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Arm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소프트웨어 경험을 구현하기 위한 이니셔티브인 '프로젝트 카시니(Project Cassini)'의 성과를 발표했다. Arm은 지난 2019년 첫 발을 내디딘 프로젝트 카시니의 참여 파트너사 규모가 현재 2배 이상 증가했으며, IoT와 인프라 엣지 기술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 확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Arm 파트너사의 Arm 기반 칩 누적 출하량은 현재 2000억 개 이상에 달하며, 해당 칩의 대부분이 일상 속 모든 곳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탑재돼 있다. Arm은 당사의 기술이 IoT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면서, 전 세계에서 공유되는 모든 데이터가 Arm에 의해 처리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한편, IoT와 엣지 기술이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구현해내기 위해서는 빠른 속도로 개발 및 배포가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서비스, 하드웨어 설계, 연결성, 머신러닝, 보안 등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과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며, 이러한 시스템 중 상당수는 복잡성, 파편성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로 인해 더딘 개선 속도를 보인다. 프로젝트 카시니의 목표는 업계를 하나로 결집시켜 주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유블럭스(u-blox)가 최대 105°C의 동작 온도 범위를 보장하는 자동차 등급 위치 추적 모듈 제품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NEO-M9L 모듈과 M9140-KA-DR 칩은 유블럭스의 M9 GNSS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위성 신호가 손상되거나 사용할 수 없을 때에는 추측 항법 기술을 사용해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유블럭스 NEO-M9L-20A 및 NEO-M9L-01A 모듈과 M9140-KA-DR 칩은 차량용 순정 솔루션을 위해 특별히 설계됐다. 모듈과 칩 모두 자동차 등급이며, NEO-M9L-01A 제품군은 최대 105°C까지 확장된 동작 온도 범위를 제공하므로 루프나, 차량 전면 유리 안쪽 또는 발열 수준이 높은 ECU(electronics control unit) 내에 통합시키기에 적합하다. 적용 애플리케이션에는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IVI) 및 헤드 유닛과 같은 통합 내비게이션 시스템, 통합 텔레매틱스 제어 유닛 (TCU) 및 V2X가 있다. 이 모듈은 저지연의 100MHz RAW 데이터 출력을 제공하는 새로운 세대의 6축 관성 측정 장치(IMU)를 포함하고 있다. 이 모듈은 저지연의 50Hz 위치 업데이트 속도를 제공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이하 TI)는 자사의 고속 데이터 컨버터 제품 포트폴리오를 산업용 디자인에서 정밀한 데이터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연속 근사 레지스터 ADC 제품군으로 확장한다고 밝혔다. ADC3660 제품군은 극히 낮은 전력 소모로 동급 최상의 동적 범위를 제공하며, 14비트, 16비트, 18비트 분해능에 10~125MSPS의 샘플링 속도로 8개의 연속 근사 레지스터 ADC 제품을 포함한다. 이들 ADC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신호 분해능을 높이고, 배터리 수명 연장은 물론 시스템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ADC 제품군은 고속 데이터 수집의 정밀도를 높임으로써 산업용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실시간 제어 기능을 더욱 잘 충족시킬 수 있다. 특히, 고속 디지털 제어 루프에서 ADC 제품은 복잡한 시스템에서 작동하여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전압이나 전류에 빠르게 응답할 수 있으므로 전원 관리 시스템으로 인해 주요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산업용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심의 작업이 늘어나면서, 시스템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서 신속한 의사결정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갈수록 더욱 빠른 속도와 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고 있다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코보(Qorvo)의 신제품 DWM3000 RF 모듈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출처 : 마우저 이 고집적 디바이스는 DW3110 UWB(초광대역) 트랜시버 IC와 전력 관리, 세라믹 UWB 칩 안테나, 크리스탈을 결합해 자산 추적, 물류, 내비게이션, 공장 자동화와 같은 설계의 통합을 단순화한다. 