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KT(회장 황창규)가 세계 최초로 라이다기반 정밀측위 기술인 비전GPS(Vision GPS)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비전GPS는 라이다 센서와 고정밀GPS를 결합해 어디서나 정확한 위치를 측위하는 기술이다. 고정밀GPS의 경우 개활지에서는 수십 센티미터의 위치 정확도를 가지나 건물이 많은 도심지에서는 그 성능이 수 미터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비전GPS는 GPS의 성능이 저하되는 도심지에서도 라이다 센서를 활용해 수십 센티미터까지 위치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다. KT가 개발한 이 기술은 차량 이동시 라이더 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의 변화를 인식해 이동거리와 위치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도심지역의 3D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구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카메라를 활용하는 방식과는 달리 날씨나 조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측위가 가능하다. KT에 따르면, 지난 6월 강남대로에서 비전GPS의 정확도 검증을 진행했다. 정확한 위치 측정을 위해 자체 제작한 정밀지도에서 비전 GPS기반 측위와 GPS기반 측위 성능을 비교 검증했다. GPS는 도심에서 그 성능이 일정하지 않았으나, 비전GPS는 전 구간에서 차선을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첨단 헬로티] 국내 증강현실(AR) 원천기술 보유기업 맥스트(MAXST)가 최근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만으로 실내 공간을 3D맵으로 재현, 추적하는 비주얼 슬램(Visual SLAM)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기존에 제공하던 일정 크기의 환경을 가상 지도로 만드는 기술 범위가 실내 공간으로 범위가 확장됐다. ▲ 실내 공간에서 현재 위치를 추적하는 모습 이번에 업그레이드된 비주얼 슬램은 MAXST VPS(시각 측위 시스템)이 적용되어 모바일 기기로 실내공간을 비추었을 때, 별도의 장치 없이 스마트폰 카메라만으로 실내에서 50cm 내외의 오차 범위로 정확한 위치와 카메라의 포즈를 정확하게 찾아낸다. 모바일 기기로 실내 공간을 비추면 AR 지도상에서 현재의 위치와 카메라가 바라보는 방향을 분석하고, 해당 키프레임에서 확인되는 포인트 클라우드에 AR 콘텐츠를 증강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맥스트 AR 지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AR 지도는 모바일 기기에서 영상을 촬영한 후, 서버 처리 과정을 거쳐 포인트 클라우드 맵으로 추출된 뒤, 맥스트 맵 에디터(MAXST AR Map Editor)에서 최종적으로 완성된다. 맵 에디터는 포인트 클라우드 맵과 실제 도면을 비교하며
[첨단 헬로티] 휴대폰 LTE 신호 활용, GPS 안 잡히는 터널 및 지하에서도 정확한 위치 측정 가능 카카오모빌리티(대표 정주환)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원장 이병권, 이하 KIST)과 터널이나 지하에서 정확한 위치 측정이 어려운 GPS와 와이파이(Wifi)기반의 위치 측정 기술을 보완하기 위해 'LTE 신호를 활용한 실내외 측위 기술 공동연구'에 착수했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측위 기술은 내비게이션과 지도 서비스의 핵심인 길안내를 위해 이용자, 차량, 건물 위치를 파악하는 원천 기술로 현재는 GPS와 와이파이 신호를 중심으로 위치를 찾아낸다. 하지만 GPS는 고가도로, 지하, 고층 건물 사이에서는 신호가 통과하지 못해 위치 정확도가 떨어지고, 와이파이는 신호가 잘 잡히는 곳에서만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존재했다. KIST 이택진 박사팀의 LTE 기반 측위 기술은 LTE 신호에 대한 지도를 미리 구축한 뒤 사용자 스마트폰의LTE 신호 패턴을 비교 분석해 위치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기존에도 LTE 기반 측위 기술이 존재했으나 위치 정확도가 낮아 거의 활용되지 않았다. 반면, KIST의 LTE 기반 측위 기술은 신호 도달 범위가 GPS보다 넓다는 L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