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2024년 3분기~2025년 2분기 모나코 해상풍력 건설사 에네티로 인도할 예정인 3억 3000만달러(약 3900억원)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기 설치선(WTIV) 2척에 ABB의 전력·자동화·제어 시스템, 실시간 성능 분석, 전기 추진 시스템이 탑재된다. 해당 시스템은 2021년 3분기, 2022년 1분기 각각 계약됐다. 새로 건조되는 설치선은 미래 지향적 선박이다. 최대 수심 65m까지 해상풍력 발전기 설치가 가능하고, 무공해 연료 선박으로 운영하도록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ABB 배터리 시스템 적용은 풍력 발전기 설치 작업부터 배터리 충전 기능을 포함해 선박 운영 측면에서 지속 가능성을 높인다. 풍력 발전 수요가 증가하면서 효율적으로 지속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상풍력 발전기 설치선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2020년 해상풍력 발전은 용량 6GW를 추가하며 약 30% 증가했다. 국제에너지기구의 ‘2050 넷제로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전 세계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선 매년 육상풍력 310GW, 해상풍력 80GW의 추가 증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에네티 상무이사 프란체스코 벨루시는 “새로운 주력 사업인 해상풍력 발전기 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필츠가 자동화 프로젝트를 최적의 상태로 간단히 구성하고 시각화할 수 있는 웹 기반의 HMI 소프트웨어 PASvisu 새 버전을 선보였다. 새로운 PASvisu 버전은 Modbus/TCP 프로토콜도 지원한다. 이 프로토콜을 통해 다른 산업용 컴포넌트를 비롯하여 모든 컨트롤러를 신속히 연결할 수 있다. 또한, PASvisu 서버의 데이터를 사용자의 시각화 시스템에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클라이언트/서버 연결이 업데이트에 포함된다. PASvisu의 새 버전인 v1.10부터, 웹 기반 시각화 소프트웨어는 OPC UA뿐만 아니라 Modbus/TCP 프로토콜까지 지원한다. 따라서 PASvisu와 거의 모든 제어 시스템 간에 프로세스 데이터를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컨트롤러의 데이터를 한 시각화 프로젝트에서 동시에 처리할 수도 있다. 필츠 관계자는 “개방형 제품이므로 PASvisu를 사용할 때 기존의 자동화 인프라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기계에 사전 통합된 HMI, 외부 PC, 태블릿 등 거의 모든 단말 장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심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서버 연결도 새롭게 추가된 특징이다. PASvi
[헬로티] ABB는 대우조선해양으로부터 3억 달러 계약 체결, 북해로를 따라 LNG(액화천연가스) 수송할 신규 선박 6척에 전력 및 추진 패키지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6척 신규 선박은 각각 강력한 아지포드 추진기 3대를 탑재한다. 빙하에서 운항하는 선박에 공급된 아지포드 추진기 중 역대 최대 크기이다. 거대한 17MW 아지포드 장치는 총 51MW(68,400 HP) 전력을 공급하며 선박은 최대 2.1m 두께의 얼음을 깨며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다. 유사한 조건에서 ABB 기술이 없는 경우, 비슷한 LNG 수송선은 쇄빙선 지원이 필요하다. ABB Azipod 추진은 쇄빙선에 대한 업계 표준이 됐다. 전기 구동 모터가 선체 바깥쪽의 수중 포드에 있는 Azipod 추진 시스템은 360도 회전이 가능해 기동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얼음 속에서 운항하는 선박에 특히 중요하다. 신규 LNG운반선은 쇄빙 상선 최고 등급인 ARC7 급이다. 이번 수주는 야말 LNG 프로젝트(2019년 ABB마린 및 항만 사업본부 사상 최대 수주 중 하나)를 서비스하는 15척 시리즈에 대한 ABB 최첨단 기술이 성공적으로 인도된 데 따른 것이다. 유하 코스켈라 ABB마린 및 항만 대표는
[헬로티] 글로벌 산업자동화 계기·솔루션 전문 기업 엔드레스하우저가 개발한 보안 솔루션 ‘CPace’가 IETF 권장 인터넷 보안 표준으로 선정됐다. 최신 플랜트에 설치된 수백, 혹은 수천 계의 계측기 및 제어 시스템은 정기적인 점검 및 모니터링, 설치 등이 요구되기에, 원격으로 액세스할 때 안전한 암호 기반 사용자 인증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에 엔드레스하우저는 PAKE(Password Authenticated Key Exchange, 해커가 암호 해킹을 위한 오프라인 공격을 감행하지 못하도록 액세스 인증 암호를 검증하는 프로토콜) 방식에 속하는 솔루션 ‘CPace’를 선보였다.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인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는 여러 기업에서 제출한 보안 프로토콜에 대한 광범위한 보안성 분석을 거친 후, 엔드레스하우저의 CPace를 계기 액세스 시에 사용하는 보안 솔루션으로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 엔드레스하우저의 프로젝트 책임자 비외른 하세 박사는 CPace 솔루션 개발에 착수한 이유에 대해 “기존의 방법은 계기의 처리 능력과 저장 용량이 제한적일 경우
