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멋진 풍경, 맛있는 음식, 처음 경험해보는 문화 그리고 '설렘'을 모두 담고 있는 단어는 '여행'이다. 그런데 친환경적일 것만 같은 여행 산업이 전세계 탄소배출량의 8%가량을 차지한다는 사실. 가만 생각해보면, 그렇게 놀랄 일도 일도 아니다. 항공을 이용할 때부터 비행기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여행지에서 식당을 이용할 때 음식물을 처리할 때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등등. 가는 곳곳마다 탄소발자국이 꾹꾹 찍힌다. * 본 기사는 김종윤 야놀자 대표가 [2021 글로벌 AI서밋]에서 발표한 'AI, 뉴노멀 시대에 'K-트래블'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핵심 열쇠'를 토대로 여행산업의 디지털화 방향에 대해 재구성 한 것이다. 탄소배출의 원인은? 그러면 이러한 탄소배출의 원인은 무엇일까? 야놀자 대표는 글로벌AI서밋에서 2가지를 말한다. ①예측 불가능하다는 것(Unpredictable)과 ②특정 시점과 특정 지역에 너무 몰린다(Overcrowded)는 것이다. 실제 여행의 구조를 보면, 이동은 최적회 되지 않아 비효율적인 경우가 많고, 대부분의 서비스는 개인에 맞춰져 있다기보다는 표준화 돼 있는 경우가 많다. 또 수요 대비 비탄력적인 공급에 따른 환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이하 KAMA)가 미래차의 핵심 키워드로 꼽히는 커넥티드, 자율주행의 확대에 따라 OTA(무선 업데이트) 허용, 데이터 수집·활용에 대한 규제 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커넥티드카는 자동차에 통신모듈이 장착되어 차량 내외부, 인프라, 외부기기 등과 인터넷 액세스 및 데이터 공유가 가능한 차다. KAMA의 ‘커넥티드카 서비스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커넥티드카 시장은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국내 커넥티드카는 올해 5월을 기준으로 424만대를 넘으며, 자동차 총 등록대수(약 2459만대) 대비 17.3%를 차지했다. 2020년 한 해에만 117만대가 증가(2019년 대비 47.6% 증가)했고,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36.8%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최근에는 현대차, 기아, 르노삼성 등 자동차 제조사들이 이동통신재판매사업자로 등록해 직접 커넥티드 서비스를 제공(5월 기준 239만 회선 돌파, 매달 약 10만 회선씩 증가 중)해 성장세에 기여하고 있다. KAMA는 국내 커넥티드 서비스의 확대와 품질 제고를 위해 먼저 차량용 소프트웨어 무선 업데이트를 장소 제약 없이 허용할 필요성을 제기
[헬로티] ▲현대자동차의 수소전기차 '2021 넥쏘' (출처 :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는 안전과 편의성을 강화한 수소전기차 ‘2021 넥쏘’를 18일 출시하고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2021 넥쏘는 ▲10.25인치 클러스터 ▲내비게이션 무선 업데이트(OTA, Over the Air) ▲물 배출 기능 ▲레인센서 ▲앞좌석 동승석 세이프티 파워윈도우 등의 편의 및 안전 사양을 기본 적용하고 차량 음성인식 기능을 개선했다. 클러스터는 기존 모델보다 3.25인치 넓어진 10.25인치 크기다. 노멀, 에코, 에코+주행 모드별로 다양한 색상의 그래픽이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또 내비게이션 무선 업데이트 기능이 기본 적용돼 최신 내비게이션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물 배출 기능은 운전자가 물 배출 버튼을 누르면 머플러를 통해 물이 밖으로 빠지도록 조정하는 장치로 차량 머플러로 배출되는 생성수로 인한 바닥오염을 방지해 준다. 레인센서는 와이퍼 오토 모드에서 강우량에 따라 최적의 작동 횟수를 자동 조절한다. 다양한 편의 사양 외에도 탑승자의 안전성을 고려해 창문을 닫을 때 장애물이 끼면 창문이 자동으로 내려가는 세이프티 파워윈도우
[헬로티] ▲R&S ATS1000은 OTA 및 안테나 측정을 위한 소형 이동식 차폐 장치다. (출처 : Rohde & Schwarz) 로데슈바르즈(Rohde & Schwarz)가 라이프니츠 협회 소속의 전자공학 연구소 중 하나인 IHP(Innovations for High Performance Microelectronics)와 협력해 업계 최초로 D-Band 주파수 대역에서의 트랜시버 모듈에 대한 완벽한 2D/3D 안테나 특성화 작업에 성공했다. 무선통신 테스트 전문기업인 로데슈바르즈는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평가되는 D-Band 주파수 대역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 활동을 해왔다. 학계와 업계는 110GHz ~ 170GHz 범위의 D-Band 주파수 대역을 5G 및 6G 이동 통신 기술과 미래의 자동차용 레이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평가하고 있다.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를 지원하는 5G 네트워크 및 단말기(Device)와 마찬가지로, 미래의 이동 통신 또는 차량용 레이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안테나 시스템과 RF 트랜시버 모듈은 매우 까다로운 측정 요구 사항을 가진다. 또 넓은 주파수 범위와 더 많은 수
