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정보가 악의적인 목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DesignShield 개발 툴을 출시해 FPGA 제품군의 보안을 한층 강화했다. 마이크로칩의 FPGA 사업부 부사장인 브루스 와이어는 “마이크로칩은 보안 분야 선두업체로서 복제, 지적재산권(IP) 침해, 리버스 엔지니어링 및 악성 트로이 목마 코드 삽입의 위험을 줄이는 최신 대응책이 포함된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며 "DesignShield 툴은 비트스트림 보호 매커니즘의 상태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구축된 시스템이 계획대로 동작하고, 위조범으로부터의 안전은 물론 개발자의 디자인 투자와 브랜드 평판에 대한 위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방어 계층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DesignShield 툴은 현장에 구축된 시스템에서 FPGA 비트스트림을 가로채려는 사이버 범죄자로부터 항공우주, 방위산업 및 기타 고신뢰성 시스템 개발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발됐다. DesignShield 툴은 로직 및 라우팅 기반 암호화 기술의 조합을 통해 논리적 등가를 모호하게 함으로써 CPI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이 리버스 엔지니어링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시스템 손상 위험을 줄이는 동시에 디
[헬로티] 사이버텔브릿지는 최근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 정부 인증 제품인 VM65PS 단말기 등록을 완료, 수요처 공급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출처 : 사이버텔브릿지 대한민국 재난안전통신망용으로 선정된 VM65PS 단말기는 현재 경찰, 해경, 소방, 철도(LTE-R) 및 교통, 국방, 전력, 의료, 지자체 등 약 3만여 대가 현장에서 운용 중인 단말기다. 사이버텔브릿지는 2014년 시범사업 단계부터 사업에 참여해 국가재난안전통신망 표준 규격이 반영된 전용단말기를 공급하고 있다. 2000년 설립 후 현재까지 1만5000여 정부, 기업 고객에게 교환기 과금(빌링) 시스템인 ‘BAPS(Billing Account Pay System)’를 공급했다. 이후 2009년에는 IP 기반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최초 IP 영상무전통신망 시스템을 상용화해 대한민국 공군, 해군, 도시철도(지하철) 및 SOC(Social Overhead Capital) 산업 분야에 고객 맞춤 솔루션을 공급해 왔다. 사이버텔브릿지는 무전통신망 솔루션을 공급하며 쌓은 노하우와 자체 원천기술을 전용 단말기 개발에 직접 반영해 원스톱 서비스(One stop service)를 실
[헬로티] Arm IP 토탈 솔루션, 텔레칩스의 차세대 오토모티브 AP 돌핀5(Dolphin5)에 채택돼 … Arm Mali-G78AE, Arm Cortex-A76, Arm Ethos-N78 활용 예정 영국의 반도체 IP 설계 기업 Arm은 시스템반도체 전문 팹리스 기업인 텔레칩스(Telechips)에서 차세대 오토모티브 AP 돌핀 5(Dolphin5) 칩셋에 최신 Arm Mali-G78AE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포함한 최첨단 Arm IP 제품군을 채택했다고 발표했다. 전장용 AP반도체 선두 기업 텔레칩스의 오토모티브 솔루션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부터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까지 아우르는 광범위한 제품 및 서비스를 포함한다. 텔레칩스는 차세대 차량용 AP에 필수적인 고성능, 안전성, 저전력, 확장성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Arm Cortex-A76 중앙처리장치(CPU)와 Arm Ethos-N78 신경망처리장치(NPU), 그리고 안전 기능 지원과 Arm에서 최고 성능을 자랑하는 GPU인 Arm Mali-G78AE GPU를 채택했다고 밝혔다. 또한, 텔레칩스는 Arm Flexible Access에 등록하여 Arm의 기능 안전
[헬로티] 영국의 반도체 설계(IP) 및 IoT 서비스 기업 Arm이 우수한 디지털 몰입 경험을 제공하는 차세대 모바일 솔루션4종을 발표했다. 최근 전세계인들의 건강이 위협받는 전례 없는 위기를 겪으면서, 서로를 연결하고, 돕고, 협력하기 위해 기술과 상호작용하고 의존하는 방식에 급격한 사회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일상을 보내는 시간이 더욱 늘어났다. 스마트폰은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식료품점이나 음식 배달 서비스를 통해 가족과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동료들과 사랑하는 사람들을 매일 가상으로 만날 수 있도록 하는 등 우리의 삶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즉, Arm 기반의 스마트폰들이 사람들의 삶 속에서 컴퓨팅 허브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들은 이렇게 스마트폰 의존도가 증가하기 훨씬 전부터, 스마트폰을 통한 가능성의 한계를 알아보는데 이미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과 5G 및 AI 기술의 융합이 맞물리면서, 스마트폰의 성능과 효율성에 대한 요구사항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능 및 효율의 증가가 의미를 가지려면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중요하게 여기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최상의 경험을 제공할
