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Vision(이하 신스비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초고속 레이저, 3D 프로파일러 제품 라인업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신스비전이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3D 레이저 프로파일러는 산업용 표면 검사를 제공하는 고해상도 센서로, X축에서 6,400 포인트의 프로파일을 제공하며 Z축 반복 정확도는 최대 0.1μm라고 전했다. 또한 3D와 2D의 데이터를 결합하여 완전한 검출을 수행하여 위치 지정, 코드 판독, 문자 인식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신스비전은 2014년에 설립되어 산업용 센서의 연구 및 개발 생산에 주력해 왔으며, 특히 과학 연구를 더불어 방위 산업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였다. 신스비전의 주요 제품으로는 ▲3D 레이저 프로파일러, ▲레이저 변위 센서, ▲스펙트럴 컨포컬 변위 센서 등이 있으며
뷰런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용 카메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뷰런이 선보인 USB 3.0 오토포커스 카메라는 머신 비전 시스템에서 측정 거리(Working Distance) 변화에도 선명한 포커스 영상을 제공하는 제품이다. 소프트웨어 기반 One Push 자동 초점 기능을 탑재하여 거리 변동에도 안정적인 초점을 유지하며, Aptina CMOS 센서를 적용해 저조도 환경에서도 우수한 이미지 품질을 지원한다. 또한, Gain 및 Exposure Time 조정 기능을 포함한 이미징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 또는 수동 조정이 가능하며, 컴팩트한 크기로 기존 애플리케이션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영상획득 및 처리기술 적용 및 개발 전문회사다. 산업용 카메라(Windows, Embedded Linux) 및 관련 컴포넌트 공
ZIVID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로봇 자동화를 위한 최신 3D 카메라 라인업 ‘Zivid 2+ R Series’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Zivid 2+ R Series'는 로봇 자동화를 위한 최신 3D 카메라 라인업으로, 기존 대비 3배 빠른 속도와 향상된 시각 인식을 구현한다. 이 제품은 2D 및 3D 데이터를 통합하여 AI 기반 세분화에 최적화된 이미지 품질을 지원하며, 주변 조명 및 온도 변화에도 일관된 성능을 유지해 다양한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한다. Zivid 2+ R Series는 MR60, MR130, LR110 세 가지 모델로 구성되며, 각각 조립, 피스 피킹, 대형 빈 피킹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 맞춰 설계되었다. Zivid는 로봇 및 산업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3D 머신 비전 카메라 및 소프
Euresy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이미지 분석 라이브러리 및 소프트웨어 도구인 ‘Open eVision 라이브러리’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Open eVision은 머신 비전 검사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하드웨어 독립적인 이미지 처리 및 분석 라이브러리로, 다양한 이미지 소스와 호환된다. 프레임 그래버, GigE Vision, USB3 Vision 카메라를 포함한 다양한 장비를 지원하며, 딥러닝 및 3D 분석과 같은 최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정확한 서브 픽셀 측정 및 보정 기능을 제공하며, Windows(x86-64), Linux(x86-64 및 ARMv8-A)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64비트 라이브러리로 개발되었다. 또한 C++, Python, .NET 프레임워크(C#, VB.NET, C++/CLI)를 지원한
포스로직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이미지 프로세싱・딥러닝 머신 비전 라이브러리 ‘에프엘이미징’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에프엘이미징은 2D・3D・AI 기반 머신 비전 알고리즘을 통합한 이미지 프로세싱 및 딥러닝 비전 라이브러리이다. 고속 이미지 처리, AI 검사, 3D 복원 및 매칭 알고리즘을 지원하며, SIMD 기반 멀티코어 병렬 연산 및 GPU 가속화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그래밍 없이 시각적 인터페이스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며, C++ 및 C# 예제 코드 1000여 개를 지원한다. 2019년 10월 설립된 포스로직은 컴퓨터 비전 전문 기업으로, 2D, 3D 및 AI 기반 비전 알고리즘을 단일 UX/UI 및 일관된 API 구조로 통합한 에프엘이미징 라이브러리를 자체 기술로 개발·공급하고 있다. 또한, 국내 인공지능 원천 기술
씽크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AVAL DATA Giga Connection 보드(APX-7402)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APX-7402는 Point-to-Point 통신, 라인 및 링 방식 접속이 가능하며, 최대 31대까지 연결할 수 있다. 광 모듈 40Gbps 2채널을 탑재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며, DDR3-SO-DIMM(2GB) 메모리 2개를 통신 메모리로 적용했다. 노드 간 거리는 최대 100m까지 연장 가능하며, 프로토콜 처리는 하드웨어 기반으로 실현했다. 또한, 하드웨어 CRC 및 하드웨어 Retry 기능을 통해 통신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했으며, LED 및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케이블 단선 여부 확인 기능을 지원한다. DMA 컨트롤러를 내장해 CPU를 거치지 않고 직접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PCI-E
