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이하 KAMA)가 미래차의 핵심 키워드로 꼽히는 커넥티드, 자율주행의 확대에 따라 OTA(무선 업데이트) 허용, 데이터 수집·활용에 대한 규제 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커넥티드카는 자동차에 통신모듈이 장착되어 차량 내외부, 인프라, 외부기기 등과 인터넷 액세스 및 데이터 공유가 가능한 차다. KAMA의 ‘커넥티드카 서비스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커넥티드카 시장은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국내 커넥티드카는 올해 5월을 기준으로 424만대를 넘으며, 자동차 총 등록대수(약 2459만대) 대비 17.3%를 차지했다. 2020년 한 해에만 117만대가 증가(2019년 대비 47.6% 증가)했고,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36.8%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최근에는 현대차, 기아, 르노삼성 등 자동차 제조사들이 이동통신재판매사업자로 등록해 직접 커넥티드 서비스를 제공(5월 기준 239만 회선 돌파, 매달 약 10만 회선씩 증가 중)해 성장세에 기여하고 있다. KAMA는 국내 커넥티드 서비스의 확대와 품질 제고를 위해 먼저 차량용 소프트웨어 무선 업데이트를 장소 제약 없이 허용할 필요성을 제기
[헬로티=이동재 기자] ▲정동욱 삼성SDI 그룹장이 25일 코엑스에서 열린 NGBS 2021 배터리 기술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출처 : SNE리서치)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생각과 사업 전략을 공유했다. SNE리서치가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차세대 배터리의 방향’이라는 주제로 NGBS(Next Generation Battery Seminar) 2021 배터리 기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가장 뜨거운 화두는 차세대 전지인 전고체 배터리였다.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이온을 이동시키는 기존의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한 전지다. 폭발이나 화재의 가능성이 낮을 뿐 아니라 에너지 밀도도 높고 무게도 가벼워 ‘꿈의 배터리’라고 불린다. LG에너지솔루션의 김제영 상무는 “20년 전에 리튬황과 리튬에어, 전고체 전지가 가장 유망한 전지로 꼽혔는데, 현 상황에서 리튬황 전지와 리튬에어 전지는 구현 가능성이 낮고 전고체 전지가 가장 유망한 차세대 배터리”라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이 현재 주력하고 있는 배터리는 파우치형 배터리로 다른 배터리에 비해 에너
[헬로티] ▲인텔 모빌아이의 아이큐포(EyeQ4). (출처 : 인텔) 인텔의 자회사 모빌아이가 ZF 프리드리히스하펜 AG(이하 ZF)와 토요타의 여러 차량 플랫폼에 적용될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을 개발한다고 밝혔다. 모빌아이 기술을 사용중인 세계 최대 자동차 카메라 생산업체 중 하나인 ZF는 이번 계약을 바탕으로 젠21(Gen 21) 중거리 레이더를 토요타에 공급하고 토요타 자동차의 카메라와 레이더 통합을 담당할 예정이다. 모빌아이와 ZF는 컴퓨터 비전 및 머신러닝 기반 탐지, 현지화, 매핑 및 차선 유지 및 차선 중앙 주행 등 시스템을 위한 동급 최고의 횡방향 차량 제어 기술을 통해 도로 안전을 개선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연구하고 있다. 크리스토프 마르나트(Christophe Marnat) ZF 일렉트로닉 및 ADAS 부문 수석부사장은 “ZF는 첨단 글로벌 안전 규정을 충족하는 첨단 안전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모빌아이 및 토요타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ZF의 혁신적인 기술은 융합 기반 시스템과 ADAS에 탁월한 성능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는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ZF의 레이더
[첨단 헬로티] 트리고 그룹(TRIGO Group)이 토요타의 품질관리, 검수, 관리 활동의 독점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트리고는 지난 20년 동안 자동차 및 항공우주 업계를 위한 품질관리 솔루션을 제공해온 기업이다. 품질관리와 검수 등 일반적인 서비스를 넘어서 트리고는 품질 물류, 재작업, 마케팅 재실행, 감사, 훈련에 이르기까지 제작 절차의 모든 단계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트리고는 2001년부터 토요타 오냉 공장에서 40여개 협력업체와 함께 활동하고 있다. 지금까지 토요타와의 제휴 협력을 더 높은 단계로 끌어올린 트리고는 자동차 마케팅 재실행이나 차량 현대화, 종합 재작업 서비스 등으로 솔루션을 한층 발전시켰다. ▲트리고 그룹(TRIGO Group)이 토요타의 품질관리, 검수, 관리 활동의 독점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트리고 프랑스의 이사 알렉사 스테파노비치(Alexa Stefanovic)는 "토요타 오냉이 2020년까지 생산량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되어 기쁘다. 우리는 제휴 업체에 고도로 맞춤화된 솔루션을 제공하여 그들의 요구사항을 만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늘날 토요타 오냉은 시장에서 뛰어난 평판을 자랑하는 자동차 토요타 야리스(Toyota Y