[헬로티] 노키아 상용 5G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통해 5G 환경에서 4.7Gbps 속도 기록 노키아는 미국 텍사스 댈라스에 위치한 OTA(Over-the-Air) 네트워크에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5G 속도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노키아는 미국 주요 이동통신사업자의 상용망에 구축된 기지국 장비에서 진행한 이번 테스트에서 800MHz의 상용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5G 스펙트럼과 이중 연결(EN-DC) 기능을 활용해 최대 4.7Gbps의 5G 속도를 달성했다. 이번 테스트에 사용된 노키아의 솔루션으로 가입자에게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모바일 광대역 속도를 제공할 뿐 아니라 재난망과 같은 미션 크리티컬한 애플리케이션 활용을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처럼 이동통신사업자들이 지연속도에 민감한 엔터프라이즈 서비스를 발굴하고 판매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이번 세계 최고 기록은 28GHz과 39GHz 대역에서 8개의 100MHz 채널 밀리미터파 스펙트럼(총 800MHz 대역폭 제공)과 노키아 에어스케일(AirScale) 솔루션의 EN-DC 기능을 활용한 40MHz LTE 스펙트럼이 결합된 결과다. EN-DC 기능을 통해 디바이스를
[첨단 헬로티] 크리티컬 인프라용 사물인터넷(IoT)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윈드리버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기업인 에어비퀴티(Airbiquity)와 핵심 기술을 통합해 커넥티드 자율주행차를 위해 협업한다고 이달 5일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윈드리버는 모듈화된 OTA(over-the-air : 지능형 무선) 업데이트와 소프트웨어 라이프사이클 관리 솔루션인 엣지 싱크(Edge Sync)를 제공할 예정이다. 에어비퀴티는 OTA 오케스트레이션, 캠페인 관리,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관리, 그리고 업테인(Uptane) 기반 보안 프레임워크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오타매틱(OTAmatic)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윈드리버는 이번 협력의 배경에 대해 “차량의 수명기간동안 소프트웨어를 적절하고 선제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성능을 향상시키고, 가치를 유지하며, 안전성과 보안을 보장하는 데 있어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OTA를 통해 진단 및 운영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리콜 비용을 줄이거나 차량에 신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각자의 전문성
[첨단 헬로티]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와 에어비퀴티(Airbiquity)가 향후 자율주행 시대의 차량 탑재 애플리케이션으로 OTA(Over-The-Air) 기능을 실현하는 고성능 차량 탑재 솔루션을 발표했다. 양사는 향후 자율 운전 시대를 목표로 Airbiquity®의 클라우드 기반 OTA 기능으로 소프트웨어업데이트와 동시에 차량 데이터 관리가 가능한 OTAmatic™을 통합함으로써 고성능, 저소비 전력인 르네사스 차량 탑재 컴퓨팅 플랫폼인 'R-Car H3'에 통합했다. ▲르네사스와 에어비퀴티가 자율주행을 위한 무선 업데이트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고성능 자동차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 결합 솔루션은 OTA 소프트웨어를 타켓 ECU마다 온 디멘드(On demand) 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데이터 관리를 할 수 있다. 양사의 협력은 최근 자율주행 시스템 분야에서 많은 차량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데이터 수집을 동시에 실현하기 위한 시큐리티 관리에 어려움을 느끼는 개발자들을 위해 적합하다. 결국 이 솔루션은 견고한 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능과 데이터 관리 서비스 실현을 위해 고성능 텔레매틱스 전용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솔루션이라고 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