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국내 증강현실(AR) 원천기술 보유기업 맥스트(MAXST)가 최근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만으로 실내 공간을 3D맵으로 재현, 추적하는 비주얼 슬램(Visual SLAM)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기존에 제공하던 일정 크기의 환경을 가상 지도로 만드는 기술 범위가 실내 공간으로 범위가 확장됐다. ▲ 실내 공간에서 현재 위치를 추적하는 모습 이번에 업그레이드된 비주얼 슬램은 MAXST VPS(시각 측위 시스템)이 적용되어 모바일 기기로 실내공간을 비추었을 때, 별도의 장치 없이 스마트폰 카메라만으로 실내에서 50cm 내외의 오차 범위로 정확한 위치와 카메라의 포즈를 정확하게 찾아낸다. 모바일 기기로 실내 공간을 비추면 AR 지도상에서 현재의 위치와 카메라가 바라보는 방향을 분석하고, 해당 키프레임에서 확인되는 포인트 클라우드에 AR 콘텐츠를 증강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맥스트 AR 지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AR 지도는 모바일 기기에서 영상을 촬영한 후, 서버 처리 과정을 거쳐 포인트 클라우드 맵으로 추출된 뒤, 맥스트 맵 에디터(MAXST AR Map Editor)에서 최종적으로 완성된다. 맵 에디터는 포인트 클라우드 맵과 실제 도면을 비교하며
[첨단 헬로티] 증강현실(AR) 원천기술 보유기업 맥스트에서 앱 개발자들의 사용성과 편의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MAXST AR SDK 4.1을 출시했다. 또한 이번 업데이트에 맞춰 최초로 MAXST AR SDK 가격 할인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모바일에서 편리하게 3D 맵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앱, ‘Visual SLAM Tool’의 출시이다. 이전까지는 ‘Map Manager’라는 앱을 통해 3D 맵을 생성하고 포인트 클라우드, 축으로 맵의 완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 비주얼 슬램 툴(Visual SLAM Tool)로 생성된 3D 맵과 핀의 모습 이번 새롭게 출시한 ‘Visual SLAM Tool’에는 인식 대상의 범위를 한정할 수 있는 팔각형 형태의 바운딩 박스(Bounding Box)가 추가되어 보다 정확한 맵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바운딩 박스는 애플의 AR Kit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맥스트는 사용자가 물체를 스캔할 때 카메라와 물체 사이에 기울기를 가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대상의 윗면까지 손쉽게 스캔할 수 있도록 기울기가 있는 팔각형 형태로 구성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