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올 여름 전기 사용량은 지난 3년을 기준으로 최대치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전력(이하 한전)에 따르면, 올 여름 폭염으로 인해 역대 최악의 폭염이었던 2018년보다 최저 338MW에서 최대 3,838MW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경기회복에 따른 반도체, 자동차, 기계장비 등 전력다소비 업종의 수출실적 호조영향으로 전력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1월 ~ 7월 전력사용량은 30만5,416GWh로 전년대비 3.8%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간 전력사용량은 52만3,916GWh 전년대비 2.9%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전력사용량 추이(1~7월, GWh) : (’19) 302,823 → ('20) 294,320 →('21) 305,416 (전망치, 전년대비 3.8%↑) ▷ 전력사용량 추이(연간, GWh) : (’19) 520,499→ ('20) 509,270 →('21) 523,916 (전망치, 전년대비 2.9%↑) 한전은 전력수요 피크시기(8월 2주)의 전력공급 능력을 9만9,174MW로 증가(지난해 대비 1,223MW↑)시켜놓았으나, 폭염으로 인한 냉방수요 증가와 경기회복에 따른 산업생산 증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일 서울복합발전본부를 방문해 “올 여름철 전력공급 능력은 예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지속되는 무더위 등으로 전력수요가 언제든 급증할 가능성이 있다”며 “전력 유관기관은 비상한 각오로 안정적인 전력수급 관리에 총력을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최근 무더운 날씨로 냉방용 전력수요가 늘고, 국내 경제회복에 따른 산업생산 증가 등이 복합 작용하면서 전력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전력수급 예비율은 10% 이상 수준을 기록하며 안정적으로 관리·유지하고 있다. 산업부는 이번 주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폭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전력수요가 급증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이번 주가 올 여름 최저 예비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에 대비해 산업부는 피크 시간대에 맞춰 기여할 수 있도록 시운전 발전기와 태양광 연계 ESS의 방전시간 조정 준비를 마치고, 공급능력 확충을 위해 신월성 1호기(1GW)는 지연됐던 정비기간을 단축해 이번 주부터 가동한다. 또 전력수요 절감을 위한 다양한 대책도 추진하기로 했다. 전력 다소비 산업체 등을 대상으로 여름철 휴가 분산, 전기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