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총회 및 신년 교류회서 전국 산업단지 ‘수출 및 DX 역량 강화’ 의지 피력해 “KIBA FAIR 비롯 다양한 정책 통해 세계적 수준의 산업단지 생태계 만들 것” 우리나라 산업단지는 1964년 처음 구축돼 국내 산업 발전과 함께했다. 현재 전국에 1327개 산업단지, 12만 개사 입주 업체가 분포돼 있다.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이를 기반으로 우리 제조업에서 생산 60.6%, 수출 65.5%, 고용 47.9%의 비중으로 활약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단지는 디지털화(Digitalization)·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등 글로벌 어젠다가 급부상함에 따라 새 국면에 직면했다. 여기에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력 부족, 지역 간 불균형, 각종 규제, 열악한 근무 환경 등 과제도 상존해있다. (사)한국산업단지경영자연합회(이하 KIBA)와 한국산업단지공단(이하 KICOX)은 다양한 정책 및 로드맵을 통해 국내 산업단지의 앞선 과제 극복과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전국 산업단지 회장단을 필두로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 특히 지난해 출범한 KIBA 이계우 회장 체제는 상생화합 교류회 및 워크숍, 성과 보고회 및 송년 교류회, 지역 경협 역량 강화 사업,
에이딘로보틱스가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 민트로봇과 차세대 로봇팔 교시 장치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로봇팔의 동작과 프로그래밍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양사는 다양한 분야 로봇을 타깃으로 하는 로봇팔 교시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6축 힘·토크 센서를 적용하고 다방면에서 협업을 진행한다. 로봇팔을 프로그래밍을 하기위해선 티칭 팬던트 같은 전통적인 방식에 의존해야 했으며, 서비스 로봇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양사는 이번 협업을 통해 산업용 로봇부터 서비스 로봇, 휴머노이드 영역까지 적용 가능한 교시 장치로 개발해 완성할 예정이다. 에이딘로보틱스는 20년 넘게 축적해온 필드 센싱(Field Sensing) 기술을 바탕으로 미주 및 유럽지역의 경쟁사 대비 1/5 가량 원가를 절감하면서 외부 환경에 뛰어나게 대응하는 힘·토크 센서를 자체 개발해 국내외 다수 기업에 공급하고 있다. 또한 힘·토크 센서 라인업과 더불어 휴머노이드 로봇에 적용 가능한 택타일 센서 등도 현재 개발 중이다. 민트로봇은 로봇팔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로봇 플랫폼에 대한 설계, 제어, 제
이글루코퍼레이션이 선박 보안 안정성 향상을 위한 선박 보안관리 방법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이번에 취득한 특허는 선박 내 자산에 대한 가시성 확보 및 비정상적 장비 선별·알림으로, 선박 보안관리 품질을 높인다. IACS UR E26/27 규정 준수를 요구하는 선박자산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생성함으로써 선박 내 보안 위협을 효율적으로 탐지 및 관리한다. 더불어 로그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등 비정상 장비 발생에 대한 자동 알림으로 위협 대응력을 높인다. 이번 취득을 계기로 이글루코퍼레이션은 스마트선박 OT 환경에 최적화된 ‘운영기술 보안 정보 및 이벤트 관리(OT SIEM)’ 사업 확장에 가속화를 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선박용 OT SIEM 구축 및 실증 노하우를 토대로 솔루션 기능을 고도화하고 다양한 조직 환경에 부합하는 경량화 라인업 확장을 목표로 한다. 2024년 국내 최초로 선내 시스템 및 장비의 사이버복원력 규정인 ‘IACS UR E27’ 인증을 획득한 것에 이어 OT SIEM 기술력을 증명할 국내외 인증 획득도 이어갈 계획이다. 이득춘 이글루코퍼레이션 대표는 “사이버 위협 다변화 추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할 보안
에이디링크 테크놀로지는 MediaTek Genio 510 시리즈 프로세서를 탑재한 ‘OSM-MTK510’를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OSM R1.1 Size-L 규격을 준수하는 662 BGA 모듈인 이 OSM 솔루션은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됐으며, 실시간 의사 결정 및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위한 AI 워크로드에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OSM-MTK510은 강력한 6코어 CPU를 기반으로 하며 고성능 작업을 위한 2개의 Arm Cortex-A78 코어와 초저전력 소비를 위한 4개의 Arm Cortex-A55 코어로 구성됐으며 소비 전력은 5W 미만이다. MediaTek DLA+VPU AI 엔진을 통해 최대 3.2 TOPS의 AI 연산 성능을 제공해 실시간 지능형 의사 결정을 가속화한다. 통합된 신경처리장치(NPU)를 통해 OSM-MTK510은 AI 모델 추론 속도를 향상시키고 머신러닝 작업을 뛰어난 효율성으로 최적화한다. 최대 8GB LPDDR4 RAM 및 128GB eMMC와 결합돼 대용량 데이터셋과 AI 연산 작업을 위한 효율적인 처리 및 안정적인 스토리지를 지원한다. 앙리 파르멘티에 에이디링크 수석 제품 매니저는 “30MP 해상도
