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국내 대표 화학산업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전문 전시회인 '2020 대한민국화학제조산업대전(이하 산업대전)'이 지난 5일(수)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최됐다. ▲2020 대한민국화학제조산업대전이 지난 5일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최됐다. (사진 : 서재창 기자) 메쎄이상, 인천관광공사 주최,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후원하는 산업대전은 오는 7일까지 열리며, 총 157개 기업이 참가했다. 산업대전은 '제11회 국제코팅접착필름산업전', '제8회 국제첨단표면처리·도장산업전', '제2회 국제화학·바이오장비&분석기기전'이 동시 개최되며, 온라인 수출상담회, 컨퍼런스 및 기술 세미나 등의 부대행사가 동시 진행될 계획이다. 전시회 부대행사로는 우선 국내 소부장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KOTRA의 해외 바이어 초청 온라인 수출상담회가 진행된다. 해외 진성 바이어 10개국 19개사를 초청한 금번 수출상담회는 전면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또한, 효율적인 상담회가 진행되도록 참가기업과 해외 바이어가 사전 매칭을 통해 서로의 수요를 확인하고, 전시회 현장에서는 체계적인 화상상담이 운영 가능하게 될 예정이
ⓒ산업부 제공 [헬로티] 한국-오만 양국이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오만의 주요 에너지·인프라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의 참여를 촉진하기로 합의했다. 산업부는 1일 서울 포시즌 호텔에서 열린 '제5차 한-오만 경제협력위원회'에서 양국이 프로젝트 추진 일정 등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한국 기업의 참여 방안을 공동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특히 산업부는 "오만 측이 한국 기업의 애로사항을 편리하게 지원하기 위해 오만에 '코리아데스크'를 설치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한 3일에는 금융산업의 공동 발전을 위해 금융정책과 금융감독 전반에 대한 정보 공유 등의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로 했다. 한-오만 경제협력위는 지난 2009년 시작돼 2년에 한 번씩 양국에서 교차로 개최했으며 교역·투자, 에너지자원, 금융, 인프라, 보건, 관광, ICT 등 12개 분야에 대해 논의를 진행해왔다. 이번 프로젝트는 ▲두큼 정유플랜트 ▲소하르 석유화학플랜트 ▲살랄라 암모니아 플랜트 ▲라스 마르카즈 원유저장소 ▲오만-이란 해저 가스파이프라인 ▲국가철도망 등 총 271억 달러 규모이며 이번 합의는 앞으로 에너지플랜트
ⓒGetty images Bank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가 31일 '제8회 화학산업의 날' 기념행사에서 "우리 화학산업이 고부가 사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은 이날 화학업계 산·학·연 관계자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축사를 통해 지난달 30일 정부의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에 따라 공급 과잉 품목에 대한 사업재편과 고부가 품목에 대한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 동참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우리 화학산업이 양호한 실적을 거두고 있지만 앞으로도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석유화학협회 허수영 회장 역시 "글로벌 첨단화학 강국으로 도약해야 한다"며 "선제적인 사업재편을 통한 산업고도화, R&D 강화, 해외진출 확대 등을 위해 정부와 기업, 학계가 모두 힘을 모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화학산업의 날은 울산석유화학단지가 준공된 1972년 10월 31일을 기념해 2009년부터 개최되었다. 이날 행사에서는 화학산업 발전에 공헌한 유공자 33명에 대한 포상과 '제13회 화학탐구 프런티어 페스티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11개 팀에 대한 시상이 이루어졌다. 은탑산업훈장은 동서석유
화학산업의 현 주소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화학산업 분야 종합전시회 2015 대한민국화학산업대전이 지난 5월 6일부터 9일까지 4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 전시장 A, B홀에서 개최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KEY to success in CHEMistry’를 슬로건으로 화학 원료부터 촉매·첨가제, 공정장치·기계를 비롯해 최근 그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험인증 서비스 등 화학산업의 모든 것을 관람할 수 있도록 전시회를 구성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는 LG화학, 금호석유화학, 롯데케미칼, 한화케미칼 등 국내 대표 석유화학기업들과 전기·전자, 자동차, 건설, 섬유 등 후방업체 150개 기업, 중국, 일본, 동남아 등 15개국 50개 해외기업이 참가해 최첨단·고부가가치 화학 소재·응용제품 등을 선보였다. 아울러 전시회 개최기간 동안 최근 아시아 석유시장 마케팅 전망을 비롯한 화학산업 분야에 이슈가 되고 있는 화평법 및 화관법 대응방안에 대한 관련 세미나도 부대 행사로 개최됐다. 한편, 이번 전시회는 총 40개국 약 1천3백여 명의 석유화학 관계자가 참가하는 세계 3대 석유화학 컨퍼런스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