마우저에서 제공하는 코보 DWM3000 RF 모듈은 IEEE 802.15.4a 및 IEEE 802.15.4z BPRF 모드를 준수하며, 10cm 정밀도로 사물의 위치를 인식 및 추적할 수 있게 해준다고 밝혔다. 이 장치는 850kbps 및 6.8Mbps의 데이터 속도를 지원하며, UWB 채널 5(6.5GHz)와 채널 9(8GHz)를 통해 전세계 UWB를 지원한다. 해당 모듈은 ToF(Time-of-Flight) 및 TDoA(Time-Difference-of-Arrival) 위치 체계를 지원해 내비게이션 및 추적 애플리케이션에서 고성능을 자랑한다. 이 소형 RF 모듈은 24핀, 23 mm x 13 mm x 2.9 mm 패키지로 제공되며 UWB 채널 5 작동에 있어서 코보 DWM1000과 핀과 크기가 호환된다. DWM3000 모듈은 설계 유
[헬로티] 에브넷의 그룹사이자 전자 부품, 제품, 솔루션의 글로벌 유통 기업인 엘리먼트14가 야교와 새로운 글로벌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하고, 기존 관계를 확대해 고객에게 더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게 됐다. ▲출처 : 야교 공식 홈페이지 야교는 세계 최대 수동 부품 기업 중 하나며, 칩 저항기의 선도 제조업체이자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MLCC)의 공급업체 중 하나다. 이번 계약으로 엘리먼트14는 야교의 다양한 제품을 전 세계에 배송하게 됨에 따라 자사의 수동 부품 제품군을 더욱 강화했다. 야교의 광범위한 고신뢰성 칩 저항기 및 MLCC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엘리먼트14에서 구매 가능한 수동 부품 솔루션은 다음과 같은 주요 시장에서 설계 및 유지보수 엔지니어의 작업을 지원한다. 자동차 및 운송 – 야교의 자동차 인증 MLCC 및 R 칩 부품은 습도가 높거나 공간이 좁은 공간에서 전력 손실 없이 작업할 수 있는 수동 부품이 필요한 자동차 환경 수요에 이상적이다. 야교 솔루션 제품군은 차량 간 통신 및 자율 주차 등 비교적 새로운 시스템은 물론 엔진 제어와 파워 스티어링 등 기존 시스템도 지원한다. 저항기 및 커패시터 외에도 야교 세라믹 패치
[헬로티] 콘티넨탈이 미-독일 스타트업 레코그니의 일부 지분을 인수했다. ▲콘티넨탈이 레코그니 지분 인수를 시작으로 차량용 칩 개발 및 생산에 뛰어들었다. 레코그니는 AI 기반의 실시간 사물 인식을 위한 새로운 칩 아키텍처를 개발하는 기업이다. 차세대 미래 프로세서는 콘티넨탈의 고성능 차량 컴퓨터에서 자동 및 자율주행을 위한 센서 데이터를 신속히 처리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콘티넨탈은 전략적 투자자로서 재정적인 지원과 함께 칩 설계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AI, 차량 센서 및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분야의 전문 역량도 제공한다. 콘티넨탈은 새로운 칩을 탑재한 대량 생산이 이르면 2026년 시작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고도로 특화된 신규 프로세서는 초경제적 데이터 부스터 역할을 한다. 즉,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로 차량 컴퓨터가 차량 주변 상황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어 자율주행의 기반을 마련한다. 양사는 이번 인수 금액은 공개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프랭크 페츠닉(Frank Petznick) 콘티넨탈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사업부 총괄은 “더 빠른 칩 없이는 네트워킹이나 자동화, 자율주행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프랭크
[헬로티] Arm은 반도체 파트너사들의 지난 분기 Arm 기반 칩 출하량이 67억 개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Arm 기반 칩 누적 출하량 수치 이는 초 당 약 842개의 칩이 출하되는 것과 동일한 속도다. 현재까지 Arm 파트너사들은 총 1800억 개 이상의 Arm 기반 칩을 출하했다. 해당 분기에 Cortex-M 프로세서 기반 칩의 출하량이 44억 개를 돌파함에 따라, IoT와 임베디드 디바이스 부문에서 업계를 선도하는 아키텍처로서 입지를 공고히 했다고 Arm은 말했다. Arm Mali 그래픽 프로세서는 GPU 출하량 1위의 자리를 유지했다. Arm의 에코시스템은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2020년 Arm 파트너사들은 175개의 새로운 라이선스를 계약했고, Arm은 전체 라이선스 계약은 1910개, 라이선스에 계약한 기업은 총 530곳이 됐다고 전했다. 르네 하스(Rene Haas) Arm IP 프로덕트 그룹 대표는 “Arm 기반 칩의 지난 분기 출하량이 67억 개를 기록했다는 것은 세계 1위 슈퍼컴퓨터부터 가장 작은 초저전력 디바이스까지 널리 적용된 Arm 파트너사들의 기술이 놀라운 혁신을 일으키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다”라고 말했다
