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센서,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로 빌딩은 점점 더 스마트해지고 있다(그림 1). 이러한 기술들이 모여 새로운 가능성을 열면서 사용자들은 더 간편한 삶을 누릴 수 있다. 빌딩의 접근성, 유연성, 사용자 친화성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케이블이나 무선을 사용한 센서/엑추에이터 네트워크(Sensor/Actuator Networks)가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는 빌딩의 에너지 효율과 IT 보안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KNX 칩셋 기술 KNX는 수년간 빌딩의 통신 및 자동화를 위한 국제표준으로 자리잡았다. 이 표준의 기원은 1990년 초 EIB(European Installation Bus)라는 명칭의 표준에서 찾을 수 있다. 여기에 BATIBUS(프랑스)와 EHSA(네덜란드)와 같은 다른 표준들이 더해져 2006년 KNX 협회가 탄생했다. KNX는 분산형 버스 시스템으로서, 각기 다른 수많은 공급사 및 제조사의 모든 KNX 인증 제품은 상호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구성할 수 있다(그림 2). 엔지니어링 툴 소프트웨어(ETS)를 사용하면 모든 KNX 네트워크에서 설계, 구성, 진단을 할 수 있다. 물리적 수준에서 가장 많이
[헬로티] 실리콘랩스(지사장 백운달)는 홈 오토메이션 시장을 위해 가정에서의 생활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며 에너지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한 사물인터넷(IoT) 연결 기기 솔루션을 제공하는 새로운 무선 동체 감지 센서 및 스마트 아웃렛 레퍼런스 디자인 2종을 출시했다. FCC 및 UL 사전 인증을 획득한 이들 레퍼런스 디자인은 실리콘랩스의 지그비 ‘골든 유닛(Golden Unit)’ 홈 오토메이션(HA 1.2) 소프트웨어 스택과 멀티프로토콜 무선 게코(Wireless Gecko) SoC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미래지향적인 커넥티드 홈 제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모든 하드웨어와 펌웨어, 그리고 소프트웨어 툴을 포함하고 있다. 실리콘랩스에 따르면, 이들 신제품은 홈 오토메이션 기기 제조사와 개발자가 지그비 메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해 제품 출시 기간을 단축하고 시스템 비용과 복잡성을 줄일 수 있게 해준다. 개발자들은 새로운 이들 턴키 레퍼런스 디자인을 이용해 사전 인증된 무선 기술과 오픈소스 하드웨어 설계 파일, 업계 표준 소프트웨어 스택을 통해 설계 콘셉트부터 최종 제품까지 신속하게 앞서 나갈 수 있으며, 검증된 테스트 설정 및 제
[헬로티] 실리콘랩스(Silicon Labs, 지사장 백운달)는 지난 30일 사물인터넷(IoT) 시장을 겨냥한 멀티밴드, 멀티프로토콜 무선 SoC(system-on-chip) 디바이스를 전격 공개했다. 새로운 멀티밴드 와이어리스 게코(Wireless Gecko) SoC 제품들을 이용, 개발자들은 동일한 멀티프로토콜 제품을 2.4 GHz 대역과 복수의 서브기가헤르츠(sub-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할 수 있어, 커넥티드 기기 설계의 간소화, 비용 및 복잡도 감소, 시장출시시점 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실리콘랩스는 멀티밴드 와이어리스 게코 SoC 제품들은 빌딩 및 홈 오토메이션, 스마트 미터링, 보안, 건강 및 피트니스 모니터링 기기, 커넥티드 조명, 전자가격표시기(ESL: electronic shelf label), 물류 추적 등의 애플리케이션에서 IoT 연결을 위한 제품에 적합하다고 덧붙였다. 실리콘랩스에 따르면, 멀티밴드 와이어리스 게코 SoC는 단거리 접속을 위한 2.4GHz 대역에서의 표준기반 및 독자적인 프로토콜 뿐 만 아니라 더 넓은 무선 통달범위를 위해 서브기가헤르츠에서의 독자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사물인터넷은 우리 주변의 주택부터 차량 내 커뮤니케이션에 이르기까지 실제 세계와의 소통 방식을 변화시키는 중이다. 새로운 범주의 기기와 애플리케이션을 유발하는 이런 진화의 중심에는 CMOS 이미지 센서 기반의 카메라가 있다. 이 글에서는 홈 자동화 IoT 기기에 가장 적합한 CMOS 이미지 센서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적인 특성을 고찰한다. 사물인터넷(IoT)은 우리의 일상생활 대부분을 바꿀 정도로 급속히 진화하고 있다. 이런 진화의 중심에는 센서 기술이 있다. 대부분의 IoT 애플리케이션은 여러 개의 센서를 내장한 상태이며 그 중 상당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오늘날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홈 오토메이션 제품 및 시스템들은 CMOS 이미지 센서 기반의 카메라를 배치한다. 정교한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접목한 이 카메라는 조만간 스마트 홈의 ‘두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홈 자동화 IoT 기기에 가장 적합한 CMOS 이미지 센서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적인 특성을 고찰한다. CMOS 이미지 센서 핵심 특성 … 화각 화각(FOV, Field of View)은 특정 위치와 방향으로 카메라를
ⓒGetty images Bank 사물인터넷은 우리 주변의 주택부터 차량 내 커뮤니케이션에 이르기까지 실제 세계와의 소통 방식을 변화시키는 중이다. 새로운 범주의 기기와 애플리케이션을 유발하는 이런 진화의 중심에는 CMOS 이미지 센서 기반의 카메라가 있다. 이 글에서는 홈 자동화 IoT 기기에 가장 적합한 CMOS 이미지 센서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적인 특성을 고찰한다. 사물인터넷(IoT)은 우리의 일상생활 대부분을 바꿀 정도로 급속히 진화하고 있다. 이런 진화의 중심에는 센서 기술이 있다. 대부분의 IoT 애플리케이션은 여러 개의 센서를 내장한 상태이며 그 중 상당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오늘날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홈 오토메이션 제품 및 시스템들은 CMOS 이미지 센서 기반의 카메라를 배치한다. 정교한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접목한 이 카메라는 조만간 스마트 홈의 ‘두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홈 자동화 IoT 기기에 가장 적합한 CMOS 이미지 센서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적인 특성을 고찰한다. CMOS 이미지 센서 핵심 특성 … 화각 화각(FOV, Field of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