[헬로티] 요꼬가와전기는 플랜트 장비의 원격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를 지원하는 OpreX 관리 서비스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 서비스는 플랜트 장비 및 장치가 고장 나기 전에 문제를 식별하고 수정함으로써 예기치 않은 플랜트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고객의 요구 사항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OpreX Sustainable Maintenance 제품군 라인업의 일부로 제공되며, 9월 28일 일본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출시됐다. 개발 배경 장비 고장이 기존의 유지보수 방식만으로는 플랜트 사고 및 예기치 않은 가동 중단을 방지하기가 어렵다. 이로 인해 장치 상태를 식별하고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징후를 찾아 생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예측 및 유지관리 기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점점 더 많은 플랜트가 제어 시스템을 생산 관리 및 장비 유지보수를 감독하는 정보 시스템과 연결하고 이전에 분리된 기기실과 제어 시스템을 통합하여 생산 운영을 간소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크고 복잡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상태가 어떤지 파악하기가 어렵다. 또 다른 문제는 이러한 플랜트에서 필요한 사이버 보안 조치를 구
[첨단 헬로티] 지난해(2019년 6월)에 경제산업성에서 ‘빌딩 시스템의 사이버 피지컬 시큐리티 가이드라인 제1판’이 출시됐다. 지금까지 빌딩 업계에서는 명확한 시큐리티 대책의 ‘기준’조차 없었던 것을 생각하면, 이 가이드라인의 실효성은 앞으로의 평가에 달려 있다고 해도 책정한 것 자체는 빌딩 업계의 시큐리티 대책으로서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빌딩 업계가 이 시기에 시큐리티 대책에 몰두한 이유는 다음의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 번째는 ‘빌딩’이라는 건물의 범용성에 있다. 빌딩 분야는 정부가 중요 인프라로 자리매김한 14분야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그 14분야의 기업이나 조직의 대부분의 본사나 시설은 ‘빌딩’이라는 건물에 들어가 있다. 즉, 중요 인프라의 14분야는 자기 분야의 시스템 시큐리티 강도에 상관없이 ‘빌딩’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기 분야의 시스템이 어떠한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빌딩 제어 시스템은 다른 산업계 제어 시스템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빌딩 제어 시스템의 대책은 다른 제어계 시스템에도
[첨단 헬로티] 요꼬가와는 세계 최대 석유 화학 제조업체 중 하나인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이하, SABIC)과의 협력을 가속화하기 위해 전략적 제휴 기본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협약에 따라, 요꼬가와는 제어 시스템 공급 업체로 선정됐다. ▲ SABIC의 Mr. Abdullah M. Al-Garni(왼쪽)와 요꼬가와 Mr. Koji Nakaoka가 협약 체결 후 기념 촬영 모습. SABIC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수도인 리야드에 본사를 둔 국영기업이며, 석유화학, 특수화학, 비료 및 금속으로 총 4개의 전략적 사업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요꼬가와는 주바일 지역에 위치한 대규모 에틸렌 공장(1,000kt/년)과 같은 일부 SABIC 공장에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해왔다. 이번 제휴 계약을 통해 요꼬가와는 사우디아라비아 내 현지화를 촉진하고, 중동 및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SABIC이 운영하는 플랜트의 통합 제어 시스템 및 안전 계측 시스템에 요꼬가와가 우선적으로 선택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요꼬가와는 에너지 최적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혁신적인 디지털 기술에 대해 SABIC과 협력하여 제조 우수성을 촉진할
[첨단 헬로티] 첨단 컴퓨팅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업체인 에이디링크에서 팬리스 임베디드 컴퓨터 ‘MXE-1500 시리즈’를 출시했다. 에이디링크 MXE-1300 시리즈의 후속 제품인 MXE 1500은 다른 소형 엔클로저에 비해 풍부한 I/O 인터페이스와 유연한 구성을 제공한다. MXE-1500은 윈도 7을 지원하는 최신 프로세서인 Intel Celeron N3160/N3060 프로세서를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운영 환경을 지원하며 기존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기존 제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제한된 공간에서 다양한 I/O 연결성을 요구하는 산업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MXE-1500 시리즈의 콤팩트한 풋 프린트는 유연한 구성으로 배치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표준 인터페이스에는 4개의 COM 포트, 3개의 LAN 포트, 6개의 USB 그리고 1개의 내부 USB 2.0 동글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자유롭게 LVDS나 DP 포트를 선택할 수 있고 최대 6개의 COM 포트 확장, 선택사항인 증폭기를 선택하거나 특정 요구사항에 따라 TPM 2.0을 추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연성은 공장, 기계 및 물류 자동화, 항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