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이노그리드는 AI 클라우드 인프라와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을 결합, ICT융합기술을 통해 스마트시티, 디지털트윈 사업 확장을 위해 글로벌건설이엔지와 전략적 사업제휴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최근 5G망 구축확대, 정부의 자율주행 관련 기본계획 마련 등으로 도시교통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ICT 융합 분야에 교통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5G, 지능형교통시스템,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등 차세대 교통시스템은 ICT기술의 상호 융합이 안 되면 실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양사는 이번 사업제휴를 추진하게 됐다. 자율주행차만으로 자율주행(레벨4)실현이 어려운 것처럼 교통서비스는 단순 도로만이 아닌 다양한 교통서비스가 필요하다. 교통서비스는 항공, 해양, 철도 등의 모든 요소에 적용되며, 기반기술의 중요성과 국산화 요소가 중요하다. 이에 양사는 각 사의 전문 분야를 결합해 차세대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개발을 진행한다. 이노그리드의 AI클라우드 기반 멀티클라우드, 엣지클라우드기술과 글로벌건설이엔지의 도
[헬로티]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지난 28일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C-ITS)을 자동차 업계가 자율주행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신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KAMA는 이날 서울드래곤시티호텔에서 '자율협력 주행을 위한 C-ITS의 산업동향과 미래'를 주제로 기술 세미나를 개최해 C-ITS 사업의 효율적인 추진 방향을 모색했다. C-ITS는 차량 간(V2V), 차량-인프라 간(V2I) 통신으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안전한 통행을 지원하는 교통 시스템이다. C-ITS 구축을 위해서는 자동차가 유·무선망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인 V2X가 필수적이다. 정부는 C-ITS 통신방식으로 5G망을 활용하는 C-V2X와 와이파이 등을 활용하는 근거리전용무선통신(DSRC)을 두고 결정을 내리지 못한 상태다. 사진. C-ITS의 산업동향과 미래 세미나 (출처:연합뉴스) 유시복 한국자동차연구원 센터장은 "C-ITS 구축을 위해 WAV, 5G-V2X 등 여러 통신방식의 단일화 또는 하이브리드 중 한 가지 방향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며 "신차 통신 모듈 의무장착 등 구체적인 실행 방법을 논의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통신방식 대안 관련 발제를
[헬로티 = 김동원 기자] 꽉 막힌 도로, 뒤엉켜있는 차들. 러시아워를 방불케 하는 도로 위의 모습이 이제 사라질지도 모른다. 도로가 똑똑해지고 있어서다. 스마트 도시화 과정에서 교통망 흐름을 개선하는 기본적인 방안은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이다. 지능형교통시스템은 불법차량 행위를 감지할 수 있는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차량의 흐름을 읽을 수 있어 각종 교통 문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은 차량이 도로 인프라 또는 다른 차량과 서로 통신하여 실시간 정보를 공유한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발생 장소에서 가장 가까운 교통 경찰관에 알려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있게 하고, 교차로의 모든 방향의 실시간 차량 평균 주행속도를 모니터링 해 차량 흐름도 읽을 수 있다. 최근에는 지능형 교통시스템을 넘어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TIS)가 주목받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제주도는 8월 22일,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을 활용한 자율주행 시연 행사를 열기도 했다.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는 각 정보를 수집해 가공하고 전달하는 방식인 지능형 교통체계에서보다 진화해 차량이 도로 인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