한국에머슨이 오는 3월 5일부터 7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COEX)에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이차전지산업 전문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InterBattery 2025)’에 참가한다. 한국에머슨은 이번 전시에서 ‘무한 자동화(Boundless AutomationS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공정 운영 최적화로 생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배터리 밸류체인 전반을 혁신하는 자동화 솔루션을 소개한다. 배터리를 생산하는 공정의 설계, 실행 및 운영, 유지 보수까지 생산성과 안전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별화된 기술 및 제품 포트폴리오를 선보일 예정이다. 에머슨의 새로운 자동화 아키텍처 ‘무한 자동화’는 정밀하고 지능적인 필드 디바이스와 공정 제어 및 모니터링을 확장함으로써 배터리 밸류체인 최적화를 지원하여 공정의 퍼포먼스와 유연성을 높인다. 또한 안전하고 최적화된 운영 환경을 구축하고 디지털화된 자산 관리 시스템으로 핵심 자산 성능을 극대화하는 등 배터리 제조 공정의 생산성과 운영 효율성을 향상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배터리 산업의 주요 과제를 해결하는 에머슨의 솔루션은 세 가지 핵심 세션으로 나누어 만나볼 수 있다. ‘인텔리전트 필드
과기부·NIPA ‘2025 AI 바우처 사업’ 공급기업으로 선정 버넥트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하는 2025 AI 바우처 사업의 공급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버넥트는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AI 솔루션 도입을 지원하며 국내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DX)과 업무 자동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AI 바우처 사업은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을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수요기업)과 AI 솔루션을 보유한 기업(공급기업)을 연결하는 정부 지원 프로그램이다. AI 도입을 원하는 기업이 공급기업의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바우처 형식으로 비용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이 초기 투자 부담 없이 AI 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버넥트는 이번 AI 바우처 사업을 통해 제조, 건설, 물류, 교육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 솔루션을 공급할 예정이다. 대표적으로 VisionX는 이번 CES에서 혁신상을 수상한 AI 보안경으로, 음성 인식(STT)과 AR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 정보 제공 및 원격 협업을 지원한다. 작업자는 음성 명령만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안전성과 작업 효율성을 극대
정밀 계측 기술 및 배터리 산업 특화 솔루션 전시 산업 전반의 혁신을 위한 고객 맞춤형 전략 강화 글로벌 산업자동화 계기·솔루션 전문기업 한국엔드레스하우저가 오는 3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규모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와 아시아 대표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 ‘스마트팩토리·자동화산업전(AW 2025)’에 참가해 스마트 공정 혁신을 위한 다양한 첨단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엔드레스하우저는 배터리 산업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의 효율성 증대, 안전성 강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는 최첨단 계측 기술과 디지털 솔루션, 그리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소개할 예정이다. 70년 이상의 업력을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산업 현장의 스마트화를 가속화하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 한국엔드레스하우저는 이번 전시에서 △코리올리스 질량 유량계 △레벨계 △압력 및 차압계 △온도계 △pH 센서 등 다양한 정밀 계측 솔루션을 선보인다. 특히, 코리올리스 질량 유량계는 다중 주파수 기술을 활용해 점도가 높은 유체나 기포가 포함된 유체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유량과 점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갖추고 있다. 또한 레벨계는