[첨단 헬로티] 노키아는 이동통신사업사 LG유플러스와 5G 서비스용 IP 전송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위해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키아는 이번 협력을 통해 LG유플러스가 새로운 5G 서비스를 더욱 빠르게 선보이는 것은 물론, 5G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더 빠른 속도와 최고의 품질과 안정성 및 보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구축되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자동화(Software-defined networking automation)는 5G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것으로, LG유플러스는 이번 솔루션 구축을 통해 일반 가입자와 기업 고객 모두에게 한단계 진화한 5G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대규모로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노키아는 LG유플러스가 네트워크 운영 자동화와 쉬운 멀티 벤더 통합으로 신속한 5G 서비스 출시가 가능하도록, 유연하고 모듈화에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노키아의 NSP(Network Service Platform)를 적용했다. 또한, LG유플러스가 대역폭, 대기시간(latency) 및 복원력(resiliency) 측면에서 엄격한 5G 요구사항을 지속적으로 충족시켜 최고의 서비스 품질, 안정성 및
[첨단 헬로티] 영국 반도체 설계(IP) 기업인 Arm이 글로벌 반도체 전문 컨설팅 기업인 린리그룹 (The Linley Group)의 ‘2019 애널리스트 초이스 어워즈’에서 ‘최고의 IP 프로세서’로 선정됐다. 해당 시상식에서는 매년 최고의 반도체 제품들을 AI 액셀러레이터, 임베디드 프로세서, 모바일 프로세서, 서버 및 PC 프로세서, 프로세서 IP 코어, 네트워킹 칩, 최첨단 기술 등 일곱 개 부문으로 분류하여 시상한다. Arm 클라이언트 사업부 부사장 겸 총괄인 폴 윌리엄슨(Paul Williamson)은 “5G와 AI가 등장하면서 모바일 기기에 높은 컴퓨팅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소비자들이 이동 중에도 고성능 모바일 게임에서부터 복잡한 머신러닝 작업량을 동반하는 일에 이르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이라며, “이 상은 세계 최고 수준의 Mali 엔지니어링 팀의 노력을 인정하는 것이다. 그들은 엄청난 성능 향상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AI 어플리케이션 개발과정에서 요구되는 상당히 복잡한 컴퓨팅 집약적인 작업까지 가능하게 했다”고 말했다. 린리그룹의 수석 애널리스트
[첨단 헬로티] LS산전이 세계적 학술정보서비스 업체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가 선정하는 글로벌 100대 혁신 기업에 8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 LS산전은 지난 2월 18일, 경기도 안양 LS산전 R&D캠퍼스에서 이학성 LS산전 DT(Digital Transformation)총괄 사장, 김진우 클래리베이트 한국지사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트로피 수여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LS산전은 최근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가 발표한 ‘2018-19년 클래리베이트 더웬트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Derwent Top 100 Global Innovators 2018-19)’ 보고서에서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에 LG전자, 삼성전자와 함께 8년 연속 선정됐다. 특히 LS산전은 프랑스의 토탈(Total S.A), 미국의 엑손모빌(Exxon Mobil)과 함께 ‘석유, 가스, 에너지(Oil, Gas & Energy)’ 부문에서 수상하며, 이 분야 글로벌 톱
