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중소기업 수출액이 코로나19 이전의 성과를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올해 전체 중소기업 수출액 역시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였던 2018년 기록을 돌파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관세청은 30일 전날까지 집계한 중소기업 수출액이 1052억 달러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이번 중소기업 수출 최고치 기록은 글로벌 경기회복에 힘입어 벤처기업, 소상공인, 창업기업 등이 수출저변을 확대하고 있고 글로벌 무대에서 강소기업들의 활약이 뒷받침됐기 때문에 가능한 성과였다고 분석했다. 수출 벤처기업 수(벤처기업확인서 기준)는 9497개로 2010년 10월보다 4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출 중소기업 수가 16% 증가한 것과 비교할 때 벤처기업의 수출기업화 비중이 높았다. 벤처기업의 수출액도 같은 기간 135억 달러에서 192억 달러로 42.2% 크게 늘었다. 또한 진단키트 등 의약품이 지난해 이후 벤처기업 수출품목 중 1위를 차지하며 실적을 견인하고 있다. 올해 10월까지 소상공인은 전체 중소기업 수출액의 9.5%인 90억 3000만 달러, 창업기업은 18.9%인 180억 달러를 수출하며 우리 수출 중소기업의 저변을 확
[헬로티] 중소벤처기업부 22년까지 3만 개 보급을 목표로 역점 추진 중인 스마트공장을 지난해까지 약 2만 개를 보급했다고 밝히면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의 20년도 주요 성과를 발표했다. 20년도 주요성과 20년도 주요 성과로는 스마트공장 2만 개 보급을 달성했으며 스마트 제조 저번을 크게 확대했다. 당초 목표치(5600개)를 초과한 7139개의 스마트 공장을 보급했고, 20년까지 누적 기준 목표치(17800개)를 웃돈 1만9799개를 보급했다. 스마트공장 고도화율도 증가했다. 고도화율은 25.5%(19년 지원, 20년 구축)로서 19년(17.9%)에 비해 증가했다. 그 결과 20년까지 누적 고도화 비율(중간 1 이상)은 22.1%로 나타났다. 전체 제조업 중 50인 미만이 대다수를 차지(18년 98.1%)하는 상황에서 투자 비용이 적은 기초수준 공장이 많이 보급되는 측면이 있다. 스마트공장은 기계장비 18.0%, 자동차 부품 10.1%, 금속가공 13.8%, 전자부품 6.1% 등 주요 업종 중심으로 보급됐다. 특히 20년도에는 유사 제조공정을 가진 업종의 특성을 반영해 공통 솔루션을 보급하는 업종별 스마트공장 지원을 신설해 식품·의약품&mid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