돈가스·우동·라면·찌개 등 5가지 이상 품목 조리 구현해 “휴게소 운영 효율화에 기여...협동로봇 일상화 사례 구축했다” 한화로보틱스가 광주 방향의 대구 논공 휴게소에 협동로봇 형태의 조리 로봇을 구축했다. 한화로보틱스는 협동로봇 ‘HCR-5A’를 설치했다. 해당 로봇은 한식 레시피를 학습해 돈가스·우동·라면·찌개 등 다섯 가지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휴게소 측은 이번 조리 로봇 도입으로, 휴게소 푸드코트 24시간 운영 시대가 열렸다고 평가했다. 이로써 한화로보틱스는 지난해 7월부터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5곳에 조리 로봇을 배치한 데 이어, 도입 레퍼런스를 확충하게 됐다. 그동안 당사 로봇이 도입된 남양주 수동 휴게소, 익산 여산 수게소, 김해 진영 휴게소, 경주 건천 휴게소 등이다. 정병찬 한화로보틱스 대표는 “산업 현장에서 활약했던 협동 로봇이 이제는 일상으로 본격 진출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우리 삶의 질을 높이는 다양한 로봇 기술을 선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오토메이션월드 최재규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총 650억원 규모로 3개의 산업기술정책펀드를 새로 조성한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2009년부터 운영 중인 산업기술정책펀드는 대기업·중견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을 통한 기술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조성됐다. 누적 조성액은 총 2조4976억 원이다. 산업부는 올해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스케일업 7·8호 펀드’를 각각 250억 원 규모로 조성한다. 또한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기술 창업을 지원하고자 ‘공공기술 창업펀드’도 150억 원 규모로 새로 만든다. 제경희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펀드를 통해 기술 지원, 네트워크, 자금이 필요한 중소·중견기업의 스케일업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공공기술 연구개발 성과가 창업과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오토메이션월드 김승준 기자 |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가 컴퓨트 마리타임(Compute Maritime, CML)과 협력해 선박 설계와 시뮬레이션을 혁신하고 선박 설계 산업에서 생성형 AI의 경계를 넓히겠다고 14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선박 설계 및 최적화를 위한 컴퓨트 마리타임의 주력 플랫폼인 뉴럴쉬퍼(NeuralShipper)와 지멘스의 전산 유체 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및 결과 검증을 위한 Simcenter STAR-CCM+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새로운 연료 유형이나 에너지 절약 장치를 도입하면 배기가스를 저감하고 연료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선박은 본래 이러한 기술이나 연료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지 않아 최대 절감 효과를 이끌어 내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혁신을 완전히 활용하려면 신규 선박은 처음부터 이러한 기술을 통합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돼야 한다. 드미트리 폰크라토프 지멘스 시뮬레이션·테스트 솔루션 부문 조선해양 담당 디렉터는 “뉴럴쉬퍼와 Simcenter STAR-CCM+의 결합은 다분야 설계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식을 재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이를 통해 새로운
4D 이미징 레이더가 모빌리티 산업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이 기술은 거리, 속도, 각도, 높이를 더욱 정밀하게 분석하며, 객체의 움직임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적해 더욱 높은 해상도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비트센싱은 자율주행과 스마트 시티의 미래를 이끄는 핵심 기술로 부상한 4D 이미징 레이더를 개발하며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에 비트센싱 이재은 대표를 만나 비트센싱 고유의 레이더 기술과 기술 개발 및 사업 전략에 대해 이야기 나눠봤다. 인정받은 레이더 기술로 성과 달성하다 4D 이미징 레이더는 날씨나 조명 조건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것이 특징이다. 즉, 악천후 속에서도 안정적인 고해상도 환경 인식을 제공한다는 의미다. 기존 라이다 대비 제조 공정이 단순하며, 비용 효율성이 높아 상용화 가능성을 확대한다. 4D 이미징 레이더는 예상치 못한 도로 상황에서도 신속한 대응을 지원하며, 자율주행 센서 융합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자율주행차는 여러 센서를 융합해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4D 이미징 레이더는 속도와 움직임의 방향과 같은 비시각적 정보를 보완하며 시스템 정밀도를 높인다. 또한, V2X 기술과 결합해 실시간
