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블루투스 LE 5.0 및 지그비 3.0과 스레드 커넥티비티 지원해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의 STM32WB 듀얼 코어 무선 MCU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새로운 STM32WB35 및 STM32WB30 밸류라인(Value Line)을 추가해 STM32WB 듀얼 코어 다중 프로토콜 마이크로컨트롤러(MCU)의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고 16일 밝혔다. ST 측은 “이 디바이스들은 보다 탁월한 유연성을 제공하므로 설계자들은 비용에 민감한 시장을 겨냥해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번에 추가된 MCU는 중단 없는 실시간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2.4GHz 무선을 관리하는 전용 Arm Cortex-M0+ 코어와 메인 애플리케이션용 64MHz Arm Cortex-M4 코어를 통합하고 있다. 내장된 보안 기능과 함께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5.0, 지그비(Zigbee) 3.0 및 오픈스레드(OpenThread, IEEE 802.15.4) 프로토콜과 동시 동작 모드도 지원한다. 모든 스택은 ST에서 인증 및 지원, 처리되며, 무료로 제공된다. ST 측은 “이
[첨단 헬로티] NXP 반도체는 지그비(Zigbee) 3.0 및 스레드(Thread)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초저전력 커넥티드 인텔리전스를 제공하는 JN5189 와 JN5188 IEEE 802.15.4 무선 마이크로컨트롤러 (MCU)를 신규 출시했다. JN5189와 JN5188은 NXP의 JN 시리즈에 추가된 최신 장치로 폭넓은 작동 온도 범위(-40 ℃ ~ +125 ℃)를 지원하면서도 통합형 NFC NTAG를 제공하는 NXP의 첫 제품이다. MCU 주변 장치도 함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 홈, 자동화 구축, 센서 네트워크, 스마트 조명을 비롯한 기타 수많은 배터리식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JN5188과 JN5189 장치에는 48MHz 속도로 구동하는 Arm 코어텍스-M4가 탑재됐으며, 최고 640KB의 온보드 플래시와 152KB SRAM이 포함되어 있어, 복잡한 애플리케이션과 소프트웨어 무선(OTA) 업데이트에 필요한 스토리지 공간과 유연성을 제공한다.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NFC NTAG는 표준화된 아웃 오브 밴드(Out-of-band) 통신을 제공하기 때문에 페어링(Pairing) 과정을 현격하게 단순화한다. 사용자가 NFC 리더에 연결된 JN5
[첨단 헬로티] 2023년까지 802.15.4 메쉬 칩셋의 판매량 45억개로 급증할 전망 지그비(Zigbee)가 무선 메쉬 센서 네트워크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 15년 동안 꾸준하게 지그비 기술을 추적해온 시장조사기관인 온 월드(ON World)는 최근 조사결과에서 지그비 얼라이언스(Zigbee Alliance) 기술을 활용하는 연결장치가 시장에서 유리할 것으로 내다봤다. 온 월드에 따르면, 지금까지 전세계적으로 지그비 칩셋은 5억개가 판매됐다. 오는 2023년까지 802.15.4 메쉬 칩셋의 판매량이 45억개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칩셋의 대다수는 지그비 얼라이언스의 기술 표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온 월드는 지그비가 스마트홈을 위한 선도적인 IoT 연결기술이라고 강조했다. 지그비 얼라이언스 기술은 2023년까지 출시 될 45억 개의 IEEE 802.15.4 장치 중 38억개(85 %)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그비 얼라이언스에 따르면, 2018년은 이미 Zigbee 인증의 기록적인 한 해를 보내고 있다. 현재까지 Amazon, Comcast, Huawei, IKEA, Schneider Electric, Signify
[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가 nRF52840 멀티프로토콜 SoC를 위한 지그비(Zigbee) 무선 연결 솔루션을 처음으로 출시했다. 노르딕은 2018년 하반기에 산업용 등급의 지그비 3.0 인증을 획득할 예정으로 현재 첫 번째 엔지니어링 버전을 발표한 것이다. 노르딕은 지그비 솔루션을 출시함으로써 스마트 홈, 엔터프라이즈, 산업분야를 위한 자사의 메시 네트워킹 제품(블루투스 메시 및 스레드 포함)의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노르딕의 다른 메시 솔루션과 마찬가지로 S140 v6.0 SoftDevice(스택)로 지원되는 nRF52840 SoC는 지그비와 블루투스 5(Bluetooth® 5) 및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의 동시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노르딕의 nRF52840 SoC를 위한 멀티프로토콜 솔루션은 여러 무선 기술을 다양한 적용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서 블루투스 5를 통해 지그비 스마트 조명 네트워크와 상호 작용을 하거나 위치 식별을 위해 블루투스 비콘을 사용하는 지그비 보안 네트워크와 상호 작용이 가능하다. 이 SDK는 스마트 전구나 스
