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AI 기반 코너스톤 혁신 랩'은 AI 기술을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코너스톤 온디맨드(이하 코너스톤)가 ‘AI 기반 코너스톤 혁신 랩’의 설립을 23일 발표했다. ‘AI 기반 코너스톤 혁신 랩’은 전 세계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와 머신 러닝 전문가로 구성된 코너스톤의 전문가 조직으로 AI 기술을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전 세계적 팬데믹으로 경제에 혼란과 불확실성이 가중돼 기업들은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다. 이로 인해 민첩성과 회복탄력성이 기업 성공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부상했다. 이런 흐름에 적응하기 위해, 기업의 즉각적인 직원 정보 확인과 직원의 안정과 성장을 고려한 기업 문화 조성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기업이 직원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AI가 제시할 수 있을까. AI를 인사관리(HR) 업무에 연결시키는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많은 기업이 실제 운영에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망설이고 있다. 가트너 인공지능 설문조사(Gartner Artificial Intelligence Survey)에 따르면, 현재 HR 부문에
[헬로티] 워크데이가 인재관리(HR) 분야의 리더들이 헤쳐가야 할 2021년의 주요 과제로 'IDEAS'를 제시했다. IDEAS는 포용성(Inclusion), 디지털화(Digitalization), 경험 활성화(Enabling Experiences), 민첩한 조직(Agile Organization) 그리고 스킬(Skills)의 앞글자를 따 만든 말이다. ▲다섯 가지 과제의 앞글자를 딴 'IDEAS' (출처 : 워크데이) 워크데이의 그렉 프라이어(Greg Pryor) 전무는 “인사관리(HR) 분야는 30년 정도에 한번 꼴로 커다란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IDEAS'가 HR 리더에게 주요 이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팬데믹과 공정성 이슈가 혼재된 최근의 비즈니스 환경이 HR 운영 방식에 극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진단하며 "기술 발전에 따른 기술 격차 확대, 직원의 기대치 변화 등으로 인해 직원들이 성장하고 기여하며 소속감을 느끼도록 돕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IDEAS 가운데 첫번째 'Inclusion'(포용성)에 대해 프라이어 전무는 "포용이란 모든 사람이 최선을
[헬로티 = 김동원 기자] “코로나19로 유례없는 팬데믹 현상이 나타난 상황에서 회사의 우선순위가 완전히 뒤바뀌었다. 우리는 사업 생태계에 있는 많은 구성원과 직원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 사업의 연속성을 지키는 것이라고 보았고, 위기와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가운데 얼마나 더 빠르고 유연하게 대처해나가느냐가 기업의 경쟁력이라고 보았다” 워크데이 엘리베이트 디지털 익스피리언스(Workday Elevate Digital Experience)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이미라 GE코리아 인사총괄 전무의 말이다. GE는 오는 10월 26일, 워크데이 HCM 솔루션을 정식으로 론칭한다. HR 업무를 본격적으로 자동화시키는 것이다. ▲ 이상훈 워크데이 한국지사장(왼쪽)과 이미라 GE코리아 전무(오른쪽)가 워크데이 엘리베이트 디지털 익스피리언스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 (사진 : 워크데이) GE, 워크데이 솔루션으로 직원 중심 인사 정책 이룰 것 GE는 워크데이 솔루션을 전사적 차원에서 구축 중에 있으며, 전 세계 30만 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미라 전무는 GE가 워크데이를 도입하게 된 계기는 하나의 질문에서 시작됐다고 전했다. 그는
[첨단 헬로티] ▲ 애덤 밀러 코너스톤 온디맨드 창업자 겸 CEO 클라우드 기반의 러닝, 인재 관리 및 인재 경험 소프트웨어 분야 글로벌 기업 코너스톤 온디맨드(CSOD)는 12일, 광화문 포시즌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삼성전자를 국내 첫 고객으로 발표하면서 한국시장의 진출을 알렸다. 국내 진출을 위해 방한한 애덤 밀러(Adam Miller) 코너스톤 창립자 겸 CEO는 ‘파워 오브 포텐셜(The Power of Potential)’이란 주제의 키노트 발표에서 글로벌 기업 및 국내 기업이 인재교육과 인재 경험을 통한 기업 경쟁력 확보 방안을 발표했다. 