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뉴로클이 '2021 대한민국 임팩테크(ImpaCT-ech)대상'에서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장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출처 : 뉴로클 뉴로클의 이번 선정은 핵심 제품인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 뉴로티와 뉴로알 (Neuro-T & Neuro-R)에 대한 혁신성 및 성장 가능성이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뉴로클은 밝혔다. 뉴로클은 이 제품을 통해 딥러닝 비전문가가 제조/의료/물류/보안 등의 다양한 산업군에서 고성능의 딥러닝 비전 모델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혁신을 불러일으켰다는 평을 받았다. 뉴로티(Neuro-T)는 이미지 해석용 딥러닝 모델을 생성할 수 있는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로, 사용자가 GUI 상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자유롭게 관리할 수 있으며 자체 오토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코딩 없이도 최적의 모델을 생성한다. 뉴로알(Neuro-R)은 뉴로티에서 생성된 모델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런타임 API로, 대규모 서버 PC부터 임베디드 프로세서까지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며 각 플랫폼에 최적화된 모델을 실시간 구동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실제로도 제조업 외관 불량검사, CT 및 X-ray 의료 이미지 분석, 물류 패키징 검사
[헬로티]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GCF(Global Certification Forum) 규격 5G NR(New Radio) RF 및 프로토콜 적합성 테스트 사례 최다 지원 기업 자리를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키사이트가 GCF 규격 적합성 테스트 사례를 자사 5G 네트워크 에뮬레이션 플랫폼 솔루션을 통해 지원하면서 108곳의 벤더가 20가지 폼 팩터에서 5G 디바이스를 검증할 수 있게 됐다. 지난 1월 26일부터 29일까지 GCF가 주최한 CAG(Conformance Agreement Group) 회의에서 키사이트 5G 디바이스 테스트 플랫폼을 통해 인증 조직이 업계 최초 5G RF 복조 테스트 사례를 검증할 수 있다는 점 또한 확인됐다고 키사이트는 밝혔다. 무투 쿠마란(Muthu Kumaran) 키사이트 무선 테스트 그룹 선임 이사는 “5G RF 복조 테스트 사례에 조기에 접근할 수 있게 되면, 5G 디바이스 내 베이스밴드 칩을 빠르게 검증해 항상 연결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업계 최다 GCF 검증 테스트 사례 지원을 통해, 5G 디바이스 벤더들이 비독립형(NSA) 모드와 독립형(SA)
[헬로티] 데이터로직은 2MP 센서를 갖춘 이미지 기반 바코드 스캐너 Matrix™ 320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타이어 이력관리 솔루션, STS320™ 제품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출처 : 데이터로직 이번 솔루션에는 ▲우수한 판독 성능 ▲설치 및 유지보수 편의성 ▲실시간 모니터링 ▲산업용으로 설계된 제품 견고성 기능 등이 있다고 전했다. 데이터로직에 따르면 STS320은 99.9% 이상의 우수한 판독 성능을 가지고, 큰 사이즈의 컨베이어(최대 1250mm/49’’) 위에 고해상도(10mils)의 바코드 판독이 가능한 FoV(Field of View) 및 DoF(Depth of Field) 기능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1.5m/s의 고속으로 움직이는 컨베이어에 작업자가 타이어를 로드(load)할 때, 데이터로직의 특허 PackTrack™ 소프트웨어를 통해 타이어들 사이의 최소 이격거리(100mm)만으로 판독이 가능하므로, 타이어 제조사인 고객들은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STS320은 사전 조립 및 구성을 완료해 출고되므로, 현장에서 T-Bolt 하나만 조이면 간단하게 설치 및 사용이