[헬로티] 힐셔, netX 90 멀티 프로토콜 네트워크 칩을 위한 새로운 모션 제어 기능 출시 힐셔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장 및 공정 제어 시스템과 조립 및 패키징, 로보틱스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모터 제어 기능을 갖춘 펌웨어 구성 통신 솔루션인 '넷모션(netMOTION)'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힐셔가 개발한 펌웨어 구성 통신 솔루션 'netMOTION' 개발자는 넷모션을 사용해 실시간 이더넷 연결과 범용 모터 및 모션 제어 기능을 단일 칩 솔루션으로 구현할 수 있어 설계를 간소화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펌웨어 구성 솔루션으로 여러 실시간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힐셔의 오랜 전략은 새로운 넷모션 솔루션을 통해 모션 제어 영역까지 확장됐다. 일반적으로 모션 및 모터 제어 시스템을 위한 칩 솔루션은 실시간 이더넷 연결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힐셔의 netX 90 멀티 프로토콜 네트워크 칩은 넷모션을 이용해 산업용 통신과 다목적 모션 제어 기능을 단일 칩에 통합한다. 이를 통해 설계 부담을 줄이고, 원가를 절감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네트워크 지원 필드 장치 애플리케
[첨단 헬로티] RFID 칩, 리더, 게이트 등 패션산업에 최적화된 장비 잇따라 출시 패션 업계에서는 오랜 시간동안 생산, 물류, 매장 등 전 단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이를 데이터화하여 정확한 파악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이와 같은 이유로 RFID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이 업계에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RFID 의류 시범 사업 이후 지속적인 개발 및 단가 조정을 통해, 그 결과 중견 기업들의 관심 및 도입이 더욱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는 다양한 패션산업 RFID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가 담긴 패션산업에 특화된 다양한 RFID 솔루션을 출시해 주목을 받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제품인 신형 RFID CHIP이다. 새롭게 선보이는 고성능 RFID CHIP(Higgs-9/Higgs-10)은 세계 최고의 감도를 가지고 있으며,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패션 업계를 위하여 대용량(EPC 496Bit 지원)의 메모리를 지원하고 있다. 사진1. 고성능 RFID CHIP(Higgs-9/Higgs-10) 이와함께 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는 RFID 시스템의 도입을 위한 자체 솔루션으로
[첨단 헬로티=이나리 기자] 무선이어폰 시장 타겟으로 삼성-전력관리칩, 퀄컴-블루투스 칩 출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무선 이어폰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삼성전자와 퀄컴(Qualcomm)이 최근 연이어 새로운 반도체 칩셋을 출시했다. 양사는 차세대 성장 분야로 주목 받고 있는 무선 이어폰 시장을 공략한다는 점은 같지만, 기술면에서 차별화를 두고 있다. 퀄컴은 그동안 주력해 왔던 무선 이어폰의 블루투스 칩에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보다 강화했고, 삼성전자는 무선이어폰의 전력관리 칩 분야에 새롭게 뛰어들었다. ▲삼성전자 무선이어폰 ‘갤럭시 버즈+’ 무선 이어폰 시장은 2019년 1억2000만대 규모에서 2020년에도 상승세를 이어가 1년 만에 90% 성장한 2억3000만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2021년에는 시장 규모가 270억 달러(약 30조 원)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 무선 이어폰은 2016년 애플이 아이폰 7부터 3.5mm 이어폰 단자를 제거하고 그 대안으로 무선이어폰인 ‘에어팟 시리즈’를 출시하면서부터 스마트폰 제조사의 주도로 더욱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삼성전자 또한 2
[첨단 헬로티] 노키아는 5G 무선 포트폴리오 기술 혁신을 위해 인텔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월에 출시된 인텔의 5G 기지국 전용칩인 인텔 아톰 P5900 프로세서(Intel Atom P5900 processor) 개발을 위해 양사는 그동안 긴밀히 협력해 왔다. 또 양사가 공동 개발한 맞춤형 실리콘 칩은 노키아의 5G '리프샤크(Powered by ReefShark)'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전세계에 출시되는 노키아의 에어스케일 무선 액세스 제품(AirScale radio access products)에 장착된다. ▲인텔과 노키아가 공동 개발한 노키아의 5G 칩 '리프샤크' 노키아는 에어스케일 포트폴리오에 리프샤크를 광범위하게 적용함으로써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5G 네트워크의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있다. 이와 함께 노키아는 에어프레임(AirFrame)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솔루션에 최신 범용 인텔 제온 프로세서를 계속 채택할 계획이다. 양사간 협력을 바탕으로 노키아는 5G 포트폴리오 개발, 에어스케일 강화, 리프샤크 칩셋 기능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리프샤크 칩셋은 최신 실리콘 칩 설계 기술과 제조 기능이 적용된다. 그 결과 노키아의 5G
