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오라클은 2025년까지 100%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클라우드를 포함한 글로벌 시설을 운영함으로써 지속가능성에 대한 책임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새프라 캐츠(Safra Catz) 오라클 CEO는 “오라클은 고객으로 하여금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번에 새롭게 공개한 목표 역시 고객, 파트너 및 투자자가 공유하는 가치를 반영한다”고 덧붙였다. 오라클의 최신 재생에너지 목표는 다음과 같은 기존 지속가능성 우선순위에 기초한다. 오라클은 2025년까지 모든 차세대 오라클 클라우드 리전에서 100 %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고자 한다. 전자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오라클은 회계연도 2020년 동안 폐기된 하드웨어 자산을 250만 파운드 수집했으며, 이 중 99.6 %가 재사용 혹은 재활용됐다. 이뿐 아니라 2015년 이후 오라클 소유의 건물에서 매립지로 배출하는 폐기물의 양을 평방 피트당 25% 절감했다. 또한, 2025년까지 오라클의 주요 공급 업체 모두가 친환경 프로그램을 이행할 것으로 전망한다. 현재 유럽에 위치한 오라클 클라우드 리전은 이미 100% 재생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코보(Qorvo)의 신제품 DWM3000 RF 모듈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출처 : 마우저 이 고집적 디바이스는 DW3110 UWB(초광대역) 트랜시버 IC와 전력 관리, 세라믹 UWB 칩 안테나, 크리스탈을 결합해 자산 추적, 물류, 내비게이션, 공장 자동화와 같은 설계의 통합을 단순화한다. 마우저에서 제공하는 코보 DWM3000 RF 모듈은 IEEE 802.15.4a 및 IEEE 802.15.4z BPRF 모드를 준수하며, 10cm 정밀도로 사물의 위치를 인식 및 추적할 수 있게 해준다고 밝혔다. 이 장치는 850kbps 및 6.8Mbps의 데이터 속도를 지원하며, UWB 채널 5(6.5GHz)와 채널 9(8GHz)를 통해 전세계 UWB를 지원한다. 해당 모듈은 ToF(Time-of-Flight) 및 TDoA(Time-Difference-of-Arrival) 위치 체계를 지원해 내비게이션 및 추적 애플리케이션에서 고성능을 자랑한다. 이 소형 RF 모듈은 24핀, 23 mm x 13 mm x 2.9 mm 패키지로 제공되며 UWB 채널 5 작동에 있어서 코보 DWM1000과 핀과 크기가 호환된다. DWM3000 모듈은 설계 유
[헬로티] 정확한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솔루션으로 UWB 기술이 부상하고 있다. 특히 UWB와 블루투스 LE를 결합하면, 탁월한 위치 측정 성능은 물론, 블루투스 LE의 저전력 특성에 가까운 낮은 전력소모를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기고 최수철 노르딕 세미컨덕터 코리아 지사장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UWB, 정밀 위치 확인의 핵심 기술 전 세계를 위협하는 코로나 19가 발생하기 이전에는 실시간 위치 서비스, 즉 RTLS(Real Time Location Service) 기술은 초기 개발 단계에 불과했다. 또한, 3차원으로 위치를 확인하고, 보고하는 장치를 지원하는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의 방향 탐지 기능과 같은 무선 기술도 한창 개발 중이었다. 실제로 RTLS 시장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물류 회사들이 거대한 창고에 보관된 물건을 센티미터 수준의 정확도로 위치를 즉시 확인하고 보고할 수 있다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위치확인 서비스는 크게 확산되지 못했다. 이전의 위기와 마찬가지로 세계적인 전염병 대유행은 혁신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바
[헬로티] SK하이닉스는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기업용 SSD 제품인 ‘PE8110 E1.S’의 양산을 시작했다고 15일 발표했다. ▲기업용 SSD PE8110 E1.S 회사는 지난 3월 말 제품에 대한 내부 인증을 완료했고 5월 중 주요 고객에 제공할 예정이다. 앞서 SK하이닉스는 2019년 6월 세계 최초로 128단 4D 낸드 개발을 성공한 바 있다. 이후 회사는 128단 낸드 기반의 기업용 SSD 제품 세 가지(SATA SE5110, PCIe Gen3 PE8111 E1.L, PE8110 M.2)를 개발해 양산해왔다. 이어 이번 PE8110 E1.S의 양산을 통해 회사는 이 분야 제품군의 ‘완전한 라인업’을 구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완전한 라인업이란 128단 4D 낸드 기반의 기업용 SSD 제품 중 SATA 및 PCIe(E1.L, M.2, E1.S)의 폼팩터를 모두 갖춘 것을 의미한다. PE8110 E1.S는 이전 세대 96단 낸드 기반 제품인 PE6110 대비 읽기 속도는 최대 88%, 쓰기 속도는 최대 83% 향상된 제품이다. 이는 4GB 용량의 풀 HD급 영화 한 편을 1초 만에 저장하는 수준이다. 또한,
[첨단 헬로티] 수상 실적을 보유한 sensAI 솔루션, 더욱 확대된 파트너 에코시스템에 의해 지원 저전력 프로그래머블 솔루션 선도 기업인 래티스 반도체는 22일인 오늘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어 '래티스 sensAI™' 솔루션 스택을 위한 주요 성능과 설계 플로우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래티스 sensAI™ 스택은 네트워크 엣지에서 동작하는 스마트 기기에 저전력(1mW~1W) 특성과 올웨이즈온(always-on) 인공지능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포괄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한다. ▲래티스 반도체는 22일인 오늘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서 솔루션 소개를 담당한 잉 젠 첸(Ying Jen Chen) 래티스 반도체 아태지역 사업개발 디렉터는 "래티스 sensAI는 엣지에서 동작하는 저전력 솔루션이다. 스마트 IoT 기기에 10배 향상된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홈 컨트롤이나 초인종 및 보안 카메라, 산업용 등에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sensAI는 케라스(Keras) 등 확장된 신경망과 머신러닝 프레임워크 지원, 신경망 훈련용 양자화 및 분수 설정