ⓒGetty images Bank [헬로티] 미래창조과학부가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나선다. 미래부는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와 '글로벌 ICT 지적재산권(IP) 이슈 세미나'와 'ICT제품 환경규제 대응전략 세미나'를 26일 코엑스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매년 국내 ICT기업의 해외진출에 필요한 지적재산권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미국 등 주요 수출대상국을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해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미국·중국 등 현지에서 활동하는 IP전문 변호사를 초청해 미국시장 진출시 필요한 사항 및 지재권 분쟁사례를 통한 대응전략, 중국의 통신산업분야 동향 및 진출시 준비사항 등을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다. 또한 'ICT제품 환경규제대응전략 세미나'에서는 국가공인시험검사기관(KOTITI) 연구원 등 관련전문가를 초청해 EU의 'RoHS'(유해물질규제) 개정 동향 등 최근 해외 환경규제 동향 등을 공유했다. 미래부 정완용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특허전략과 환경규제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며 "국내 ICT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
SDN 작업 프레임 하에서 SM-OS 기반 마이크로파 무선 상의 L3VPN 서비스 구현 ⓒgetty images bank SIAE마이크로엘레트로니카(SIAE MICROELETTRONICA)가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6(Mobile World Congress 2016)’에서 기존의 SM-OS 기반 마이크로파 포트폴리오에서 구현한 차세대 IP 네트워크를 전시했다. 이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oftware Defined Network) 분야의 진전을 보여준 것. 2014년 4월에 출시된 SM-OS는 아리센트(Aricent)의 ISS로 구동되는 FPN운영시스템(Future Proof Network Operating System)으로 이 회사의 모든 차세대 제품에서도 작동하도록 설계됐다. SM-OS 기반 제품은 출시 당시 모든 캐리어 이더넷의 요건을 충족했으며 현재 대부분 현장에서 검증됐다. 2015년에는 L2에서 L3 마이크로파로 진화하며 IP/MPLS의 원천 지원을 입증했다. 현재 SM-OS는 SDN 운영을 지원하는 네이티브 오픈플로우 프로토콜(Native Openflow Protocol)을 실행한다. 차세대 IP 실행에서 &lsq
식별자 기반 기술 개발로 IP 대신 ID로 통신하는 세상이 열렸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최근 ID 기반 차세대 네트워킹 핵심 기술 개발에 성공, 이를 검증 완료했다. 이로써 IP가 아닌 ID로 통신하는 시대를 구현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IP는 주소를 기반으로 통신한다. 따라서 수신자가 이동하는 경우나 네트워크에 동일한 수신 데이터가 존재할 때 매우 비효율적 통신을 하게 된다. 예컨대 현재 IP 기술 환경에서는 회사의 컴퓨터 사용 시 설정된 주소(IP)로는 집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에 비해 ID를 이용해 통신하는 방식은 주소와는 독립적이므로 IP에서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ETRI는 이 기술이 단말, 사람, 데이터, 서비스 등 다양한 통신 객체에 식별자 부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고 말했다. ETRI는 또 이 기술이 다가오는 5G 이동통신시대와 사물인터넷 시대에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향후 5G나 IoT의 등장으로 수백 억 개 이상의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높은 이동성과 보안성을 요구하며 인터넷에 연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럴 경우 현재의 IP를 이용한 네트워크 방식으로는 이러한 대규모성, 이동성, 보안성을 해결하
IP 카메라 등 영상 기반 IT 솔루션 개발 주력 씨앤에스아이는 영상 기반 IT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IP 카메라와 스마트 모바일 솔루션, 스마트 TV 솔루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RFID, 영상통합관제 소프트웨어, IoT 기반 액상 제설 시스템 등 최신 IT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를 토대로 각종 기관 및 기업에 맞는 영상 기반 대응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씨앤에스아이는 새로운 맞춤형 솔루션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꾸준히 연구와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IoT 기반 실시간 영상 전송 솔루션 Octopus Smart Live Solution은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여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하는 실시간 영상을 와이파이 또는 LTE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솔루션이다. Octopus Smart Live에서 전송하는 영상은 전용 PC 소프트웨어로 수신이 가능하다. 안드로이드 OS 기반에 동작하며 앱 구동 시에 서버로 자동 접속한다. Octopus Snow removal Solution은 LTE를 사용하여 도로 또는 골목길의 적설량을 확인(카메라 영상)하고 제설이 필요할 경우 스마트폰 또는 윈도우 소프트웨어로 제설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