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5개 거점 대학을 선정해 3년 간 228억 원 투입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지난 11일(금) '소부장 혁신랩 출범식'을 온라인으로 개최하고, 지역별로 특화된 소부장 기술혁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출처 : 산업부 동 사업은 지역에 소재한 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의 기술역량을 높이는 한편, 지역내 소부장 고급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금년에 처음으로 추진한다. 5개 권역별 소부장 특화분야에 연계해 5개 거점대학을 '소부장 혁신랩(Innovation Laboratory)'으로 선정하고, 기술이전 방식의 연구개발과 기술자문, 대학 보유장비 지원 등 지역에 특성화된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혁신랩으로 선정된 5개 대학에 ‘20년 42억 원을 포함해 3년간 총 228억 원을 집중 투입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그간 지역 내 수요조사, 전문가 의견 수렴 및 온라인 공청회 등을 거쳐 권역별 지원 분야를 선정했고, 연세대, 순천향대, 전북대, 경북대, 울산과기원 등 최종 5개 거점대학(혁신랩)을 선정했다. 수도권에서는 연세대를 중심으로 차세대 반도체 박막공법인 원자층증착(ALD) 관련 소재·부품
[헬로티] 산업별 사업 모델, 연구개발, 선제적 규제혁파 이행방안 논의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한국판 뉴딜 발표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로봇활용 전략 네트워크'를 출범시키고, 전 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및 비대면 산업 육성을 위한 로봇활용 전략을 마련하기로 했다. ▲사진 : 산업부 산업부는 로봇 분야 한국판 뉴딜(디지털 뉴딜)로 바이오 산업 등 전 산업으로 제조로봇 활용 촉진, 물류·방역 등 서비스로봇 활용수요에 최적화된 서비스모델 사업화 실증, 돌봄로봇 개발 등 로봇활용을 통한 전 산업의 지능화 및 비대면산업 육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산·학·연 전문가들은 6대 로봇 서비스 분야별로 기술발전을 전망하고 이에 따른 로봇활용 사업 모델과 규제개선 사항 및 안전기준 등을 논의하게 되며, 산업부는 향후 수립할 로봇 분야 기술개발 이행방안, 선제적 규제혁파 이행방안 등에 논의결과를 반영할 예정이다. 이번에 출범하는 로봇활용 전략 네트워크는 그간 로봇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주로 로봇제조사 또는 개발자 위주로 이뤄져 수요측의 목소리를 많이 담지 못해왔다는 점을
[헬로티] 로봇활용 표준공정모델로 제조산업 전 분야에 로봇보급 본격 착수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지난 24일(수)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최남호 제조산업정책관을 비롯해 로봇 분야 연구·지원기관, 실증 프로젝트 참여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로봇활용 표준공정모델 실증 프로젝트 출범식'을 개최했다. ▲사진 : 산업부 이번 행사는 작년에 최초로 개발이 완료된 14개 로봇활용 표준공정모델(이하 표준공정모델)을 활용해, 제조현장에 로봇을 활용한 공정을 적용하여 검증하는 실증 프로젝트의 착수행사다. 실증에 참여하는 기업들과 연구기관 및 지원기관은 성공적인 실증 프로젝트의 수행을 위한 준비상황을 점검했다. 우리나라는 종업원 1만명 당 산업용로봇 설치대수를 의미하는 로봇밀도가 ’18년 기준 774대로서 싱가포르(831대)에 이어 세계 2위이나, 주로 자동차, 전기전자 분야에 편중돼 있어, 근무환경이 열악한 뿌리산업 등으로 로봇활용의 확산이 요구돼왔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로봇활용이 가능한 이송·적재, 탈착 등 6개 공정에 대해서 뿌리·섬유·식음료 등 로봇활용이 미흡한 업종들을 중심으로 적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