[첨단 헬로티] 세계 최대의 첨단 자동차 기술 전문 전시회인 제11회 오토모티브 월드(AUTOMOTIVE WORLD)가 1월 16일부터 18일까지 3일간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최되었다. 오토모티브 월드는 '자율 주행 기술전’을 비롯,‘전자 기술’, ‘EV/HEV’, ‘경량화 기술’, ‘커넥티드 카’, ‘부품 가공 기술’의 6개 분야를 전시, 자동차에 관한 필수 요소 기술이 총 집결했다. 매년 참가사 수가 증가하고 있는 AUTOMOTIVE WORLD는 올해 사상 최다인 1120개사가 참가하였다. 각 부스마다 비즈니스 미팅이 진행되었으며 최신 제품/기술 및 비즈니스 파트너를 발굴하기 위해 방문한 참관자로 전시회 기간 3일 내내 각 부스와 통로가 가득 찼다. AUTOMOTIVE WORLD에 다수의 참관자가 집결한 이유 중 하나는 업계 리더가 강연하는 컨퍼런스의 질이 높기 때문이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고급 자동차 기술, 자동차 메이커와 주요 공급 업체의 자율주행 기술, MaaS, 커넥티드 카, 배터리 혁명 및 경량 기술 등의 내용이 다뤄졌다. 기조
[첨단 헬로티] 3D 솔루션 및 제품수명주기 분야 글로벌 기업인 다쏘시스템이 유럽에서 신규 출시하는 토요타 전 차종의 디지털 마케팅 솔루션 창출을 위해 3년간 협업하기로 했다. 다쏘시스템의 차세대 디지털 마케팅 솔루션은 현지화되고 개인화된 디지털 마케팅 콘텐츠를 통해 자동차 구매 단계에서 소비자 개인의 취향을 고려한 맞춤화된 차량 구매 경험을 제공한다. ▲ 다쏘시스템 마케팅 시각화 솔루션 활용 예 토요타 유럽은 다쏘시스템의 디지털 마케팅 에셋 생산 프로세스 자동화 및 통합을 지원하는 최고급 시각화 애플리케이션 3DEXCITE를 최대로 활용해 엔지니어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요 타겟층에 브랜드 및 제품 테마에 대한 감성적 부분까지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디지털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할 계획이다. 소비자는 차량 구입 시 취향에 따라 개인 맞춤화된 모델, 색상, 제품 사양, 제품 라인업 등을 브로셔, 온라인 비디오 콘텐츠, 웹 컨피규레이터를 통해 시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계기판, 시트, 휠, 백미러, 색상 등과 같은 모든 옵션을 차량 주문 전 단계에서 디지털 환경으로 실제와 동일하게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편리하고 신속한 신차 판매 프로세
[첨단 헬로티] 지금과 같은 중앙 집중화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커넥티드카와 자율주행차에서 발생하는 거대한 데이터량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글로벌 자동차 제조 업체인 토요타는 그렇게 생각하는 것 같다. 이를 위해 대안 마련에도 직접 나섰다. 해법은 엣지 컴퓨팅과 클라우드 기술을 버무리는 것이다. 토요타는 인텔, 에릭슨, NTT, NTT도코모, 덴소, 토요타 산하 인포테크놀로지 센터 등이 참여하는 가운데, 오토모티브 엣지 컴퓨팅 컨소시엄을 출범시켰다. 컨소시엄은 지금처럼 데이터를 클라우드 환경에 투입해 바로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대안을 마련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컨소시엄에 따르면 커넥티드 카에서 발생하고, 커넥티드카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규모는 점점 늘고 있다. 커넥티드카의 경우 주변 인프라와 커뮤니케이션(V2I)도 이뤄진다. 이같은 상황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점점 부담이 될 수 있다. 토요타와 컨소시엄에 따르면 커넥티드카와 자율주행차 확산에 따라 차량과 클라우드 간 오고가는 데이터 규모는 지금보다 1만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10엑사바이트 또는 100억 기가바이트급이다. 자율주행차 역시도 핵심은 데이터다. 자율주행차는 차량에 탑
[첨단 헬로티] 일본 거대 자동차 회사인 토요타가 동종 업체인 마쓰다와 전기차 개발과 관련해 동맹을 맺었다. 토요타는 마쓰다 5%를 인수하고 16억달러 규모의 합장 공장을 미국에 세우기로 했다. 토요타와 마쓰다는 전기차 외에도 자율주행, 인공지능, 친환경기술, 차량 간 통신 등 차세대 차량 기술에서도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토요타는 인공지능, 친환경 에너지 차량 등을 포함하는 핵심 영역에서 R&D 비용을 20%에서 25%까지 늘리기로 했다. 토요타가 기술 투자 및 R&D를 강조하는 것은 구글, 애플, 아마존 등 새로운 회사들이 자동차 시장에 진입하는 것에 따른 부담을 반영한 것이다. 토요타 아키오 회장이 최근 도쿄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같은 의견을 보였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앞서 토요타는 전기차 충전 시간을 줄이고 주행 거리는 늘릴 수 있는 솔리드 스테이트 배터리 기술도 개발중이라고 밝혔다. 첨단 운전자 보조 장치(Advanced driver-assistance systems: ADAS)와 커넥티비티에서 기술 개발에도 적극적이다.