넥센서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대면적 백색광 간섭 변위 측정 센서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대면적 백색광 간섭 변위 측정 센서 nXI-2는 간섭 측정법이 적용된 정밀 측정 장비로, 넓은 영역에서의 정밀 측정을 지원한다. 기존 간섭 측정법보다 10배 이상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제공하며, 공정 효율 및 생산 품질 개선에 활용된다. 단차, 두께 측정이 가능하며, 반도체 구조·범프 측정, 디스플레이 표면 구조 분석 등에 적용된다. 최대 F.O.V 33㎜ × 22㎜까지 측정할 수 있어 다양한 제품 측정에 활용된다. 넥센서는 반도체 생산 전 공정을 위한 3D 광 계측 토탈 솔루션을 연구·개발·생산하는 기업이다. 세계 주요 반도체 제조 기업에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으며, 고객사의 신기술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진행한다. 또한, 계측 데이터
(주)플리어시스템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스마트 센서 열화상 카메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FLIR A50/A70 스마트 센서 열화상 카메라는 산업 제어 및 모니터링 네트워크와 호환되는 내장형 분석 기능과 온도 기반 측정 도구를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상태 모니터링 및 조기 화재 감지 등의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해당 카메라는 Wi-Fi 옵션, 통합 비주얼 카메라 및 ONVIF S 호환성(고급 버전 한정)을 지원하며, 다양한 산업 자동화 환경에서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플리어시스템코리아는 열화상, 실화상, 영상 분석, 측정 및 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감시 솔루션을 개발·제공하는 기업이다.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 및 파악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설계, 개발, 제작하며, 이를 활용한 제품
바움뉴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용접 워크스테이션 등 산업용 로봇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용접 워크스테이션은 주류 레이저 추적 센서를 지원하며, 디지털 및 아날로그 통신 기능을 통해 포괄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TIG, MIG, MAG, 플라즈마 커팅, 레이저 용접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용접 공정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용접 공정 파라미터를 다중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바움뉴텍은 고정밀, 고속, 고하중을 핵심 개념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을 국내에 공급하며, 품질과 성능 향상에 기여해 왔다. 주요 공급 제품으로는 고정밀 하모닉 감속기, 유성 치차 감속기, 산업용 로봇, 리프고 고속 UP/DOWN 시스템 등이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동 솔루션을 제공한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
주원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초정밀 피에조 스테이지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주원은 이번 전시에서 피에조 스테이지를 선보였다. 초정밀 위치 결정을 핵으로 한 요소기술을 기반으로 반도체·디스플레이·MEMS·바이오·미세가공·소재에 초정밀 스테이지를 공급한다. 피에조 스테이지는 빠른 응답성과 높은 정밀도를 갖추고 있으며, 나노 단위의 분해 등으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주원은 환경 및 설비 감시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과 산업용 시험기기의 판매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THK PRECISION CO., LTD.의 대리점으로 초정밀 위치 결정 장치를 취급하고 있으며, 압전소자를 활용한 피에조 스테이지를 기본형 및 고객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국내 주요 기업, 대학, 정부 산하 연구소 등에 최첨단 실험, 측정, 계측, 분석
현대오토에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DF, Software Defined Factory)’ 솔루션 ‘네오팩토리(NNNEO Factory)’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현대오토에버가 공개한 네오팩토리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생산, 품질, 데이터 관리 등 모든 제조 시스템을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통합하고 제어하는 SDF 솔루션이다. 네오팩토리는 'NEO'의 ‘3N’이 의미하듯 새로운 기술(NEO Technology), 새로운 생활(NEO Life), 새로운 경험(NEO Experience)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DF는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핵심 기술로 기존의 물리적 장비 중심 공장을 소프트웨어 중심의 유연한 생산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개념이다. 현대오토에버는 네오팩토리를 통해 4M(Man,
