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포인트모바일의 올해 매출이 900억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포인트모바일은 아마존과 2억 달러 규모의 산업용 모바일PC 계약(2020년 7월)을 따낸 것으로 관심을 받았던 산업용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 전문 기업이다. 하나금융투자는 포인트모바일의 올해 매출액을 976억원, 영업이익을 157억원으로 전망했고, 유안타증권은 매출액 934억원, 영업이익 155억원으로 전망했다. 전망대로만 된다면 포인트모바일 사상 매출 최고치를 달성하게 된다. 참고로 2019년 매출액은 616억원, 영업이익은 68억원이었고, 2020년에는 매출액 481억원, 영업이익 4억원이었다. 아마존이 '효자' 이번 전망의 배경은 단연 아마존이다. 올해부터 아마존을 통한 매출 상승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하나금융투자는 "당장 2분기부터 매출액 260억원, 영업이익 49억원을 기록하며 급성장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무엇보다 "아마존 매출은 매년 늘어날 예정이며, 아마존 공급 이력을 필두로 추가적인 글로벌 고객사의 유입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하나금융투자에 따르면, 아마존은 전세계 29개국에 2,427개의 물류창고를 운영 중이며 미국에 1,170개(48.2%), 인도에 4
[헬로티] (주)포인트모바일 강삼권 대표가 (사)한국자동인식산업협회에서 수여하는 '2020년 올해의 자동인식인 상'을 수상했다.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회장 송준원, 이하 KAIIA)는 지난 18일 서울 금천구 가산동에 위치한 포인트모바일에서 2021년 정기이사회를 개최하는 자리에서 2020년 올해의 자동인식인 상을 수여했다. 산업용 PDA 제조업체로 2006년 출범한 포인트모바일은 2012년까지는 OEM과 ODM에 주력하면서 차별화된 기술력과 경험, 노하우를 쌓았고, 2013년부터는 자체브랜드를 출시하고 전세계 시장으로 수출하기 시작했다. 검증된 실력으로 국내외 PDA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온 포인트모바일은 지난해 12월 코스닥 시장에 입성했다. 사진. 포인트모바일 강삼권 대표(좌)가 (사)한국자동인식산업협회 송준원 회장으로붵 올해의 자동인식인 상을 수상하고 있다. 포인트모바일 강삼권 대표는 "올해의 자동인식인 상을 수상하게 돼 영광이다. 자동인식 기술은 다양한 현장의 산업영역에서 중요한 기술"이라며 "국내 자동인식산업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국자동인식산업협회 송준원 협회장은 "포인트모바일이 협회 회원사로써 코스
[헬로티] 연매출액의 13.5%를 R&D에 투자하면서 압도적 기술력으로 도약할 것 2006년 설립한 포인트모바일은 글로벌 선두 기업인 Honeywell/미국, Data Logic/이태리, Casio/일본 등에 OEM/ODM 방식으로 제품을 오랫동안 공급해 오고 있다. 이렇게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2015년 자체 브랜드로 세계 산업용 PDA 시장에 뛰어든 포인트모바일은 가파른 성장세로 관련 시장의 글로벌 점유율을 넓혀가고 있다. 이미 국내 시장 1위를 차지한 포인트모바일은 상장 후 글로벌 3위를 진입한다는 계획이다. ▲ 포인트모바일 강삼권 대표 Q 하반기 상장을 앞두고 있어서 독자들의 관심이 높은데 포인트모바일의 강점을 중심으로 어떤 기업인지 소개해 달라. 포인트모바일은 기업 및 산업용 모바일 기기 제조업체로, 가혹한 산업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진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는 기업이다. 주요 제품으로는 핸드헬드 모바일 컴퓨터, 러기드(Rugged) 스마트폰, 모바일 결제 단말기, 헬스케어 단말기, RFID 리더기 등 다양한 산업에서 요구하는 스마트 단말기들을 생산하고 있다. 다른 대형 제조업체와 달리 포인트모바일은 제품의 디자인 모델링 개발부
[첨단 헬로티] 포인트모바일이 RFID 건타입 RF850을 출시하면서 모바일 장치 라인업을 확장했다. 고성능 UHF 태그 판독을 위해 PM85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새로운 RF850 UHF 리더는 시장에서 입증된 Impinj Indy R2000 칩을 특징으로하며 최대 6m의 거리를 읽을 수 있다. 초당 최대 700개의 태그 속도로 읽을 수 있으며, 수집된 모든 데이터는 PM85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회사에 따르면, RF850은 소매업, 산업 생산, 물류 및 창고 관리 및 건강 관리 산업에 최적화되어 있다. 특히, RF850 UHF 리더는 355g의 컴팩트 한 크기와 무게는 인체 공학적 디자인과 충전 및 데이터 통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상태 LED를 강조한다. 포인트모바일 관계자는 "독자의 권총 손잡이에 균형점을 두어 무게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했다"고 말했다. 드롭 사양이 1.5m인 RF850은 가장 거친 환경에서도 파손없이 사용할 수 있다. 광범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자 키트에는 고객 애플리케이션에 RFID 모듈의 통합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샘플 및 라이브러리가 포함되어 있다.