[헬로티]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는 설계부터 현장 제조까지의 품질 관리를 위한 폐루프(closed-loop) 접근법을 제공하는 새로운 솔루션 제품군인 Teamcenter Quality 소프트웨어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Teamcenter Quality Teamcenter Quality는 제품 개발, 품질 계획, 지속적인 개선 프로세스를 동기화하여 Teamcenter 협업 플랫폼의 변경 관리 및 구성 관리 기능의 가치를 극대화한다. 매튜 리틀필드(Matthew Littlefield) 산업 혁신 분석 회사 LNS 리서치의 사장 겸 수석 분석가는 "오늘날의 제품 복잡성과 민첩한 시장 출시 니즈를 고려해 주요 제조사들은 Teamcenter처럼 품질 관리를 협업, 변경 관리 및 데이터 백본에 포함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늘날 시장에서 기업은 제품을 차별화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제품 및 운영 비용을 줄이면서도 품질을 개선해야 하는 지속적인 과제를 안고 있다. 이를 위해 전 세계에 분산된 팀 간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반면에 소비자는 품질과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더 많은 혁신, 더 빠른 배송, 더 저렴한 제품
[헬로티=서재창 기자] 지난 1월 11일(현지시간)을 시작으로 진행된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IT 전시회 ‘CES 2021(Consumer Electronics Show 2021)’이 14일을 끝으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전면 온라인으로 개최된 이번 전시회는 세계 유수의 전자·IT 기업이 참여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향한 혁신을 쏘아올린 성공적인 행사로 기록됐다. ▲출처 : CES 2021 공식 홈페이지 온라인 전시회를 바라보는 새로운 기대감 CES 2021은 사전부터 국제 규모 행사의 100% 온라인 진행이라는 이슈로 대중과 언론 이목이 집중됐다. 이번 CES 2021은 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700여개 스타트업을 포함해 대기업까지 다양한 규모에 걸쳐 37개국 2000여개에 달하는 기업이 참여했다. 인텔, 삼성전자, LG전자, 파나소닉, 소니 등 글로벌 기업을 비롯해 AARP, 브릿지스톤, 캐터필러, 인디 오토노머스 챌린지, 존 디어 등 비 기술기업도 대거 참여했다. 지난해 4500여개 기업이 참가했던 CES 2020에 비해 절반 정도 수준이지만, 전면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헬로티] 리드 엑시비션스 재팬이 주최하는 전시회 ‘제35회 넵콘 제팬(NEPCON JAPAN, 이하 넵콘)’가 1월 20일(수)부터 22일(금)까지 도쿄 빅사이트와 온라인에서 개최됐다. 넵콘 재팬을 기획한 마에조노 유히 사무국장을 만나 올해 전시회의 특징과 시장 동향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봤다. ▲마에조노 유히 사무국장(출처 : 리드재팬) Q : 이번 넵콘 재팬 2021의 개요는 무엇인가? M : 이번 넵콘 재팬에는 동시 개최 전시를 기준으로 신규 참가 290사를 포함 총 1950사가 참가한다. 실장 기술을 중심으로 최신 일렉트로닉스 제조·개발의 모든 부문이 출품한다. 병설 개최되는 세미나에서는 무라타 제작소의 나카지마 사장이 자사의 5G 전략에 대해 강연하는 기조 강연을 포함해 차세대 통신규격인 6G를 테마로 도코모 나카무라 중역이 특별 강연을 진행하는 등 청강 필수 내용이 가득하다. 또한, 과거에 진행했던 세미나 중에서 호평을 받은 세미나를 엄선한 ‘일렉트로닉스 첨단 기술포럼’을 개최했고, 청강 신청자가 많아 예약이 이미 끝난 세션도 있었다. Q : 넵콘 재팬 2021 올해의 참관 포인트는? M :
[헬로티] 한국금형공업조합(이하 금형조합)이 '중소기업 연구장비 사용료 지원사업'에 대한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금형조합은 올해부터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전담하는 중소기업 연구장비 사용료 지원사업에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이 지원사업은 조합원사를 비롯해 금형 및 기계관련 기업의 제품개발과 사업화를 위해 조합이 보유한 장비를 활용시 장비 사용료 일부(70%)를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사업의 총 지원예산은 624.7백만 원(기업당 최대 지원한도 8백만 원)이며, 시금형·측정 등 시제품 개발을 위한 자금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참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금형 및 제품 개발 기업이며, 신청을 원하는 기업은 금형조합 공지사항 게시글에 첨부된 양식을 받아 작성하면 된다. 