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SK텔레콤과 SK스퀘어는 오는 11월 1일 새롭게 출범할 예정이다. 현 SK텔레콤은 주식 매매거래정지 기간(10월26일~11월26일)을 거쳐 11월29일에 SK텔레콤, SK스퀘어로 각각 변경상장, 재상장 된다. SK텔레콤이 지난 12일 본사 T타워 수펙스홀에서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SK텔레콤-SK스퀘어 분할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출석 주식 수 기준으로 인적분할 안건의 찬성률은 99.95%, 주식 액면분할 안건의 찬성률은 99.96%를 기록해 국민연금을 포함한 기관은 물론 개인 주주로부터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박정호 CEO는 “회사 분할의 가장 큰 목적은 주주가치 극대화이며 분할 후 통신과 투자라는 명확한 아이덴티티로 빠른 성공 스토리를 써 나가겠다”며, “지금까지 잘 키워온 포트폴리오 가치를 시장에서 더 크게 인정받고 이를 주주분들께 돌려드릴 것”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 ‘AI∙디지털인프라 서비스’, SK스퀘어 ‘반도체∙ICT 투자전문’ 회사로 SK텔레콤은 AI∙디지털인프라 서비스 회사로 탈바꿈해 2020년 15조 원의 연간 매출을 2025년 22조 원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3대 핵심 사업인 유무선통신, AI 기반 서비스, 디지
헬로티 조상록 기자 | SK텔레콤(이하 SKT)이 11월 1일부터 둘로 나눠진다. 통신 분야는 'SK텔레콤', 반도체 및 정보통신기술 투자 분야는 'SK스퀘어'가 맡는다. SKT는 10월 12일 오전 서울시 중구 SKT T타워에서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주식분할 및 정관 일부 변경의 건, 분할계획서 승인의 건,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의 건 등 3개 안건을 원안대로 승인했다고 밝혔다. 존속회사 SK텔레콤은 유·무선 통신과 AI 기반 서비스, 디지털인프라 서비스 등에 집중한다. 구독사업과 메타버스 플랫폼 등의 신사업도 고도화한다. 2020년 15조 원가량이었던 연간 매출액은 2025년 22조원까지로 늘릴 계획이다. AI 기반 서비스는 지난 8월 출시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구독 서비스 ‘T우주’를 온오프라인 구독 커머스 플랫폼으로 진화시키고,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ifland)’와 연계한 메타버스 사업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디지털인프라 서비스 사업은 5G MEC(모바일에지컴퓨팅) 등을 활용해 성장성이 높은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Industrial IoT 사업을 본격 확대할 예정이다. SK텔레콤 산하에는 유무선통신 사업 등에 시너지를 낼 수 있는 SK브로드밴
[첨단 헬로티] SK텔링크, 발열자 자동탐지 얼굴인식 출입관리 솔루션도 선보일 계획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하면서 보다 스마트한 출입관리 솔루션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얼굴인식만으로 빠르고 쾌적하게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는 얼굴인식 출입관리 솔루션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얼굴인식은 인체를 직접 접촉할 필요가 없어서 전염병 감염 우려가 적고 편의성이 뛰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성이 높다. SK텔링크는 "엘리베이터 층수를 누르기도 주저하는 상황에서 워크스루(walk-through)형 스피드게이트 구현이 가능한 SK텔링크의 얼굴인식 출입관리 솔루션을 찾는 기업 문의가 늘고 있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워크스루 스피드게이트’는 출입 대상자가 인식 장비 앞에 멈춰서거나 접촉할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스피드게이트를 통과하면 보행자의 얼굴을 자동으로 인식해 편리하게 출입관리를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 SK텔링크는 지난해 SK텔레콤이 서울 종로구 소재 센트로폴리스 빌딩에 마련한 5G 스마트오피스에 워크스루 시스템이 적용된 얼굴인식 출입관리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연동한 데 이어 최근에는 마포구 소재 태영빌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