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DfAM 표준화 및 데이터 전처리 세미나 열려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실습 과정도 진행...공정 데이터 이해↑ 차세대 3D 프린팅 설계 공정이라고 평가받는 적층제조특화설계(DfAM) 글로벌 표준화와 기술적 로드맵을 공개하는 행사가 내달 개막한다. DfAM은 기존 방식으로 설계·가공·제조가 까다롭고 정밀한 공정이 요구되는 제품군이나, 비교적 시간·비용 등 자원 소모가 큰 대상물에 적합한 적층 제조 설계 기술이다. 우주항공, 자동차, 반도체, 공조, 로봇, 조선 등 분야에 도입 사례를 확장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국제적층제조우수성센터(AM CoE)가 주관하는 DfAM 표준·규격화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 기획됐다. 여기에 3D 프린팅 설계를 위한 데이터 전주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적층 제조 소프트웨어 솔루션 공급사 ‘더스퀘어’, 적층 제조 데이터 전처리 소프트웨어 공급사 ‘VoxelDance’, 3D프린팅연구조합, 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3D 프린팅 업계 산학연이 협력해 3D 프린팅 기술 고도화에 대한 비전을 제안한다. 양일간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내달 8일 경기 수원 영통구 소재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같
3D시스템즈는 1986년에 3D프린팅 산업을 시작하여, 이후 적층 제조 혁신을 주도했다. 이 회사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소재 솔루션 포트폴리오는 플라스틱에서 금속에 이르기까지 광범위 하며, 애플리케이션 이노베이션 그룹의 산업별 엔지니어링 전문성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작년 10월, 3D시스템즈는 대대적인 조직 변경이 있었고, 정원웅 대표가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프린터, 소재까지 3D시스템즈 전 제품을 담당하며 3D시스템즈코리아 사장으로 취임했다. 정원웅 대표는 “3D시스템즈가 잘하는 것에 더 집중하여 적층제조 전문기업으로서 입지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Q. 2020년 8월부터 3D시스템즈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매각과 인수를 활발하게 진행했다. 매각과 인수합병을 통한 3D시스템즈의 목표는 무엇인가. A. 3D시스템즈는 ‘엔트 투 엔드 솔루션’을 제창하면서 모든 제조업에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목표로 사 업을 진행해왔다. 그러나 시장에서 모든 솔루션을 제공하기에 한계를 느꼈고, 원래의 초심으로 돌아가 기존 코어 비즈니스인 ‘3D프린팅과 소프트웨어’에 집중하기로 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논코어 비즈니스와 관련된 사업부를 매각하기 시작한 것이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애니모션텍이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인사이드 3D 프린팅 전시회에 참가, 한다. 3D 프린팅 기술을 선보인다. 인사이드 3D 프린팅은 세계 최대의 3D 프린팅 및 적층 제조 전문 전시회로, 국내외 3D 프린팅 기술을 선도하는 대표 기업들의 최신 장비 및 부품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애니모션텍은 우주항공 및 생명과학 분야 3D 프린팅 기술에 세계 최고의 우수성을 자랑하는 엔스크립트(nScrypt)의 제품을 선보인다. 탁월한 제어를 위해 nScrypt의 머신 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겐트리 기반의 고정밀 모션 플랫폼인 ‘3Dn Series’와 바이오프린팅용으로 특별히 구성된 3Dn 시스템인 ‘BAT Series’을 구현한 데모 장비를 대표적으로 소개한다. 또한, 반도체 및 기타 정밀 검사 측정, 레이저 애플리케이션 등의 분야에 활용도가 높은 에어로텍(AEROTECH)의 △스테이지 제품(에어베어링 스테이지, 3차원표면측정기) △드라이버(AGV Galvanometerm, Nmark GCL) △리니어 및 로터리 서보 모터(BMS모터, BM모터, 리니어 모터, S시리즈 브러시리스 모터, SM시리