현대글로비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사의 스마트물류솔루션 사업 역량과 물류 자동화 기술력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이번 전시에서 ‘스마트물류 특별관’에 부스를 마련하고, 물류 자동화 기술과 디지털 전환(DX)을 통한 스마트물류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물류솔루션은 물류 전 과정에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로보틱스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적용해 물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시스템이다. 현대글로비스는 최적화된 시뮬레이션 알고리즘, 로봇기술, AI, 디지털 트윈(가상모형) 등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사의 물류 환경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현대글로비스는 2023년 물류 자동화 소프트웨어 기업 알티올(Altiol)의 지분 70%를 인수하며 스마트물류 기술력을 강화했다. 이를 바탕으로 유통, 소비재,
Nortech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CoaXPress over Fiber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CoaXPress는 최근 개발된 카메라 표준이다. CXP케이블 1개당 최대 전송 속도가 6.25Gbps 또는 12.5Gbps이며, 정확한 75 Ω 임피던스를 가진다. 100% 스캔 테스트를 거친 케이블로 Intercon 1 CoaXPress 케이블 에셈블리는 CoaXPress 표준으로 JIIA에 의해 인증되었다. 1990년 설립된 Nortech은 전자 제조 서비스(EMS)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하네스 연결 솔루션, 인쇄회로기판(PCB) 조립 및 수리, 고급 조립 및 시스템 통합 서비스를 포함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산업용 연결 부품 및 케이블을 생산한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
IoT 기반 물류 인텔리전스 솔루션 기업 윌로그가 대전광역시에서 추진하는 의료용 드론 배송 실증사업에 참여한다. 이번 사업은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2025 드론실증도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드론을 활용한 도심 내 실시간 의료물자 배송 체계를 검증하는 프로젝트다. 이번 사업은 혈액, 검체, 응급약품 등을 신속하게 수송하여 교통 체증이나 긴급 상황에서도 의료물자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대전시를 중심으로 국군대전병원, 태경전자 등과 협력하여 추진하는 전국 최초의 의료용 드론 실증사업으로 향후 의료 분야에서 드론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는 중요한 사례가 될 전망이다. 윌로그는 의료용 드론의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하고 혈액·검체·의약품 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모니터링 및 최적화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윌로그의 센서 디바이스를 통해 운송 중인 의료물자의 온도, 습도, 충격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상 징후 발생 시 관계자에게 즉각 알람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혈액 및 의약품이 최적의 상태로 안전하게 운송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윌로그는 지난 2021년 설립된 이후 IoT 기술을 활용한 물류 데
글로벌 풀필먼트 솔루션 기업 오토스토어가 AI 기반 자동화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물류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번 솔루션은 주문 피킹 자동화, 운영 효율성 향상, 유지보수 간소화를 목표로 캐러셀AI™, 베르사포트, 에센셜 소프트웨어 패키지, 확장된 피오 제품군, 서비스타워 등 총 5가지 기술로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캐러셀AI™는 오토스토어가 처음 선보이는 AI 기반 로봇 피스 피킹 솔루션으로 로보틱스 기술 선도기업 버크셔 그레이(Berkshire Grey)와 협력하여 개발되었다. 이 솔루션은 주문 피킹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연중무휴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며 다양한 SKU를 효율적으로 처리해 풀필먼트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기존 오토스토어 고객은 대규모 인프라 변경 없이 캐러셀AI™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 올해 여름부터 글로벌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베르사포트(VersaPort™)는 물류창고 운영의 유연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차세대 워크스테이션 솔루션이다. 다양한 워크플로우와 고객의 운영 요구 사항에 맞춰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창고 관리 소프트웨어(WMS)와 직접 연동해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작업을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다. 2025년 여름 유럽 및 북미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