한편, 금형조합은 신청서 접수 후 개별방문해 절차 등 직업 안내 및 신청부터 결과보고까지 일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첨단 헬로티] 산업부 소관 공공기관, 중소기업제품 구매 적극 이행 동참키로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지난 7일(목) 오후 2시, 여의도 한국전력 남서울본부에서 성윤모 장관,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산업부 소관 40개 공공기관 기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중기제품 구매촉진 협약식'을 체결했다. ▲사진 : 산업부 금번 협약식은 코로나 19 관련 생활 속 거리 두기 지침에 따라 참석자의 동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국의 지역별 공공기관 영상회의실을 활용하여 진행됐다. 이번 협약은 최근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인한 내수절벽과 매출급감에 따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소상공인 지원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을 감안해 공공부문에서 중소기업 지원을 선도하기 위해 이뤄졌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산업부 소관 40개 공공기관들은 협약서 체결을 통해 중소기업제품 구매 및 지원예산 조기집행, 조달참여 기업 자금부담 경감, 소액수의계약 제도 활용 및 계약대금 신속지급 등의 이행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또한, 산업부 소관 공공기관들은 ’20년 중소기업 제품 구매 계획금액 10.9조 원 중 6.4조 원(59%)을 상반기에 집행해 침체된 경기활성화에
[첨단 헬로티] 70건이 넘는 새로운 기술과 제품 출시 행사가 진행될 예정 지난 11월 13일부터 17일까지 개최된 중국 남부 광둥성 선전에서 열리는 2019 중국하이테크박람회(China Hi-Tech Fair, CHTF)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는 최신 제품과 기술 출시였다. ▲2019 중국하이테크박람회가 이달 13일에서 17일까지 중국 선전에서 열렸다. 박람회 조직위에 따르면, 전시업체에 더 많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CHTF 2019는 국내외 과학연구소와 기술 업체를 초청해 홍보를 돕는 CHTF에서 새로운 제품과 기술을 출시하도록 장려했다. 선전 기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Royole Corp CEO Liu Zihong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중국의 과학기술박람회인 CHTF는 혁신 기업을 위한 우수한 전시 플랫폼"이라며, "이 행사는 다양한 국가에서 온 고객들과 연계할 뿐 아니라 수많은 사용자로부터 제품에 관한 피드백과 제안을 들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라고 언급했다. CHTF 2019는 5일 동안 약 70건에 달하는 새로운 기술과 제품 출시가 진행됐다. 주최 측은 기조연설을 통해 자사 제품을 발표하고, 방문객이 제품과 기술 연구를 잘 이해
[첨단 헬로티] IDTechEx의 해당 주제에 대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웨어러블 기술 제품의 가치는 500억 달러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웨어러블 기술 제품의 전체 시장 규모는 2014년 이후 두 배로 증가했으며, 지난 5년간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가장 꾸준히 성공한 시장 중 하나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그러나 2019년에는 헤드라인 빈도가 감소하고, 투자는 더욱 집중되는 한편, 웨어러블 제품에 대한 과대광고는 사라졌다. IDTechEx의 웨어러블 기술에 대한 종합 연구는 지난 수년간 이 부문의 발전 성과 및 향후 10년간의 상황 변화를 예측했다. 이 보고서는 지난 5년간 스마트 워치, 지속적 포도당 모니터링 장치(CGM), 보청기, 헤드폰 및 AR, VR 및 MR을 포함한 여러 주요 제품 유형의 성장 과정을 설명한다. 이 보고서는 이들 각 부문을 면밀히 살펴보고, 모든 주요 업체, 기술 및 각 제품 영역의 현재 테마에 대한 평가 및 시장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이 시기에는 새로운 유형의 전자 스킨 패치에서부터 전자 섬유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의류, 신발, 반지, 헤드밴드 등의 새로운 형태의 기타 폼팩터에 이르는 다양한 신형 웨