[첨단 헬로티] 실리콘랩스(Silicon Labs)가 자사의 무선 게코 SoC와 모듈 제품군을 위한 새로운 다이나믹 멀티프로토콜 소프트웨어를 출시한다. 실리콘랩스의 새로운 멀티프로토콜 소프트웨어와 무선 게코 SoC 제품군을 활용하면 지그비(Zigbee)와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술을 단일 SoC 상에서 동시에 동작시킬 수가 있다. 또 이 멀티프로토콜 솔루션을 이용하면 지그비와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각각의 칩에 구현하는 2칩 아키텍처의 하드웨어 설계 복잡성이나 비용의 추가 부담 없이 사물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의 첨단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실리콘랩스의 다이나믹 멀티프로토콜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스마트폰 앱을 사용하여 지그비 메시 네트워크를 직접적으로 커미션, 업데이트, 제어 및 모니터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이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지그비 기술로 연결된 조명 및 건물 자동화 시스템에 블루투스 비콘을 결합하여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 인프라를 보다 쉽게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블루투스 LE 기능을 지그비 메시 네트워크에 추가함으로써, 개발자는 보다 쉽게 설치, 사용 및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차세대 IoT 애플리케이션 개발할 수
[헬로티] 실리콘랩스는 지그비(ZigBee) 및 스레드(Thread)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 새로운 무선 게코(Wireless Gecko) 모듈 제품군을 발표했다. 메쉬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겨냥한 MGM111 모듈은 마이티 게코(Mighty Gecko) SoC 디바이스에 기반한 포괄적인 멀티프로토콜 모듈 제품이다. 특히, MGM111 모듈은 2.4GHz 마이티 게코 SoC와 고효율 칩 안테나, 크리스탈, RF 매칭 및 쉴딩을 하나로 통합하고 즉시 사용이 가능한, 지그비와 스레드 프로토콜 스택을 지원하는 메쉬 네트워킹 모듈이다. 실리콘랩스는 "이 모듈은 온보드 스택과 안테나 옵션을 제공하며, RF 관련 규제에 대한 사전 인증으로 개발자가 가정 및 건물 자동화, 원격 제어 조명, 스마트 미터링, 보안 시스템, 그밖에 다른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을 포함한 메쉬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드는 비용과 복잡성, 출시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MGM111 모듈은 BLE 기술을 지원하는 실리콘랩스의 BGM111 블루 게코(Blue Gecko)모듈과 풋프린트 및 핀 호환이 가능한 소형 12.9mm x 15mm 패키지로 제공된다. 김진희 기
삼성전자가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아 차별화된 무선랜 신제품을 출시하며 B2B 시장 공략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 방식인 지그비(Zigbee)와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IoT 액세스포인트(AP, 모델명: WEA403Si)를 출시했다. 사물인터넷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 기술은 현재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가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의 새로운 IoT 액세스포인트는 해당 기술을 모두 지원한다. 또한 802.11ac를 지원해 1.3Gbps 속도의 고속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치, 조명 제어, 빌딩 에너지 관리 등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출시한 아웃도어 액세스포인트(모델명: WEA453e)의 후속 모델인 메시(Mesh)형 아웃도어 액세스포인트 (모델명: WEA463e)도 출시했다. 이번에 새롭게 출시한 메시형 아웃도어 액세스포인트는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유선 네트워크 케이블대신 액세스포인트와 액세스포인트를 와이파이(Wi-Fi)로 연결하는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