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미국 법원이 달 착륙선 사업을 놓고 수주전을 벌였던 제프 베이조스와 일론 머스크의 경쟁에서 머스크의 손을 들어줬다. 미 연방청구법원(CFC)은 11월 4일(현지시간) 베이조스의 우주탐사 기업 블루오리진이 미 항공우주국(NASA)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블루오리진에 패소 판결을 내렸다고 CNBC가 보도했다. NASA는 지난 4월 인류의 달 복귀 계획인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 참가할 29억달러(약 3조4,400억원) 규모의 달 착륙선 개발 사업자로 머스크의 스페이스X를 단독 선정했다. NASA는 당초 2개 업체를 사업자로 선정할 예정이었으나 의회에서 예상보다 적은 예산이 할당되면서 하나의 사업자만 선정했다. 그러자 블루오리진은 NASA가 스페이스X만 사업자로 선정한 것은 잘못이며 이 과정에서 핵심 비행 안전 요구사항을 무시했다며 NASA를 상대로 소송을 냈으나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 다만 법원 결정문은 소송에 업체들의 독점적 정보가 포함돼 있다는 이유로 이날 공개되지 않았다. 블루오리진 창업자인 베이조스는 트위터에 "우리가 원한 판결이 아니다. 하지만 법원의 판단을 존중하며 계약과 관련한 NASA와 스페이스X의 전적인 성공을 기원한다"고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도심 에어택시 사용서비스를 준비 중인 조비 에비에이션의 '전기 수직이착륙(eVTOL)' 비행기를 대상으로 비행시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1일 NASA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 빅수르 인근 조이 전기 비행기지에서 지난 달 31일 eVTOL 비행기에 대한 비행시험이 시작됐으며 이달 10일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이는 현재와는 다른 혁신적인 방식의 미래 비행체를 아우르는 첨단 항공 모빌리티(AAM)를 국가 항공 시스템에 신속히 통합하기 위한 '내셔널 캠페인'의 일환으로 이뤄지고 있다. NASA와 연방항공청(FAA), 업체 등이 진행하는 이 캠페인은 미래 비행체의 성능과 안전도를 시험하고 각종 기준을 마련하며, 미래 비행체에 대한 인식 제고 등 다양한 활동으로 AAM의 항공 시스템 통합을 앞당기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NASA 'AAM 내셔널 캠페인' 팀이 도심 에어택시로 활용될 eVTOL 비행기를 대상으로 비행시험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비 에비에이션의 eVTOL 비행기는 계획된 시나리오에 맞춰 비행하게 되며, NASA는 비행기의 움직임과 소음, 관제사와의 교신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조비 에비에
[헬로티] 2025년까지 1억 달러 투자해 저장, 운송, 충전소용 대용량 탱크 핵심 기술 확보...2030년까지 고압 탱크 분야 글로벌 1위 도약 목표 ▲한화솔루션이 인수하는 시마론의 넵튠 타입4 탱크 (출처 : 한화솔루션) 한화솔루션이 미국 고압 탱크 업체인 시마론(Cimarron) 지분 10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시마론은 NASA에서 23년 동안 항공 소재 분야 연구원으로 근무한 톰 딜레이가 2008년 사내벤처로 설립한 기업이다. 딜레이는 우주선용 고압 탱크 특허를 비롯해 경량 탱크 관련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시마론은 2015년 나사에서 독립해 현재 미국 앨러바마주 헌츠빌에서 대형 수소 탱크, 항공 우주용 탱크 등을 생산하고 있다. 한화솔루션은 이번 인수를 통해 기존 수소 자동차용 탱크 외에 수소 운송 튜브 트레일러용 탱크, 충전소용 초고압 탱크, 항공 우주용 탱크 기술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회사 관계자는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내년 4월 내에 인수 작업을 끝낼 계획”이라면서 “인수 대금을 포함해 2025년까지 시마론에 약 1억 달러를 투자해 글로벌 수소 탱크 사업