[첨단 헬로티] 중소벤처기업부는 소공인의 국내외 판로개척과 제품·기술 가치 향상을 위해 2019년 120억 원을 지원한다. 전시회 참가, 온라인몰 입점 등 판로개척과 제품·기술의 업그레이드나 개발이 필요한 소공인을 대상으로 1차(155개사, 2019.1.31~2.28)와 2차(140개사, 2019.3.29~4.19)로 나눠 금년도 사업신청을 받는다. 2019년 소공인 지원사업의 주요 개선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공인의 부담을 줄여주는 새로운 평가방식을 도입한다. 제품·기술가치 향상 지원은 발표평가에 부담이 많은 업체상황을 고려해 소공인이 자신의 작업장에서 과제를 설명한다. 관련 전문가들이 현장에서 참여기업의 기술, 제품 및 공정, 시설 등을 직접 확인해 과제수행 역량과 효과를 평가하고, 현장컨설팅도 함께 제공할 계획이다. 둘째, 최근 다양화된 홍보수요를 반영해 SNS, 블로그, 1인 미디어 등 뉴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 지원항목을 신설해 온라인 판로지원을 강화한다. 셋째, 판로개척 참여기업은 3천만 원 한도 내에서 전시회 참가 등 9개 판로지원 항목 중 필요한 사업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정보부족으로 전시
[첨단 헬로티] 소비자 보호와 유통제품 안전성 조사의 공정성 확보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허남용)은 지난 9월 21일 국내 소비자를 보호하고, 시중 유통제품 안전성 조사업무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제품안전관리 전문기관인 한국제품안전관리원(KIPS, 이하 이하 관리원) 설립 개원식을 개최했다. 이날 개원식에는 허남용 국가기술표준원 원장을 비롯해 이 훈 국회의원과 유성훈 금천구청장, 설립위원회 위원장, 한국제품안전협회장, 시험연구원 원장 등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했다. 관리원(KIPS)은 올해 3월 20일 개정된제품안전기본법을 근거로 6개월간의 출범 준비 끝에 설립했으며, 개원식을 시작으로 기존 한국제품안전협회가 정부로부터 위탁받아 수행하던 불법·불량제품 조사 업무 등을 넘겨받아 체계화하고, 전문성을 높인 제품안전관리 선도기관 역할을 시작한다. 관리원은 제품안전기본법 제21조 2항에 따라 ①수입·유통 단계의 불법제품 및 위해 우려제품의 감시·조사, ②통관 단계 수입제품 안전 관리, ③제품 수거(리콜) 등의 이행 점검, ④제품 사고 조사 및 위해도 평가 등 제품 안전과 관련
원일정기는 지난달 와이어 방전가공기 WX 시리즈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고성능 다목적 가공이 가능한 침적식으로, 분사식에 비해 최고 2배의 절삭 성능을 실현한다. 고강성 미하나이트 베이스와 격자 구조 설계의 조합으로 정밀도를 장시간 보장하며, 초보자부터 숙련된 기술자까지 모두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탑재됐다. 내구성 및 유지보수를 고려한 모듈화 설계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기계 운용을 실현하며, 디지털 방식 방전 펄스로 정교하고 고성능의 가공이 가능하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
HD2200은 고속, 고강성, 고정도가 강점인 고성능 CNC 선반으로, 45° Slant의 일체형 고강성 베드 구조 채택했다. 열변형을 최소화한 안정된 유니트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고생산성을 고려한 기계 구성 요소 및 확장성을 부여했다. 탁월한 급이송 능력을 실현하며, 신뢰성 있는 고속의 서보터렛, 중절삭 대응을 위한 Box Guide를 채용했다. 또한 콤팩트한 구조로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며, 인체공학적 설계로 Chuck 및 Tool 등에 접근성이 우수하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
3DWing은 3D프린터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제조업의 프로세스를 단축시키고 디자이너와 창업자들의 시제품을 제작해 주는 온라인 3D프린팅 제작소이다. 3DWing을 이용하면 기존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듯이 내가 주문 제작한 제품을 편리하게 구매하고 배송받을 수 있다. 이밖에도 독특하고 개성 있는 디자인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shop을 운영하고 있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