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임근난 기자 | 딥러닝 전문업체 뉴로클이 세계적인 머신비전 박람회인 독일 Vision Show에 참가해 성공적으로 전시 참여를 마쳤다고 밝혔다. 지난 10월 5일부터 7일까지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Vision Show는 2년에 한 번씩 개최되는 세계적인 규모의 머신비전 박람회로, 올해는 코로나 19의 여파로 3년 만에 개최됐다. 이번 전시회에는 코로나 여파에도 불구하고 약 250여개 업체가 참가하고 5,500여명의 참관객을 기록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전시회에서 뉴로클은 비전문가도 손쉽게 딥러닝 비전 모델을 만들어 활용할 수 있는 오토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Auto Deep Learning Vision Software), 뉴로티 & 뉴로알(Neuro-T & Neuro-R)을 선보이며 업계 관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뉴로티와 뉴로알은 △오토 딥러닝 알고리즘(딥러닝 지식 없이도 AI 비전 모델 생성) △빠른 재학습 기능(유지/보수를 위한 빠르고 정확한 모델 재학습) △데이터 관리 시스템 △다양한 하드웨어 플랫폼 지원 △빠른 Inference Time 등의 장점을 지닌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뉴로클은 공식 포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신세계아이앤씨가 AI 비전(AI Vision) 기술 기반의 고객 데이터 분석 솔루션 ‘스파로스 트레이서(Spharos Tracer)’를 출시했다. ‘스파로스 트레이서’는 AI 카메라와 라이다(LiDAR) 센서를 결합해 특정 매장 또는 영업장에 방문하는 고객의 동선과 행동 데이터 등을 수집 및 분석하는 솔루션이다. 자체 설계한 시스템을 통해 AI 카메라, 라이다가 수집한 데이터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고 고객 기반 마케팅에 필요한 데이터를 머신 러닝으로 분석한다. ‘스파로스 트레이서’의 고객 추적 기술은 열 분포 형태로 전체 고객의 트래픽을 파악하는 히트맵(Heat map)과 달리 고객 개인 단위의 엔드 투 엔드(end-to-end) 방식으로 추적하는 것이 특징이다. 실내 환경에서 대상이 장애물에 가려지거나 여러 명이 밀집된 상황에서도 정확하게 인식한다. AI 카메라, 라이다 센서가 수집하는 모든 정보는 데이터 수집 단계부터 익명화 처리되어 개인 정보 또한 보호할 수 있다. ‘스파로스 트레이서’가 분석하는 데이터는 △개인 단위 고객의 입장부터 퇴장까지 동선 △고객의 매장/영업장 이용 행동 △시간대 별 체류시간 및 형태 △공간 구획 별 방문인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산업계에서의 딥러닝 기반 머신러닝이 각광받고 있다. 딥러닝 기반 모델은 룰 기반 머신비전보다 유연성과 전이학습, 그리고 확장성이 뛰어나 스마트 팩토리에도 적용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SK텔레콤은 딥러닝 기반의 제품 검사 솔루션인 Machine Vision Inspection과 물류로봇의 지능화를 위한 AI Robot Vision 솔루션을 개발, 다양한 적용 사례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 딥러닝 기반의 머신러닝 모델을 통해 품질 검사 성능을 지속적으로 향상 시키고, 로봇의 운용을 더 스마트하게 바꾸어 물류 자동화를 고도화하는 SK텔레콤의 로봇 비전 기술을 정리했다. 일반 이미지 인식 능력은 딥러닝 알고리즘의 발달과 함께 지속적으로 발전했다. 2012년에 알렉스넷(AlexNet)이라는 딥러닝 기반의 모델이 처음 등장했다. 알렉스넷이 나오기 전까지는 룰 기반으로 이미지 인식을 했었는데, 이미지 인식하는 에러율이 30%에 달할 만큼 실제에서는 활용하기가 어려웠다. 알렉스넷이 나온 이후 딥러닝 모델의 성능은 계속 발전을 했고, 2015년에는 에러율 5% 이하의 인식률을 보인 레스넷(ResNet)이 나왔고, 2016년 이후에는 결국 AI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현대건설이 무인 로봇을 활용한 건설로보틱스 기술을 건설 현장에 도입한다. 현대건설은 22일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현대중공업 글로벌R&D센터에서 건설로보틱스 기술 시연회를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현대건설 기술연구원과 현대로보틱스 스마트건설 전문가, 로봇산업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현장 순찰 로봇과 무인시공 로봇 등의 성능을 시연했다. 현장 순찰 로봇은 건설 현장 주변을 자율주행하면서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원격으로 현장 상황에 대응하는 작업을 선보였다. 현대건설은 현장 순찰 로봇에 다양한 플랫폼 센서를 적용해 유독물질에 대한 오염상태 포착, 현장 주변 레이저 스캐닝 등 다각적인 활용을 기대하고 있다. 무인시공 로봇은 천장 드릴 타공 작업을 수행했다. 이 작업은 근로자가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리프트에 올라가 해오던 것이다. 무인시공 로봇은 상단에 부착된 AI 비전(객체 자동인식)을 통해 작업 지점을 찾고 자율주행 기반으로 지정된 작업을 원격으로 수행했다. 로봇 작업은 정확하고 효율적일 뿐 아니라 위험도가 높은 작업 환경에서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대건설은 앞으로 페인트, 용접, 조적 등 작업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