[헬로티] ABB는 NASA(미국항공우주국) 제트추진연구소와 2년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2025 년에는 ABB와 Nüvü의 Camēras 주요기술이 우주 망원경에 탑재되어 최초로 태양계 외행성에 대한 우주공간 모습을 포착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NASA 미래 우주 관측소의 ‘낸시 그레이스 로만 우주 망원경’이 지구와 유사한 다른 세계를 탐색하기 위해 2025년에 발사될 예정이다. 로만 망원경에는 두 개의 장비가 실리게 된다. 하나는 우주 암흑에너지 분포의 신비를 연구하기 위한 것이며, 나머지 다른 한 대 장비는 우주의 외계 행성 이미지 촬영을 위한 최초의 전용 카메라인 CGI(CoronaGraph Imager)이다. CGI 내부에는 ABB사가 Nüvü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전자 코어를 탑재한 고감도 카메라 2대가 장착된다. 태양계 외행성 시스템은 원거리 관측이 극히 어렵다. 그 이유는 행성들이 근처의 항성에 비해 매우 더 흐릿하고 서로 이격 거리가 상당히 미미하기 때문이다. NASA의 CGI는 광소자들이 복합적으로 배치되어 있어 항성의 빛을 차단하고 인접한 행성의 잔여광(殘餘光)을 고감도 카메
[헬로티] 나사(NASA)가 달 지형 차량, 거주 가능한 이동성 플랫폼 또는 달 RV, 달 표면 서식지 설치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출처 : 미 항공우주국(NASA) 달 착륙대, 서식지, 도로 등을 만드는 과정은 지구에서 볼 수 있는 흔한 건설현장과 다를 것이다. 한 예로, 발굴 로봇은 가벼우면서도 중력을 줄일 수 있어야 한다. 대규모 건설 시스템은 우주비행사의 도움 없이도 자율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나사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우주비행사가 더 많은 탐험과 과학을 수행하도록 이동성을 강조하는 달에서 지속적인 존재를 확립하는 데 필요한 핵심 표면 요소에 대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나사는 우주 탐사와 지구 생명체 개선을 위해 미래 다섯 개 산업 중 하나인 첨단 제조업에 투자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미래 기반시설을 구축하기 위해 달과 화성에서 가용 자원을 찾아 사용하는 기술이 포함된다. 현재 나사는 텍사스주 오스틴에 본사를 둔 건설기술 회사인 아이콘(ICON)과 함께 향후 달과 화성의 탐사를 지원할 우주 기반 건설 시스템의 조기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아이콘은 3D프린팅된 주택 및 구조물을 구축하는 회사로, 나사의 3D프린팅 해비타트 챌린
[첨단 헬로티] 인간과 인공지능이 공동 제작한 세계 최초의 의자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선도 기업인 오토데스크가 밀라노 디자인 위크(Milan Design Week)서 세계적인 산업 디자이너 필립 스탁(Philippe Starck), 유명 가구 브랜드 ‘카르텔(Kartell)’과의 파트너십을 발표하고, 인간과 인공지능(이하 AI)이 공동 제작한 세계 최초 AI 의자를 선보였다. 이 AI 의자는 필립 스탁의 창의성과 오토데스크의 제너레이티브 디자인(Generative Design) 기술이 어우러져 제작됐다. 오토데스크의 제너레이티브 디자인은 무게 및 원재료 등 특정 변수를 입력하면 주어진 변수 값 안에서 AI를 통해 수백, 수천 가지의 디자인 옵션들을 제공하는 기술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보다 빠르게 다양한 디자인 옵션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오토데스크가 밀라노 디자인 위크서 파트너십 발표를 비롯해 인간과 AI가 공동 제작한 세계 최초 AI 의자를 선보였다. 오토데스크는 AI 기반 설계 기법 등 현재 개발 중인 최첨단 기능이 포함된 자사 소프트웨어의 프로토타입을 스탁에게 제공하고, 지속적인 논의 끝에 AI의자를 설계했다. 또한, 이
▲NASA가 국제 우주 정거장에 물자를 보급하기 위한 SpaceX CRS-10 발사에 성공했다 <출처: NASA> [헬로티] 반도체 설계자산 기업 ARM이 VORAGO Techologies(이하 VORAGO)와 함께 우주 전자 장비 분야의 새로운 발전을 이뤄냈다고 발표했다. ARM은 미 항공우주국(NASA)이 국제 우주 정거장에 물자를 보급하기 위해 발사한 SpaceX CRS-10에 ARM Cortex-M0 프로세서 기반의 VORAGO 테크놀로지 마이크로컨트롤러(MCU)가 탑재됐다고 밝혔다. 이 MCU는 SpaceX CRS-10에 탑재된 중요한 실험용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최근 NASA는 차세대 우주 전자 장비를 개발하기 위해 ARM의 Cortex A-53 프로세서를 채택한 바 있다. NASA와 미국공군연구소가 지원하는 이번 실험 프로젝트는 ARM Cortex-M0 기반의 방사선에 내성을 가지게 개발된 MCU가 우주 사업에 채택된 첫 번째 사례이다. 우주 공간에서 메로리 기능을 모니터링하는 'RHEME(Radiation Hardened Electronic Memory Experiment)은 혹독한 우주 환경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