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임근난 기자 | 이차전지 산업은 친환경이라는 글로벌 트렌드 속에서 지속 가능한 미래의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미래 IT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이차전지 산업의 최신 기자재가 한자리에 선보인다. 2022년 새롭게 개최하는 이차전지 소재·부품 및 장비전(K-BATTERY SHOW 2022)은 △양극소재, 음극소재, 분리막, 전해질 등 이차전지 대표 소재 외에 △소형 이차전지, ESS전지, 모빌리티 전지 등 중대형 이차전지를 비롯하여, △차세대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 등을 전시 및 소개하여, 바이어 및 참관객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K-BATTERY SHOW 2022는 국내 대표 산업 전시회인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KIMES), 국제방송 미디어·음향·조명전(KOBA), 국제플라스틱·고무산업전(KOPLAS), K-PRINT 등 1977년부터 다양한 전문전시회를 주최해 온 한국이앤엑스가 주최하며, 오는 2022년 6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한국 소재·복합재료 및 장비전(K-Mtech)과 함께 동시 개
[첨단 헬로티] LCD, 태양전지 및 반도체 제조장비 전문기업 제우스가 산업로봇사업 다각화를 위해 포스코ICT와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포스코ICT 판교 사옥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제우스 이종우 대표이사, 포스코ICT 손건재 대표이사를 비롯해 양 사의 임직원 등이 참석했다. ▲ 포스코ICT 판교사옥 협약식에서 제우스 이종우 대표이사(좌)와 포스코ICT 손건재 대표이사. 이번 협약은 제우스와 포스코ICT가 발굴·개척한 수요처에 공동으로 상품 제안하는 것을 시작으로 원활한 협력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협약을 기점으로 앞으로 포스코ICT의 산업용 로봇통합운영 솔루션 ‘아이라스(IRaaS)’와 제우스의 산업용 로봇 ‘제로(ZERO)’는 상호 연계된 하나의 상품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제우스는 최근 산업용 로봇 ‘제로’ 출시 등 국내외 시장 공략을 위해 힘쓰고 있다. 특히, 고도 산업화된 한국 시장에서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 해외 시장에서도 성공하기 어렵다고 보고, 올해는 한국 내 판매망 구축과 고객 확보에 집중하여 로봇 생산 기업으로서 입지를 디질 계획이다. 또한
[첨단 헬로티] LCD, 태양전지 및 반도체 제조장비 전문기업 제우스는 산업용 다관절 로봇 ‘제로(ZERO)’가 양산 과정을 거쳐 본격 출하에 나섰다고 25일 밝혔다. 제우스의 산업용 다관절 로봇인 ‘제로’는 회사가 첫 연구개발한 가반하중 5Kg 모델로, 지난 3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19’에서 공개한 바 있다. ▲ 제우스는 산업용 다관절 로봇 ‘제로(ZERO)’를 7월부터 본격 판매에 들어갔다. 사진은 제우스 오산사업장에서 열린 ‘제로(ZERO)’ 출하식. 행사 당시, 빼어난 디자인과 뛰어난 가격경쟁력, 차별화된 기술로 국내 유수의 대기업 및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해외 바이어에게도 많은 호평을 받았다. 회사 측에 따르면, ‘제로’는 △동급 대비 최경량 무게(17Kg), △ 최고 수준의 반복 정밀도(±0.02mm), △ 최소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풋프린트(Φ149mm), △경제성 있는 소비전력 250W, △ 효율성 높은 PC기반 프로그래밍 등의 특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제우스는 계약 물량을 기반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