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중국 자동차 수출이 앞으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은 중국 자동차 로컬 브랜드의 수출이 중국에 호의적이지 않은 국제 정세 속에서도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그간 주목을 끌지 못했던 중국 완성차 수출은 로컬 브랜드의 주도로 올해 초부터 급증했다. 중국의 자동차 산업은 세계 주요 완성차 시장에서 줄곧 존재감이 미미했지만, 최근 중국의 자동차 산업이 성숙 단계에 접어들고 완성차 내수 판매가 증가하지 않는 가운데, 2021년 상반기 완성차 해외 수출량이 급증해 최근 10년 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상반기 중국의 승용차·상용차 수출량은 최근 10년 간 최고치인 82.8만대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2배 이상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로컬 완성차 브랜드의 선전이 두드러지는 모양새다. 중국의 완성차 수출량 증가는 중국산 테슬라의 수출 개시에 힘입은 측면도 있으나 그 외에도Chery(奇瑞汽车), GWM(长城汽车, Haval 포함), Geely(吉利汽车) 등 로컬 브랜드가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중국 완성차는 브랜드 파워의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틈새시장 수출에 집중했다. 중국 기업들은
[헬로티] ▲Nio의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Power Swap'(출처 : Nio) 중국이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에 대한 투자와 사업화를 꾸준히 진행 중인 것에 대해 한국자동차연구원의 이호중 책임연구원이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가 시장의 주류가 되기에는 여러 장애 요소가 있으나, 사업화 시도의 배경와 전략은 눈여겨볼 가치가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는 다 쓴 배터리 팩을 이미 충전된 다른 배터리 팩과 교체하는 방식으로 구동하는 전기차다. Nio, SAIC 등 주요 완성차 기업이 사업화를 추진 중이며, 정부에서 배터리 교환소 권장 방침을 제시하는 등, 중국은 기업·정부 합작으로 해당 사업모델의 사업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엔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여럿 있다. 충전을 위해 전기차 충전기 앞에 차를 대고 있어야 할 필요도 없고, 배터리 교환·구독 사업이 가능해 전기차 가격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배터리를 제외한 가격으로 차량을 구매할 수 있다. 소비자 입장에선 배터리의 수명이나 성능 저하와 같은 리스크를 덜 부담해도 된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사실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는 과거 테슬라, 르노 등에서
▲ 알리바바-SAIC 커넥티드 카 로위 RX5 [헬로티] 젬알토가 반마(Banma Technologies)와 협력을 통해 커넥티드 카 로위RX5 개발을 지원한다고 10일 밝혔다. 반마는 알리바바와 SAIC가 공동으로 설립한 자동차 제조 업체다. RX5는 젬알토 기계인식 모듈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셀룰러 M2M 연결을 보호하는 MIM을 활용한다. MIM은 GSMA 표준을 준수하며 모든 운영사 프로파일의 원격 프로비저닝을 지원한다. 블루투스 가상 자동차 키, 차량 위치 파악, 음성 명령을 통한 차내 기능 원격 제어, 실시간 도로 상황 경보 등 첨단 텔레매틱 기능들도 탑재한다. 알렉스 시(Alex Shi) 반마 CEO는 “알리바바 운영 시스템으로 구동되는 로위 RX5는 수년간에 걸친 연구와 기술 혁신으로 만들어 낸 획기적 자동차라 할 수 있다”며, “때문에 가장 안전하고 신뢰성을 갖춘 종단간(end-to-end) 연결성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수잔 통리(Suzanne Tong-Li) 젬알토 한국-중국담당 사장은 “커넥티드 카는 자동차 업계 전반에 걸친 디지털 변혁의 시작이며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의 길을 열어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