[첨단 헬로티] 진코퍼레이션, 글로벌 스마트팩토리 쇼룸 1주년 리뉴얼 오픈 공급망관리(SCM) 솔루션의 국내 선도기업인 ㈜진코퍼레이션(대표 이창희)이 오는 9월 5일 스마트팩토리 쇼룸 1주년 리뉴얼 오픈식을 개최한다. 2017년 9월 국내 최초로 오픈한 글로벌 스마트팩토리 쇼룸에 전시되었던 기존의 솔루션에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SMART FACTORY SOLUTION)과 스마트 로지스틱스 솔루션(SMART LOGISTICS SOLUTION)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하여 새롭게 선보이는 것이다. 회사에 따르면, 2017년 9월 스마트팩토리 쇼룸을 오픈한 이래, 현재까지 100여개의 기업, 50여개의 국내외 연구기관으로부터 약1,000여명이 방문하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솔루션을 한 곳에서 직접 체험하고 판단하여 고객의 가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가졌다. 올해도 글로벌 IoT관련 기술 대표 기업인 일본의 산신금속공업, 이토텐키, 도시바테크, 화낙, 미국의 하니웰, 코그넥스, 한국의 KIS정보통신, 포인트모바일, 하누리티엔 등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을 구축하여 진코퍼레이션과 함께 스마트팩토리 쇼룸 1주년 리뉴얼 오픈식에 참여한다. 기존에 구축된 쇼룸이
[첨단 헬로티] 글로벌 브랜드와 견줄만 다양한 기능 탑재로 경쟁력 업그레이드 많은 회사들이 소비자용 스마트폰을 직원용으로 구매하여 제공을 하고 있다. 소비자용 스마트폰은 잘 깨지고, 밧데리를 교체할 수 없으며, 5년동안 장기간 공급을 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 포인트모바일은 기업용 스마트폰 PM45를 출시했다. 지난 10여년 동안 모바일 컴퓨터 분야에서의 OEM, ODM, 자체 개발했던 역량을 투입해 기업용 스마트폰을 출시한 것이다. 포인트모바일에 따르면, PM45는 기업용 B2B 시장에 적합한 제품으로 방수/방진 IP67 등급을 받았으며, MIL-STD 810G 등급에 맞는 다양한 극한 조건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자랑한다. 또한 사용자들의 능률 향상을 위한 PTT 기능 지원으로 별도 통신 장치에 관계없이 특정인 또는 그룹을 무료로 즉시 연결시켜 준다. PM45의 두뇌인 Qualcomm Snapdragon 450에는 Octa-core 1.8GHz 프로세서가 현장에서 필요한 모든 종류의 기업용 응용 프로그램을 탁월한 성능으로 지원하며, 빠른 로밍, 완벽한 SDK 및 API, 교체형 배터리, 그리고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기능에 빠른 접근을
산업용 태블릿 PC와 모바일 POS로 사업 영역 확대 ▲ 강삼권 대표 2006년 설립돼 올해로 창립 10년째를 맞이하는 포인트모바일(대표 강삼권)은 국내외를 대표하는 산업용 PDA 공급업체다. 글로벌 업체들의 ODM과 OEM을 시작으로 자체 브랜드 제품까지 개발하면서 결제 단말기를 제외한 다양한 라인업을 확보하고 있다. ▲ 주요 제품 라인업 지금까지 하니웰과 데이터로직, 도시바테크, 핸드헬드, 자남 등의 글로벌 업체에 납품한 수량은 약 57만개 규모이며, 2015년 11만개를 출하했고, 올해는 약 15만개 생산이 계획돼 있다. 최근 중국의 심천 공장 설립으로 연간 생산할 수 있는 제품 수량은 약 30만개까지 늘어났다. 주목할 만한 점은 포인트모바일의 2007년 5억원 남짓 매출은 2015년 370억원으로 연간 77%의 고성장률을 기록해 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장이 가능했던 것은 글로벌 업체들에 제품을 납품하면서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장비 신뢰성을 갖추려다보니 자연스럽게 터득하게 된 노하우와 경험이었다. 강삼권 대표는 “우리의 강점은 장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차별화된 테스트라고 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영하 10도에서 3시간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