[첨단 헬로티] 거대 자동차 업체인 토요타가 리튬이온 기술이 아닌 새로운 유형의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개발중이라는 소식이다. 토요타는 2020년대초까지 새 배터리를 상용화하려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들에 따르면 토요타가 개발 중인 전기차 배터리는 지금 전기차에 많이 탑재된 리튬이온 기술이 아니라 솔리트 스테이트(Solid state) 방식에 기반할 것으로 보인다. 솔리트 스테이트 방식은 리튬이온 방식과 비교해 안정성, 주행거리, 충전 기간 측면에서 우위가 있을 것이란 평가다. 토요타는 그동안 전기 배터리와 가솔린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소연료전지 기반 자동차 개발에 주력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기차에 쏟아붓는 실탄을 크게 늘리는 모습이다. 외신들에 따르면 토요타는 한번 충전으로 186마일(297km) 이상 장거리 주행이 가능한 전기차 생산 계획을 밝힌 데 이어 전기차 개발을 위한 조담 조직도 만들었다. 토요타가 내놓을 새 전기차는 충전 시간도 몇분 밖에 안될 것이라고 한다. 보통의 리튬이온 배터리는 재충전시 통상 20~30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첨단 헬로티] 토요타가 가지고 있던 테슬라 지분을 모두 매각했다. 이에 따라 토요타와 테슬라간 협력도 종지부를 찍게 됐다. 다임러가 먼저 테슬라와 결별했고 토요타도 협력을 완전히 정리했다. 이같은 상황을 놓고 관련 업계에선 전기자동차 시장에서 기존 거대 자동차 회사와 테슬라간 전면전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이에 따라 향후 업계 판세 변화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테슬라는 2010년대 들어 토요타, 다임러 등과 제휴를 맺었다. 테슬라는 이들 업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자금 확보는 물론 자동차 제조에 대한 노하우 흡수하려 했고, 토요타나 다임러는 테슬라를 통해 전기차 관련 역량을 강화하려는 포석이었다. 토요타의 경우 2104년 테슬라와 협력해 자사 인기 모델인 RAV4 SUV 차량의 전기차 버전을 개발하기도 했다. 그러나 양사 협력은 RAV4 SUV 차량 개발이 마지막이었다. 지난해부터 테슬라는 갖고 있던 테슬라 주식 일부를 매각하기 시작했고 11월에는 자체 전기자동차 사업부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현재 토요타는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는 물론 닛산, 혼다, GM 등과의 경쟁에도 뒤져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토요타 경영진이 전기차 개발에 확신을 갖고 있
[첨단 헬로티] 토요타가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Automotive Grade Linux: AGL)를 탑재한 2018년형 캄리 모델을 미국 시장에 선보인다. 2018년형 캄리는 미국에서 팔리는 자동차 중 AGL을 탑재한 첫 모델이다. AGL은 리눅스재단이 제공하는 자동차용 오픈소스 리눅스 프로젝트다. 100개 이상의 회원사가 프로젝트에 참여해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코드를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AGL은 일본 업체들에 치우쳐진 플랫폼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AGL 플래티넘 멤버를 보면 덴소, 마츠다, 파나소닉, 르네사스, 스즈키, 토요타 등 일본 회사들이 대거 이름을 올리고 있다. AGL 외에 대안 플랫폼도 이미 다수다. 블랙베리 QNX는 점유율 측면에서 가장 앞서 있고 윈드리버, 그린힐스, 등도 AGL 보다는 앞선다는 평이다. 그린힐스의 경우 자사 자동차 플랫폼에서 QNX 외에 다른 리눅스와의 통합을 지원하고 있다. 멘토 그래픽스도 자동차 리눅스 공급 업체다. 이런 가운데 AGL 진영은 코드 재사용과 효과적인 개발 프로세스를 AGL의 강점으로 내걸고 있다. 공유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이라는 것이다. 이를 통
[첨단 헬로티] 토요타 자동차, 글로벌 회학 기업 머크 등이 블록체인 기술 단체인 엔터프라이즈 이더리움 얼라이언스(EEA)에 합류했다. EEA는 JP모건 체이스&코, BP, 마이크로소프트, IBM, ING 등 금융에서부터 헬스케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분야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비트코인에 적용된 블록체인 기술보다 복잡한 작업을 분산된 환경에서 공유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비트코인 블록체인은 뱅킹 시스템과 유사하다. 사용자들이 디지털 화페를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안전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더리움 시스템은 보다 많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토요타의 경우 이더리움 기술을 자율주행차 개발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이더리움과 같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할 장애물들도 남아 있다. 여기에는 경쟁자들이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시장 정보를 공유하는 등 협력하도록 하는 것도 포함된다. 규제 당국으로부터 블록체인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받을 필요도 있다. 현재 EEA외에 R3, 체인, 디지털 어셋 홀딩스, 하이퍼레저 프포젝트 등 다양한 블록체인 기술들이 경쟁하고 있다.