헬로티 김진희 기자 | 3D시스템즈가 새로운 유형의 지능형 클라우드 기반 MOS(Manufacturing Operating System) 플랫폼을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기업인 Oqton을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이 플랫폼은 생산 워크플로우에서 적층 제조(AM) 솔루션을 비롯한 다양한 제조 및 자동화 기술을 점점 더 많이 활용하는 유연한 생산 환경에 맞게 개발됐다. 이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은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이 디지털 제조 워크플로를 자동화하고 운영을 확장하며 경쟁 우위를 강화할 수 있는 새롭고 강력한 방법을 제공한다. 애자일 플랫폼과 함께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면 치과, 의료, 생명 공학, 항공 우주 및 자동차와 같은 가장 까다로운 생산 워크플로도 빠르게 채택할 수 있다. 3D시스템즈의 사장 겸 CEO인 제프리 그래이브스(Jeffrey Graves)는 "산업 및 의료 부문의 고객들이 생산 환경에 적층 제조를 채택하는 것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프린터 자체 뿐만 아니라 모든 디지털 생산 시스템과 핵심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를 쉽고 지능적으로 통합하여 원자재에서 완성되고 검사된 구성 요소에 이르기까지 전체
[헬로티] 스트라타시스가 신제품 3D프린터 3종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출처 : 스트라타시스 스트라타시스가 수십억 달러 규모의 적층 제조 기술 기반의 최종 부품 시장의 니즈를 상당 부분 해결할 신규 3D프린터 3종 ▲오리진 원(Origin One) ▲H350 3D프린터 ▲F770 FDM 3D프린터를 발표했다. 이번에 선보일 신규 시스템들은 기존 방식의 제조 기술로 완벽히 소화하기 힘들었던 소량 및 중간 규모의 최종 사용 부품 제조를 적층 제조 기술로 전환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스트라타시스는 밝혔다. 요아브 자이프(Yoav Zeif) 스트라타시스 CEO는 “적층 제조 기술은 기업에 언제, 어디서, 어떻게 부품을 생산할지에 대한 완전한 유연성을 준다. 스트라타시스는 업계를 선도하는 자사 고객들에게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폴리머 3D프린팅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스트라타시스는 작년 한 해 제조 관련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 총 매출의 25% 이상을 달성한 바 있다고 밝혔다. 3D프린팅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재료 및 서비스 솔루션 분야를 아우르는 통합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2022년부터 연간 20%의 성장률로 제조 분야 매출
[첨단 헬로티] 산업용 3D 프린팅 분야의 EOS와 중동 지역 최대 항공기 수리, 정비 및 개조(MRO) 서비스 업체인 에티하드 항공 엔지니어링(Etihad Airways Engineering)이 중동 지역의 항공 분야 산업용 3D프린팅 역량을 크게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지난 주말 포뮬러1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그랑프리(Formula 1 Etihad Airways Abu Dhabi Grand Prix)에서 맺은 파트너십 계약에 따라 에티하드 항공 엔지니어링은 아부다비에 있는 자사 시설에서 3D 프린터를 사용해 항공기 부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날 포뮬러1 경주 참관자들은 포뮬러1 경주 자동차의 앞 날개 전체를 3D 프린터로 제작하는 것을 보고 3D프린팅 전문가들의 설명을 들었다.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AM)를 위해 EOS 시스템으로 EOS기술을 사용하게 될 이번 협업의 초기 단계에는 항공 규제 요건에 따른 기계, 공정 및 소재의 규격을 맞추는 업무를 추진하게 된다. 구조화된 프로세스가 결정되면 AM공정으로 적합한 객실 내부 부품이 생산되며, 특히 항공기 개조 시 최적화된 수리, 경량 설계, 짧은 리
[첨단 헬로티] 응용 적층 기술 솔루션 분야 글로벌 기업인 스트라타시스는 4월 3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제18회 심토스(SIMTOS) 2018’에 참가해 자사의 최신 래피드 프로토타이핑 및 적층제조 솔루션을 선보였다. 참관객들은 스트라타시스 부스에서 제품 개발 전 주기에 걸쳐 유연성, 타임-투-마켓 단축, 비용 절감 등 혁신적 혜택을 제공하는 다양한 스트라타시스 프로토타이핑 솔루션을 경험할 수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스트라타시스가 보유한 ‘풀컬러-멀티소재’ 3D 프린팅 솔루션인 J750 3D 프린터는 사용자가 풀컬러 그라디언트(gradient)를 광범위한 물성의 재료와 조합할 수 있어 후처리 과정 없이도 매우 사실적인 제품을 제작할 수 있으며 한 대의 장비로 광범위한 분야에 대응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스마트 프로토타이핑 솔루션을 구현하는 스트라타시스 F123 시리즈는 초기 컨셉 검증부터 설계 검증, 기능성 테스트 및 지그, 픽스처와 같은 제조용 툴링까지 제작이 가능하며, 그랩캐드프린트(GrabCAD Print) 소프트웨어를 통한 간소화된 프로세스로 사내에서 누구나 손쉽게 전문가급 프로토