에이디링크 테크놀로지는 초소형 저전력 엣지 컴퓨팅 플랫폼 ‘MXE-230’에 Hailo-8 AI 가속기가 통합됐다고 13일 발표했다. 에이디링크는 이번 통합을 통해 비디오 분석, 세분화, 이상 감지, 트랜스포머 등 다양한 AI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사용자 친화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 하드웨어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감시 시스템, AI AOI, 빈 피킹(bin picking), 자율 주행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26 TOPS의 AI 컴퓨팅 성능을 갖춘 MXE-230은 클라우드 기반 리소스 없이도 AI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엣지 AI 환경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MXE-230의 주요 특징은 ▲12W 저전력 Intel Processor N97 ▲최대 16GB DDR5 4800MHz 메모리 ▲20°C ~ 60°C 넓은 작동 온도 범위 ▲2개의 독립적인 4K 60fps 디스플레이 출력 지원 ▲TPM 2.0 보안 기능 지원 등이다. Hailo-8 AI 가속기를 MXE-230에 통합함으로써 시스템에 AI 컴퓨팅 성능이 추가돼 엣지에서 AI 모델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MXE-230은 자체적으로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의 ‘AD-GMSL2ETH-SL’ 엣지 컴퓨팅 플랫폼을 공급한다고 13일 밝혔다. 이 첨단 싱글 보드 컴퓨터(sing-board computer, SBC)는 8개의 GMSL(Gigabit Multimedia Serial LinkTM) 인터페이스에서 10Gb 이더넷 링크로 저지연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AD-GMSL2ETH-SL은 자율로봇 및 자율주행차량을 비롯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머신 비전 및 실시간 센서 융합을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현재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ADI의 AD-GMSL2ETH-SL은 2개의 MAX96724 쿼드 터널링(Quad Tunneling) GMSL2/1-대-CSI-2 디시리얼라이저를 탑재하고 있어 8대의 GMSL 카메라와 연결할 수 있다. 각 카메라는 채널당 최대 6Gbps의 속도를 지원한다.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는 MIPI CSI-2 인터페이스를 통해 MAX96724 디시리얼라이저에서 AMD의 KV26 SOM(System on Module)로 전송된다. AMD의 SOM은 8대의 모든 GMSL 카메라에서 수집한 영상 데이터를 집계한 후 10Gb 이더넷 링크를 통해 CPU로 전
오토닉스가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자동차, 포장, 반도체, 물류 등 자동화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적용 가능한 하이엔드 제품과 기술을 선보인다. 오토닉스는 이번 행사에서 제품군에 따라 4개의 존을 운영해 다양한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다. SCADA 존은 소각로·수처리·수소 충전소·스마트팜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응용 작화를 전시하면서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데이터 통합 관리 솔루션 시연하고 고객 체험을 제공한다. SAFETY 존에서는 라이트 커튼, 컨트롤러, 도어 스위치, 스위치 등 세이프티 풀 라인업 전시하고 펜스 양면 구조물을 활용한 안전 제품 체험 공간 마련했다. 또한 Safety 사인 조명과 천장 조명을 활용한 포토존을 운영한다. SENSORS 존은 LiDAR, 변위센서, 초음파센서, 머신비전 등 다양한 센서 제품군 데모키트를 전시해 제품의 실제 구동 모습을 볼 수 있고 전용 소프트웨어 체험 기회를 함께 제공한다. CONTROLLERS 존에서는 제어 모듈과 전력 모듈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듈형 멀티 채널 전력 조정기 SPRS 시리즈 출시를 앞두고
포스로직(FOURTHLOGIC)은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고성능 컴퓨터 비전 솔루션을 선보인다. 포스로직은 2D, 3D, AI 기반의 최첨단 비전 알고리즘을 통합한 단일 컴퓨터 비전 라이브러리 에프엘이미징®(FLImaging®)과, 노드 기반의 자동화 프로그래밍 솔루션 SNAP®을 출품한다. 이 두 가지 솔루션은 빠르고 정밀한 비전 데이터 처리, 직관적인 개발 환경, 고성능 AI 연산 기능을 제공해 산업 자동화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에프엘이미징®(FLImaging®)은 Rule-Based 및 딥러닝 비전 프로세싱을 통합한 고성능 컴퓨터 비전 라이브러리로, 1,300개 이상의 고성능 비전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다. 100% 독자적인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처리 속도, 정확도 및 안정성을 보장하며, CPU & GPU 최적화를 통해 초고속 연산을 지원하고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를 무손실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픽셀(Sub-pixel) 정밀도를 지원해 초정밀 분석이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도 강력한 이미지 처리 신뢰성을 제공한다. 직관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