애덤 밀러 CEO는 “현재 모든 산업군에서의 디지털화로 새로운 기술 도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변화된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직업군이 지속적으로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 경쟁력확보 및 유지를 위해 직군에 맞는 인력을 선택하고, 기존 인력의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인재를 개발하고 잘 유지시키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코너스톤은 다른 경쟁사들과 차별화를 두고 있는 점은 사람, 즉 인재 개발에만 창업이래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첨단 헬로티] 연례 최대 행사 '사파이어 나우'에서 경험 관리 솔루션 10개 선보여 SAP는 현지시간 7일부터 3일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개최하는 연례 최대 IT 컨퍼런스인 '사파이어 나우(SAPPHIRE NOW)'에서 소비자와 기업이 교감하는 새로운 시대를 알렸다고 밝혔다. SAP는 퀄트릭스(Qualtrics)의 인수 완료 후 불과 3개월만에 경험데이터(X-data)와 운영데이터(O-data)를 결합하는 10개의 새로운 솔루션을 공개했다. 소비자, 임직원, 제품 및 브랜드에 대한 경험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개선하는 데 주안점을 둔 해당 솔루션은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계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기조연설에서 경험데이터의 중요성에 대해 발표하고 있는 빌 맥더멋 SAP CEO 경험데이터와 운영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조직은 소비자, 임직원, 공급 업체, 파트너를 비롯한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신념, 감정 및 의도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 새롭게 공개된 솔루션은 4가지 고객 경험(CX) 솔루션, 3가지 직원 경험 솔루션, 3가지 시장 조사 솔루션이다. 또한, CRM, ERP 및 HCM 시스템 등과 같은 기업용 소프트웨어에 경험데이터를 직접 적용해
[첨단 헬로티] 오라클이 급변하고 있는 글로벌 인력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HCM 클라우드를 새롭게 혁신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채용 후보자와 HR전문가, 매니저, 직원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경험을 제공해 조직의 HR업무 간소화와 능률화를 촉진하고, 시장의 필요에 더욱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T시장 조사기관인 벤타나 리서치(Ventana Research)의 마크 스미스(Mark Smith) CEO 겸 최고연구개발책임자는 “2021년까지 조직의 절반만이 자동화와 지능화 기반의 비즈니스 혁신을 위해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추세는 특히 HR 분야에서 크게 두드러진다”고 말했다. 이어 “오라클의 혁신은 HR 전문가들이 변화하는 시장흐름에 한 발 앞서있도록 돕는다. 특히 산업 내에서도 독보적으로 꼽히는 모바일 반응형 디자인과 디지털 비서 기능과 같은 오라클의 혁신 투자는 고객이 시장의 최전선에서 보다 장기적으로 성과를 달성하는데 핵심적으로 기능한다”고 덧붙였다. 크리스 레온(Chris Leone) 오라클 HCM 클라우드 개발 부문 수석 부사장은 &ldquo
[첨단 헬로티] 현대캐피탈, 클라우드 기반의 글로벌 HR 통합 시스템으로 ‘Global One Company’ 체제 강화 한국오라클(대표 김형래)은 현대캐피탈에 HR 클라우드 솔루션인 ‘오라클 HCM(Human Capital Management) 클라우드’를 공급했다고 발표했다. 국내 금융사 최초로 글로벌 인사운영부터 교육까지, HR 전 영역을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현대캐피탈은 통합 HR 시스템을 통해 글로벌 금융사로서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고 ‘Global One Company’ 체계를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새로 도입하는 글로벌 HR 통합 시스템은 10개의 해외법인과 본사에서 개별적으로 운영하던 HR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 하나의 단일 플랫폼으로 결합한다. 올해 10월부터 운영 중인 미국법인을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에 전 법인의 글로벌 HR 시스템 통합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현대캐피탈의 모든 직원들은 언제 어디서나 같은 플랫폼을 사용, 실시간으로 인사 관련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공유한다. 또한, 인사부서는 공통된 글로벌 채용과 평가 기준으로 인적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