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10곳 중 8곳이 경영 활동에 AI 기술 적용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실제 활용률은 30% 수준에 머물렀다. 특히, 제조업 분야의 활용률은 20%를 겨우 넘긴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산업연구원과 공동으로 최근 국내 기업 500개사 IT 및 전략기획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기업 AI 기술 활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등 성과 향상을 위해 AI 기술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78.4%를 차지했다. 반면,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21.6%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공학한림원, 산업연구원이 공동으로 진행 중인 ‘AI 시대의 신산업정책’ 수립을 계기로 이루어졌다. ‘실제 AI 기술 활용 여부’에 대해서는 ‘그렇다’고 답한 기업이 30.6%를 차지한 반면, ‘아니다’라고 답한 기업은 69.4%에 달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의 활용률은 23.8%로, 서비스업 분야 활용률(53%)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서비스업 분야에서는 금융(57.1%)과 IT 서비스(55.1%)의 활용률이 높았다. 기업 규모별 활용률은 대기업이 48.8%, 중견기업이 30.1%, 중소기업이
클라우드는 필요에 따라 제약 없이 확장되는 IT 인프라이며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플랫폼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따라서 기업이 클라우드를 쓴다는 것은 매년 출시되는 수천 개의 신규 서비스와 기능(Feature)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 그러면 클라우드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2020 스마트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AWS(아마존웹서비스) 강명구 파트너가 그 방법을 제시한 내용을 정리했다. 스마트 제조와 클라우드 스마트 제조는 제조가 디지털 전환이 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디지털 전환은 데이터, 분석, 기계 학습을 기반으로 새로운 통찰력과 가치를 창출하여 사업을 혁신하는 것을 말하는데, 좀 더 알기 쉽게 설명하면 사람으로 일하는 회사가 데이터와 기계 학습을 통해 시스템으로 일하는 회사가 된다고 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국내 제조업 현황을 보면 98% 이상이 스마트공장 중간1 이하로 조사됐다. 그러다 보니 공장이 시스템에서 다양한 생산 계획이나 영업 계획, SCM 계획들이 나오지만 그런 시스템이 제공하는 플래닝 대로 돌아가는 회사들은 아직 많지 않고, 회의나 조정을 통해서 이런 시스템에 있는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와고(WAGO)는 글로벌 전기·전자 및 오토메이션 산업의 전반적인 경제 성장과 업계 수요를 활용하여 올해 11월 초에 1조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비즈니스 컨설팅 회사인 Munich Strategy의 ‘Top 100’ 순위에 따르면, 와고는 Handelsblatt 신문에서 보도한 독일의 기업들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100대 중견기업 중 하나로 발표했다. 와고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IT 인프라 및 유연한 작업 환경 적응을 포함한 디지털 전환을 통해 많은 인력이 짧은 기간 내에 모바일 환경으로 전환했다. 그 결과 어려운 상황에서도 성과를 개선할 수 있었다. 글로벌 브랜드인 와고는 원자재 수급 상황에 어려움을 직면해 왔다. 특히, 많은 주문량과 함께 생산 및 공급망의 모든 부문에서 당면한 과제이다. 그러나 신중한 계획과 부서 간의 탁월한 팀워크로 상황을 극복해가고 있다. 와고의 CEO인 Dr. Heiner Lang은 “와고의 모든 수치는 성장을 나타낸다. 우리는 또 다른 1조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와고는 성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와고 관계자는 엔지니어부터
[첨단 헬로티] IT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 데이터 코퍼레이션 코리아(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 이하 한국IDC)는 최근 발간한 2018년 국내 외장형 스토리지 시스템 시장 보고서에서 2018년 국내 외장형 스토리지 시스템 시장이 4천649억원 규모로 전년 대비 3.8% 성장 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의 데이터 용량 증가와 AFA(All Flash Array)의 보급이 시장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IDC는 기업형 스토리지 시스템을 외장형 스토리지 시스템, 내장형 스토리지 시스템 그리고 ODM Direct로 구분했다. 기업형 스토리지의 전체 시장 매출을 살펴보면 전년 대비 5.4% 성장한 1조 78억원을 기록했다. 시장 성장은 글로벌 반도체 경기의 호황으로 국내 반도체 제조사가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하며 IT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늘린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공공 기관이 데이터 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스토리지 투자를 늘리고 있는 상황도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장형 스토리지 시스템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내장형 스토리지 시스템도 서버와 HCI 시장 성장에 따른 디스