▲ 스트라타시스 적층 제조 기술이 적용된 경주용 루지 썰매 스트라타시스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미국 루지 국가대표팀이 스트라타시스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3D 프린팅 기술을 통해 보다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선수 개인에 맞춤화된 경주용 썰매를 제작하고 시험하는데 적극 활용했다고 밝혔다. 미국 대표팀은 탄소 섬유 복합재 썰매 제작에 사용되는 핵심 레이업 및 새크리피셜 툴을 3D 출력하는 과정에서 스트라타시스의 다양한 고성능 재료를 활용했다. 스트라타시스가 제공하는 첨단 FDM 기술은 일반적인 복합재 가공법에서는 불가능한 수준의 개인 맞춤화를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개인 맞춤화 역량은 최고 시속 87마일(약 140km)로 활강하는 경주용 썰매 제작 분야에서 중요한 성공 요인으로 손꼽힌다. 미국 대표팀은 경주용 썰매 앞부분에 설치되어 경기 진행 시 선수의 다리를 정확하게 위치하고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부품 ‘더블스타워’ 제작 과정에서 스트라타시스 ST-130 새크리피셜 툴링 재료를 활용했다. 더블스타워는 움직이는 썰매 내부의 선수의 체형과 위치를 고려하여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고도의 복잡성과
[첨단 헬로티] 스트라타시스는 12월 13일 소공동 더플라자 호텔에서 ‘스트라타시스 코리아 2017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스트라타시스의 최신 적층 제조 솔루션을 소개하는 한편 국내 시장 비즈니스 확장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스트라타시스 코리아의 황혜영 지사장은 지난 7월 취임 이후 열린 첫 공식 기자간담회에서 스트라타시스가 최근 공개한 다양한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솔루션을 소개하고 미래의 제조업 분야에서 3D 프린팅 기술이 주도하는 다양한 혁신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스트라타시스는 최근 발표한 △복셀(Voxel) 단위의 제어를 통해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진정한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그랩캐드 복셀 프린트(GrabCAD Voxel Print™)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비롯해, △3D 프린팅을 통한 소규모·연속 생산을 위한 혁신적인 멀티-셀 기반의 컨티뉴어스 빌드 3D 데몬스트레이터(Stratasys Continuous Build™ 3D Demonstrator), △사무환경 및 사용자 친화적인 스마트한 프로토타이핑 솔루션을 제공하는 최신 FDM 3D 프린터 F123
미래의 제조와 적층 제조의 가능성을 탐구하다 응용 적층 기술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기업인 스트라타시스가 10월 19일 서울 역삼동 르메르디앙 호텔에서 ‘스트라타시스 3D프린팅 포럼 2017’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인더스트리 4.0 및 스마트 매뉴팩처링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적층 제조 트렌드 및 활용 사례를 공유하고, ‘F123 시리즈’, ‘컨티뉴어스 빌드 3D 데몬스트레이터’ 등 스트라타시스의 최신 솔루션 및 차세대 3D 프린팅 기술 선보여 주목을 받았다. ‘스트라타시스 3D 프린팅 포럼’은 올해로 4회째를 맞는 스트라타시스의 연례 컨퍼런스 행사로,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주요 국가에서 매년 1,000여명 이상의 고객과 업계 전문가, 오피니언 리더가 참여하여 경험과 트렌드를 공유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3D 프린팅 및 적층 제조 전문 컨퍼런스 행사다. ‘미래를 그려나가다: 새로운 차원의 비즈니스로의 도약(Shaping What’s Next: New Dimension to Your Business)’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포럼은
[첨단 헬로티] 스트라타시스는 10월 19일 서울 역삼동 르메르디앙 호텔에서 ‘스트라타시스 3D프린팅 포럼 2017’을 개최했다. ‘스트라타시스 3D 프린팅 포럼’은 올해로 4회째를 맞는 스트라타시스의 연례 컨퍼런스 행사로,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주요 국가에서 매년 1,000여명 이상의 고객과 업계 전문가, 오피니언 리더가 참여하여 경험과 트렌드를 공유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3D 프린팅 및 적층 제조 전문 컨퍼런스 행사다. ‘미래를 그려나가다: 새로운 차원의 비즈니스로의 도약 (Shaping What’s Next: New Dimension to Your Business)’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포럼은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변화의 물결 앞에서 3D 프린팅과 적층 제조를 통해 비즈니스를 혁신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와 사례가 공유됐다. 황혜영 신임 스트라타시스 코리아 지사장의 환영사로 문을 연 오전 기조연설에는 오머 크리거 스트라타시스 아태 총괄 사장, 짐 버필랏 스트라타시스 항공우주 및 자동차 부문 마케팅 디렉터, 오하드 메유하스 스트라타시스 글로벌 에듀케이션 부문, 아