[첨단 헬로티] 항공수하물 처리를 위해 개선된 UHF RAIN RFID 태그 IC를 제공하기 위해 임핀지(Impinj)는 항공사와 공항이 RFID 수하물 추적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기존 IC보다 민감도와 정확도를 높인 새로운 제품을 발표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최근 RP 1740C를 통해 2020년 1월 이후 제조된 모든 수하물 태그에 UHF RFID 태그를 승인한 바 있다. 이는 권고사항으로 항공사와 공항은 이를 토대로 RFID 수하물 추적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임핀지가 내놓은 Monza R6-B는 이미 수하물을 추적하기 위해 사용중인 공항 인프라와 함께 운영되는 임핀지의 R6 칩의 새로운 버전이다. 새로운 IC는 공항과 항공사로 하여금 Monza 5보다 높은 민감도로 더나은 판독 속도와 범위를 보장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임핀지에 따르면, Monza R6 칩은 1.6밀리초당 32비트의 속도로 인코딩 될 수 있으며 Monza 5 또는 동등 칩보다 판독 범위가 약 25% 더 길다. 자동 튜닝은 IC가 인식 될 때마다 안테나를 자동으로 리튠하여 평균적으로 다른 칩보다 응답성을 높인다. 또한, 이 칩의 Enduro 기술은 기존의 네
[첨단 헬로티] LoRa, NB-IoT 등 IoT 규격에 맞추고, 보안 기능 업그레이드 IoT 생태계 구현을 위한 IoT 하드웨어가 보다 강력해지고 있다. 보안 기능이 업그레이드됐고, IoT용 모듈과 센서는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성공적인 IoT 환경 구현을 위해 특수한 목적을 갖고 출시되는 IoT 하드웨어를 각 업체별로 정리했다. SK텔레시스, LoRa 네트워크 구성요소 및 IoT 서비스 및 솔루션 SK텔레시스는 LoRa Gateway, Network Server, IoT Platform 등 LoRa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필수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Gateway의 실시간 상태점검 및 안정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Web-UI 기반의 EMS(G-EMS)를 제공하고 있다. Gateway는 옥외형과 옥내형이 구분되어 있어 설치 및 서비스 장소에 맞추어 선택하여 구축 가능하다. LoRa통신망은 공공 사물인터넷 서비스 자가망을 구축할 수 있는 국내 유일한 솔루션으로 통신사업자 회선임대 없이 직접 망을 구축하여 예산절감 및 수요기반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 SK텔레시스-LoRa 인프라 솔루션 SK텔레시스는 Radar 방식의 센싱 등 최신 IoT 기술
[첨단 헬로티] 모바일 통신의 메가트렌트 중 하나는 지문이나 PIN 번호가 아닌 3D 얼굴 인식으로 스마트폰을 잠금해제하는 것이다. 3D 얼굴 인식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인증이 가능해 곧 모바일 결제 애플리케이션과 모바일 ID에 필수적인 기능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승수)은 혁신 파트너 pmd테크놀로지스(pmdtechnolgies AG)와 공동으로 ToF(Time-of-flight) 기술을 기반으로 한 REAL3 칩 제품군의 새로운 3D 이미지 센서를 개발했다. 새로 개발된 이미지 센서는 수신 광학장치와 VCSEL(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광원을 포함하여 12mm x 8mm 미만의 풋프린트로 스마트폰에 통합할 수 있는 세계 최소형 카메라 모듈을 구현한다. 3D 센싱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폰은 2017년 약 5천만대에서 2019년에는 약 2억9천만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입체적 빛이나 구조화된 빛을 이용하는 방식의 다른 3D 센서 원리에 비해 ToF는 배터리로 동작하는 모바일 기기의 성능, 크기 및 전력 소모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카메라 범위와 측정 정확도
[첨단 헬로티] 반도체 디자인 업체인 ARM이 미국 워싱턴대학교 연구진들과 협력해, 사람의 뇌에 이식 가능한 칩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개발할 칩들은 뇌나 척수 손상을 입은 사람들을 위한 것으로 두개골 안에 위치한다. 사람들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각 피드백을 받을 수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ARM과 워싱턴대학교 감각운동신경공학센터(the Center for Sensorimotor Neural Engineering: CSNE)의 목표다. 10년짜리 프로젝트인 만큼, 결과물을 체감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BBC인터넷판 등에 따르면 CSNE 연구진들은 이미 관련 기술 초기 버전은 개발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