[첨단 헬로티] 한전KDN은 17(수)일 본관 3층 다목적실에서 “사내 중장기 정보화전략, ISP 수립 설명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됐던 ISP 수립 결과를 공유하고 이행과제수행에 대한 로드맵을 설명하기 위해 진행된 이번 설명회는 본사 팀장과 관심 있는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ISP는 IT 관리체계, IT 인프라, 정보시스템 운영 등의 사내 정보화 자원을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회사의 중장기 정보화 추진 이행계획을 세우기 위해 수립됐다. 본 전략의 수립 과정은 환경 및 현황분석, 이해관계자 인터뷰, 방향성 수립, 목표모델 수립, 최종 이행계획 순으로 진행됐다. 이번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한전KDN은 지난 4개월여 간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총 43번의 인터뷰와 4번의 설문조사를 시행했으며, 남동발전, KT, 한국정보화진흥원, 한화S&C 등 선진사례를 가지고 있는 기업들을 직접 방문해 면담을 진행했다. 한전KDN은 그 결과,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ICT Creator”라는 정보화 비전 아래 총 7개의 전략과제와 22개의 이행과제가 선정됐으며, 앞으로 이를 기반으로 업무의 효율
[첨단 헬로티] KT가 기업 고객이 IT 인프라를 ‘KT 유클라우드 비즈’로 쉽게 이전(Migration,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도록 'IT 인프라 이전 무상 프로모션'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기업 고객들은 IT 인프라 확장시 추가 공간 확보 및 운영 비용 증가 등으로 어려움을 겪어 왔다. 하지만 클라우드로 IT 인프라를 이전할 경우 운영 비용의 약 40% 정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많은 기업들이 IT 인프라를 클라우드로 옮기는 것을 고민해 왔으나 ‘복잡한 인프라 인전 과정 및 기술 부족, 이전 비용 부담’ 등의 문제로 주저해 왔다. 국내 1위 클라우드 사업자 KT는 기업 고객들의 이러한 고민을 덜어주고자 클라우드 이전 컨설팅부터 이전 완료까지 무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말까지 진행되는 이번 프로모션은 선착순 100개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이 기간에 'KT 유클라우드 비즈'로 IT 인프라 이전을 신청한 기업들은 이전 컨설팅부터 작업 매니지드, 이전 솔루션, 이전 기간 동안 클라우드 인프라 무상 지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KT 기업서비스본부장 이선우 상무는 "IT 인프라를 클라우드
[첨단 헬로티] 한국 IBM이 기존 IT 인프라를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을 위해 'IBM 클라우드 프라이빗(IBM Colud Private)'을 출시했다. 기업들은 IBM의 클라우드 프라이빗을 통해 사내 IT 인프라를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누릴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IBM 클라우드 프라이빗은 퍼블릭 클라우드와 유사한 IT 환경을 기업에게 제공하여, 기업들이 스스로 통제 가능한 사내 IT 인프라에서 컨테이너, 마이크로서비스, 오픈소스 등의 클라우드 기술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클라우드 기반의 신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로 이전하고 트렌드에 맞춰 재설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픈소스 쿠버네티스(Kubernetes)를 기반으로 도커(Docker) 컨테이너와 클라우드 파운드리(Cloud Foundry)를 동시에 지원하는 IBM 클라우드 프라이빗을 통해 기업들은 기존 워크로드를 IBM 클라우드를 포함한 모든 클라우드 환경으로 손쉽게 통합 및 이전할 수 있다. IBM은 전세계 기업들이 올해부터 연간 500억 달러 이상을 프
리탈은 3월 29일부터 31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Automation World 2017에 참가하여 인클로저, 배전, 공조 시스템 등을 전시하여 눈길을 끌었다. 독일 헤르본에 본사가 위치한 리탈은 인클로저, 배전, 공조, IT 인프라,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에 대해 세계적인 선두 시스템 공급 기업으로 손꼽힌다. 기계 및 설비 엔지니어링, IT와 텔레콤 등 산업 분야 전반의 세계 유수 고객사가 리탈이 만들어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폭넓은 리탈의 제품군에는 물리적 데이터와 시스템의 안전을 위한 혁신적인 컨셉의 모듈형이며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센터의 인프라 솔루션이 포함된다. 1961년에 설립된 리탈은 13개의 생산시설, 58개의 자회사를 보유하고 전세계를 무대로 활약하고 있다. 리탈 코리아는 100% 외국자본 투자를 통해 리탈이 소유한 자회사로, 1996년에 설립됐으며, 현재 9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2014년 말에는 송도국제도시에 신사옥으로 서울과 안산의 수도권 사무실과 물류센터가 통합되면서 부산지사 사무실과 더불어 현재 리탈의 글로벌 확장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주)첨단, 코엑스,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공동 주최로 3월 29일부
ⓒGetty images Bank [헬로티] 데이터 보호 및 정보 관리 전문기업인 컴볼트는 컴볼트 솔루션이 레드햇(Red Hat)의 새로운 가상화 플랫폼인 ‘레드햇 가상화 4(RHV 4: Red Hat Virtualization 4)’를 지원한다고 최근 발표했다. 이번 지원을 통해 고객들은 RHV 4에서 운영되는 워크로드에 컴볼트의 가상 서버 데이터 보호 및 파일 단위 복구 솔루션을 적용하여 통합 데이터 보호 전략을 실행할 수 있다. 오픈 소스 솔루션의 글로벌 기업인 레드햇이 최근 출시한 RHV 4는 리눅스와 윈도우 기반의 워크로드를 위해 완전히 개방된 고성능의 안전한 중앙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여 독점적인 가상화 솔루션과 비교하여 비용 합리적이면서도 관리가 훨씬 용이하다.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ed Hat Enterprise Linux)를 기반으로 한 RHV 4는 기존의 IT 인프라와 쉽게 통합이 되도록 설계되었으며, 컨테이너식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최근 급부상하는 기술 도입을 위한 개방형 플랫폼을 제공한다. 컴볼트는 RHV 3.6에 대한 지원에 이어, RHV 4로 지원을 확장하면서 고객들에게 기존의 IT 인프라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