[첨단 헬로티] 다쏘시스템은 에어버스의 자회사이자 금속3D 프린팅 전문기업인 독일의 에어버스 AP웍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항공우주 및 국방 산업 부문 적층 제조 기술 활용 증진을 위해 협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사는 적층 제조 프로세스의 가상 검증 단계에서 다쏘시스템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과 AP웍스의 신제품 개발 컨설팅, 엔지니어링 및 제조 분야 전문성을 결합할 수 있게 되었다. 다쏘시스템과 AP웍스는 항공우주 및 국방 산업 특화 솔루션인 ‘코-디자인 투 타겟(Co-Design to Target)’의 기능을 확장함으로써 부품 적층 제조를 위한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모든 엔지니어링 매개변수의 디지털 연속성을 제공하는 통합 프로세스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설계 최적화부터 복제 및 확장 가능한 생산을 위한 적층 제조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차세대 항공 우주 부품은 적층 제조 기술로 인해 경량화가 가능해졌으며 신뢰성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점점 정교하고 복잡해지는 디자인과 더불어 새로운 고기능 소재, 더 빠른 기계가 등장하게 되면서 적층 제조는 독창적인 제품 디자인 및 프로토타이핑 영역을 넘
[헬로티] 지멘스는 레이저 시스템 전문 제조기업인 트럼프와 파트너십을 새롭게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본 파트너십을 통해 레이저 메탈 퓨전 기술을 산업화하고, 적층 제조를 금속 부품 생산공정의 핵심 프로세스로 발전시키기 위해 협력할 방침이다. 현재 지멘스와 트럼프는 각 회사의 전문 역량을 결합해 3D 프린트된 금속 부품의 설계와 관련 준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협업하고 있다. 두 회사는 트럼프의 프린팅 머신용 Powder-bed 기반의 레이저 메탈 퓨전 프로세스 전체를 지멘스의 NX 소프트웨어로 통합해 간소화한다는 계획이다. TRUMPF build processor 기술을 통합한 이 솔루션은 적층 제조와 3D 프린팅 준비를 위한 부품 설계와 엔지니어링에 활용될 예정이다. 토니 헤멀건 지멘스 PLM 소프트웨어 대표 겸 CEO는 “새롭게 선보이는 양사의 통합 솔루션은 전체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 걸쳐 스마트 제품 모델을 적용해 고객들에게 높은 수준의 프로세스 안정성을 제공할 것이다”라며 “금속 부품의 설계, 시뮬레이션, 3D 프린팅과 NC 프로그래밍 툴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함으로써 데이터 변환이 필요하지
[헬로티] 스트라타시스와 지멘스는 지멘스의 디지털 팩토리 솔루션과 스트라타시스의 적층 제조 솔루션을 통합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의 이번 협력은 이번 협력은 지멘스가 최근 발표한 디지털 설계, 시뮬레이션, 데이터 관리를 기존의 적층 제조기술에 통합한 엔드 투 엔드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다. 이들 업체는 특히 전통적인 제조 워크플로에 적층 제조를 통합하려는 비전을 공유하고 있어 이번 파트너십은 그 비전을 이행하는 데 필요한 기반을 다지기 위한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양사는 이에 따라 항공우주, 자동차, 운송, 에너지, 툴링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 관련 기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멘스와 스트라타시스는 그간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협력을 지속해 오고 있다. 예를 들어 지멘스의 CAD/CAM/CAE 솔루션인 NX 소프트웨어와 스트라타시스의 그랩캐드 프린트 플랫폼을 연동해 설계에서 3D 프린팅까지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협력하고 있다. 또한 최근 소개된 스트라타시스 로보틱 컴포지트 3D 데몬스트레이터는 지멘스의 PLM 소프트웨어와 모션 컨트롤, CNC 자동화 기술을 결합해 가볍지만 강한 부품 생산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지멘스 PLM 소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