[첨단 헬로티] 공장 자동화 및 첨단화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줄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19(이하 SF+AW 2019)’가 지난 27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시스템베이스는 SF+AW 2019에 참가해 저전력 무선통신 기술인 '로라(LoRa) 무선 컨버터', '락킹 USB 케이블’ 등 다양한 자사 개발 제품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 시스템베이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로라 장거리 무선 컨버터인 'uLory'와 'sLory' 솔루션을 소개했다. 시스템베이스 관계자들은 해당 솔루션을 직접 시연함으로써 여러 참관객의 주목을 받았다. 로라 장거리 무선 컨버터는 기지국 없이 사용할 수 있기에 통신비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에 설치 및 수리 비용이 절감된다. 현재 로라 무선 컨버터는 스마트팜, 공장, 선단, 야외 등 통신이 잘 터지지 않는 곳이나 공간이 넓은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 하나의 전시 품목인 락킹 USB 케이블은 잠금장치가 없는 일반 USB 케이블과 달리, 플러그를 꽂으면 USB 내부의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한다. 이는 충격이나 진동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USB 케이블이
[첨단 헬로티] 최헌정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 사장 미국 반도체 기업 맥심 인터그레이티드(Maxim Intergrated)는 혁신적인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및 기술을 통해 보다 작고 스마트하며 강력한 보안과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갖춘 시스템을 개발해 공급하고 있다. 최헌정 맥심 코리아 사장을 만나 2018년 성과와 2019년의 계획, 그리고 반도체 시장에 대한 전망을 들어봤다. ▲최헌정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 사장 Q. 2018년 글로벌·국내 시장에서의 맥심의 성과 어떠했나? 맥심은 회계연도 2019년 1분기(2018년 7월~2018년 9월)에 6억 3800만 달러 매출을 기록했다. 시장 부문별 매출 비중은 ▲컨슈머 28% ▲인더스트리 28% ▲오토모티브 21% ▲커뮤니케이션·데이터센터 20% ▲컴퓨팅 3%로 나타났다. 맥심은 특히 인더스트리와 오토모티브 사업 부문 내 웨어러블·히어러블, 인더스트리 4.0,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ADAS) 등 혁신을 주도하는 새로운 발전 분야에서 발전된 솔루션을 발표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어가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도 글로벌 사업성장의 기조와 마찬가지로 꾸준한 성장을
[첨단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7V ~ 45V 범위의 저전력 및 중간급 전력의 모터 제어 설계를 간소화하는 단일 칩 드라이버 STSPIN830 및 STSPIN840를 출시했다. 이 드라이버는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의료 기술, 가전 제품을 위해 유연한 제어 로직과 낮은 RDS(ON)의 전원 스위치를 갖추고 있다. 3상 브러시리스(Brushless) DC 모터를 구동하는 STSPIN830은 사용자가 직접 U, V, W PWM(Pulse-Width Modulated) 입력을 통해 통합 전원 스테이지의 3개의 하프 브리지(Half Bridge)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드 설정 핀을 갖추고 있으며, 각 게이트에 신호를 개별적으로 적용하게해 제어 유연성을 더욱 높였다. 각 인버터 레그(Inverter Leg)를 위한 전용 감지 핀은FOC(Field-Oriented Control)용으로 3개의 션트(Three-Shunt) 또는 단일 션트 전류 감지 설정을 간소화해준다. STSPIN840은 이미 잘 알려진 ST의 검증된 병렬 개념을 활용하여 2개의 브러시 DC 모터와 하나의 대형 모터를 구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첨단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SOT-223 패키지로 제공되는 CoolMOS™ P7 제품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DPAK과 드롭인 교체가 가등하도록 설계돼 표준 DPAK 풋프린트와 완벽하게 호환되며, 스마트폰 충전기, 랩탑 어댑터, TV 전원장치, 조명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의 CoolMOS P7 CoolMOS P7은 저전력 SMPS 시장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출시됐다. 성능과 사용뿐만 아니라 폼팩터도 향상됐다. 또한 가격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수퍼정션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고객들이 전반적인 BOM(bill of materials) 비용을 낮출 수 있다. DPAK 대비 비용 효율적인 SOT-223 패키지는 가격에 민감한 시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SOT-223 패키지 COoolMOS P7의 열 동작을 평가했다. SOT-223을 DPAK 풋프린트로 레이아웃했을 때 온도는 표준 DPAK 대비 최대 2-3℃ 상승했으며, 구리 면적을 20m㎟ 이상으로 하면 열 성능이 DPAK과 동일해진다.
