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텍플러스의 빈피킹 시스템은 정해진 위치가 아닌 ‘무작위 적재 제품’의 위치정보를 로봇에게 전송하는 3D 비전기술로, 로봇의 ‘눈과 뇌’ 역할을 함으로써 스마트 제조 시스템의 유연성을 극대화한다. 최근엔 AGV 활용한 자동물류, 부품 자동투입, 바코드검사, AI 비전검사, 자동 패킹 등 공정라인 전체의 자동화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어 통합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SI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라고 한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인텍플러스는 1995년에 카이스트 출신의 연구원들이 3D/2D 측정 및 검사기술을 기반으로 설립한 외관검사장비 전문기업이다. 머신비전이라는 하나의 원천기술로 반도체 PKG 외관 검사, 반도체 기판 외관 검사, 디스플레이 분야 외관 검사, 2차전지 분야 및 자동차 외관 검사, 스마트 팩토리 분야까지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Q. 지난해 비즈니스 성과는 어땠으며, 올해 기대는. A. 2021년 매출은 전년 대비 2배 이상의 실적을 달성했다. 여기에는 반도체 패키지 사업 분야의 시장 점유율 확대, 반도체 기판 분야의 주요 고객사 투자 지속, 2차전지 분야에서 신규 고객사 확보가 크게 작용했다. 또한, 신기술 사업화 그룹을 신
라온피플은 제조 공정에서 검사 및 생산 환경에 최적화된 AI 머신비전 카메라와 소프트웨어를 융합해 유형별 불량을 검출하는 등 효율적이고 스마트한 솔루션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최상의 품질과 제조 성과를 도출해낸다. 2021년 세계가 주목하는 AI 기업 1위에 선정된 바 있으며, 2년 연속 코스닥 라이징스타 기업, 과기정통부 우수기업연구소 선정에 이어 다수의 특허를 출원하면서 지난해 특허경영대상에서 특허청장상을 수상하는 등 기술 기반의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라온피플 이석중 대표는 “공장 자동화에 적용되던 AI 비전검사를 비산업으로 영역을 확대해 사회 및 환경 문제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제조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제조업은 사람 중심의 공정에서 기계, 그리고 로봇으로 발전해왔으며, 로봇은 AI 기술과 융합해 현재는 무인화된 스마트 팩토리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 라온피플은 무인화된 스마트 제조 및 스마트 팩토리 구축 등 산업 전반의 영역에 적용 가능한 AI 머신비전 검사 소프트웨어와 장비를 개발하고 공급하는 기업으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각각의 제
LMI의 3D 센서는 속도, 분해능 등이 크게 개선되었고 쉬운 제품 설치와 프로그램 설정은 이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이기도 하다. 대표 모델인 Gocator 시리즈는 일반 비전 검사 시스템이나 사람이 직접 검사하기 힘든 영역에서 자동 검사 장비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잡았다. LMI 테크놀로지스 소한별 한국지사장은 “매년 꾸준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세계 최고의 3D 센서를 시장에 공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LMI는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에서 라인 컨포컬 3D 센서 Gocator 5512와 라인 레이저 3D 센서 Gocator 2600 시리즈를 선보이며 3D 센서 리딩 기업임을 보여줄 예정이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LMI 테크놀로지스는 캐나다 밴쿠버에 위치한 3D 센서 전문 제조사이다. 라인 레이저 센서를 비롯한 3D 스냅샷 센서, 나아가 라인 컨포컬 센서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 왔으며, 2021년에는 AI 비전검사 전문기업인 Fringe AI를 인수하여 Gocator 3D 센서와 연동된 AI소프트웨어도 공급이 가능하게 되었다. LMI는 매년 꾸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