[첨단 헬로티] 토요타 자동차 북미 법인 산하 토요타 연구소가 MIT미디어랩 등과 제휴를 맺고 자율주행차 개발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블록체인을 통해 기업과 소비자들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험료를 낮추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게 토요타 설명이다. 이같은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토요타는 MIT미디어랩 외에 5개 기술 업체와 손을 잡았다. 데이터베이스 개발 업체 빅체인DB, 차량 공유 및 결제 애플리케이션 업체 오아켄 이노베이션, 카풀 소프트웨어 업체 커뮤테르츠 등을 포함하고 있다. 토요타도 차량 보험료를 낮출 수 있는 방안으로 블록체인을 사용하기로 했다. 블록체인은 온라인 원장 거래 기술로 가상 암호 화폐인 비트코인의 기반 기술로 널리 알려져 있다. 안전하면서도 비용이 저렴한 분산 거래 기술이라는 평가 속에 비트코인을 넘어 금융,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추세다. 토요타의 경우 자율주행차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하는 차원에서 블록체인 도입을 추진하는 상황이다. 토요타에 따르면 차량 센서가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고 블록체인에 저장하면 보험 회사들에게 투명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
[첨단 헬로티] 엔비디아가 아우디, 메르세데스 벤츠에 이어 또 하나의 거대 자동차 회사를 자동차용 인공지능(AI) 플랫폼 파트너로 끌어들였다. 이번에는 일본 최대 자동차 기업 토요타다. 토요타는 앞으로 몇년안에 선보일 자율주행차 시스템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 드라이브 PX AI 플랫폼을 사용하기로 했다. 이번 발표는 엔비디아가 미국 새너제이에서 진행 중인 GPU 기술 컨퍼런스를 통해 발표됐다. 엔비디아는 그래픽 프로세서(GPU)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최근들어서는 자동차 분야에 필요한 AI 기술로도 주목받고 있다. 엔비디아 드라이브PX 슈퍼컴퓨터는 카매라, 레이더 같은 자동차 하드웨어를 통해 유입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차가 주변 환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지난 1월 아우디도 드라이브PX 플랫폼을 자율주행차 개발에 사용하기로 했다. 드라이브PX를 활용한 아우디 자율주행차는 2020년께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엔비디아는 메르세데스와도 자율주행차 관련해 공동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토요타의 경우 그동안 독자 기술에 기반한 자율주행차 개발에 초점을 맞춰왔다. 미국에서 운영하는 연구소인 TRI(Toyota Research Institute)가 A
[첨단 헬로티] 일본 자동차 회사 토요타와 통신 서비스 업체 NTT가 커넥티드 차량 기술 개발을 위해 손을 잡았다. 27일(현지시간) 발표된 양사 협력은 NTT와 토요타가 각자의 기술과 전문성을 공유하고 빅데이터 프로젝트도 진행한다. 빅데이터 프로젝트는 토요타 커넥티드 카들에서 수집된 차량 정보들에 기반한다. 양사 협업은 5G 모바일 네트워크, 엣지 컴퓨팅 등 차세대 연결성과 컴퓨팅 기술에 관한 공동 연구도 포함하고 있다. 양사는 커넥티드 카를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 배치 및 인프라를 연구도 진행한다. 이외에도 양사는 운전자를 지원할 수 있는 인공지능 에이전트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