지팡이와 보행기를 전시해 해외 바이어와 구매자에서 기술적인 협력과 구매에 대한 많은 호응을 받았습니다. 특히 캐나다를 비롯한 북미 헬스케어 시장의 경우, 실버산업이 활성화 되고 복지정책으로도 일부 금액이 제공이 되지만 스마트 헬스케어 부문에서는 미흡한 면이 있었던 만큼 북미시장 바이어에게 호응도
12일부터 사흘간 코엑스서 국내 최대 전력·에너지 전시회 ‘ELECS 2025’ 참가 구자균 회장 “세계가 인정한 혁신 기술 앞세워 슈퍼사이클 시대 승자 될 것” LS일렉트릭이 AI 데이터센터 맞춤형 패키지 솔루션을 비롯한 차세대 전력 제품을 선보이며 전력 슈퍼사이클 시대의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LS일렉트릭은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스마트 전력·에너지 전시회인 ‘일렉스 코리아 2025(Electric Energy Conference & Show)’와 ‘코리아 스마트 그리드 엑스포 2025’에 최대 규모로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LS일렉트릭은 50부스 규모의 전시 공간을 마련해 ‘고객을 향한 무한 혁신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주제로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탄소제로 에너지 △스마트팩토리 등 5개 존을 구성한다. 주요 전시 제품으로는 △초전도 전류제한기 △스마트 배전반 △반도체 변압기(SST) △반도체 차단기(SSCB) △공조 시스템 등이 포함된 데이터센터 맞춤형 패키지 솔루션이 소개된다. 특히, 기존 데이터센터뿐만 아니라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에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한 ‘하이퍼그리드 NX’
표철민 대표가 이끄는 AI3는 생성형 AI의 대중화와 기업 맞춤형 솔루션 제공에 주력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초기 B2C 모델로 시작해 B2B 솔루션으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마친 웍스AI는 대기업 및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생산성 도구로 자리 잡았다. 특히 LS그룹과 서울시 교육청 같은 주요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커스터마이징된 AI 환경을 구축하며 한국형 업무 환경에 최적화된 기능과 가격 경쟁력으로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무엇보다 웍스AI는 단순히 대기업에 한정된 기술이 아닌, 중소기업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가격 정책을 통해 소규모 감자탕집부터 대규모 건설사까지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웍스AI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국내 특화형 생성형 AI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대기업부터 공공기관까지, 웍스AI에 흠뻑 빠지다 웍스AI는 단순한 AI 솔루션 개발을 넘어 한국형 업무 환경에 특화된 AI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목표에서 시작됐다. 표철민 대표는 챗GPT가 글로벌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던 시기에 이를 활용한 맞춤형 제품을 구상했다. 초기에는 번역을 기반으로 한 네이티브 스피커용 AI로 출발했지만, 챗GPT의 빠른 한국어
산업용 카메라 제조업체 노비텍이 i-Nova3 및 i-Nova4 시리즈를 통해 ITS(지능형 교통 시스템) 및 FA(공장 자동화)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i-Nova 시리즈는 각각 8.9MP(i-Nova3)와 5MP(i-Nova4) 해상도를 지원하며, 3-Motorized 줌 렌즈를 탑재해 줌, 포커스, 조리개를 카메라 자체에서 제어할 수 있는 줌 시리즈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 시리즈는 글로벌 표준인 ONVIF(Open Network Video Interface Forum)와 GenICam(Generic Interface for Cameras)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하여 영상 감시와 머신비전 시스템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ONVIF 프로토콜은 IP 기반의 영상 감시 시스템을 위한 표준으로, NVR(Network Video Recorder) 및 VMS(Video Management System)와의 호환성을 제공하며, RTSP 기반의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도 지원한다. 반면, GenICam은 머신비전 카메라의 표준 인터페이스로 다양한 산업용 카메라 및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성을 보장하고 고성능 이미지 처리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노비텍의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