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뉴스 임한권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_수소 생산 기술의 경제적 타당성 제시
[첨단 헬로티]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의 경제성은 어떨까? 최근 이 경제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나와 관심을 받고 있다. 임한권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글리세롤(Glycerol) 수증기 개질반응’을 통한 수소 생산 기술의 경제성을 평가해 국제 학술지 ‘에너지 컨버전 엔 매니지먼트(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에 발표했다. 이 기법은 실제 기술적인 데이터를 산출하는 동시에 경제성을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됐다. ▲ 임한권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 <사진 : UNIST> 글리세롤 수증기 개질반응 공정 타당성 평가 현재 대부분의 수소는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수증기와 반응시켜 얻는다. 따라서 생산 과정에서 환경오염을 피하기 어렵다. 그 대안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다양한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 중이다. 임한권 UNIST 교수팀은 바이오디젤(Biodiesel)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글리세롤’로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에 주목하고, 경제성 분석을 진행했다. 버려지는 부산물을 이용해 수소를 만드는 기술의 타당성을 평가해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