[헬로티] 무선접속 솔루션 전문기업인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셀룰러 IoT(Internet of Things)를 위한 저전력 LTE 기술을 개발에박차를 가하고 있어 관련 업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노르딕은 "이번 개발 작업에 10년 이상 초저저전력(ULP: Ultra-Low Power) 무선기술 분야에서 구축한 노하우를 비롯해, 새로 채용한 핀란드의 셀룰러 R&D 엔지니어 그룹(노키아, 에릭슨, 모토로라, 브로드컴 출신들로 구성)의 기술력과 전문성을 망라했다"고 말했다. 저전력 셀룰러 IoT는 수많은 마켓 및 애플리케이션 분야에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적용 분야도 스마트 유틸리티 미터링, 자산 및 사람(어린이 등) 추적, 차량 관리, 빌딩 보안 및 안전, 원격관리, 스마트 자동판매기, 리테일, 헬스케어, 의료 모니터링, 실시간 교통 모니터링, 웨어러블, 실내외용 GPS 내비게이션, 스마트 홈 기술, 오토모티브(예를 들면, 실제 운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험), 산업 및 농업 자동화 등 매우 다양하다. 노르딕의 셀룰러 IoT를 위한 로드맵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동통신 표준화를 위해 결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한국 대표 양재훈, 이하 ADI)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용 저전력, 고성능 Radio 트랜시버 'ADF7030-1'를 출시했다. ADF7030-1은 수신기의 감도가 뛰어나고 신호 간섭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대기 모드(sleep mode)에서 낮은 전류 특성을 포함한 저전력 모드를 제공한다는 게 ADI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 제품은 2GFSK 변조 방식을 사용해 서브GHz ISM 대역에서 0.1kbps~300kbps의 데이터 속도로 협대역 및 광대역 작동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무선 M-Bus(WMBUS)와 IEEE 802.15.4g 기반의 프로토콜도 지원한다. 특히, 재시도 횟수와 패킷 손실을 줄이면서도, 안정적인 무선 Radio연결이 가능하며 배터리 수명까지 늘어난다. 수신 감도를 강화해 링크 버짓(link budget)을 극대화하고, 신호 간섭에 대한 영향을 제한하여 시스템 안정도를 향상시켰다. 이 제품은 스마트 웨이크 모드(smart wake mode)를 제공해 전체적인 전력 소모를 낮춰 배터리로 구동되는 시스템에서 뛰어난 RF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배터리 수명까지 연장시킬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도 메모리가 유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무선 시스템온칩 'BlueNRG-1'을 전격 출시했다. BlueNRG-1은 전력 효율성과 무선 성능을 결합해 고속 성장세에 있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 시장에서 대량 생산 제품에 최적화됐다고 ST 측은 말했다.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은 전력 사용이 제한적인 스마트 센서나 커넥티드 제품에 이상적인 기술로 알려져 있다. 웨어러블 기기, 리테일 비콘(Retail Beacon), 무선도어잠금장치(Keyless Entry System), 스마트 리모컨, 자산 추적, 산업 및 의료 모니터를 이러한 제품으로 들 수 있다. ABI 리서치에 따르면, 저전력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IoT 제품의 출하량은 블루투스 저전력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탑재된 블루투스-지원 태블릿 및 스마트폰의 확산 덕분에 2021년까지 연평균 34%의 성장률로 14억 개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저전력 블루투스 기기는 배터리 수명 극대화를 위해 슬립 및 대기 모드의 전력 소모를 매우 낮게 유지하는 것처럼 전력 효율적인 구동이 필수적이다. 사용 가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올해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를 통해 저전력 장거리 통신기술(LPWA) 솔루션의 허가 주파수 내 라이브 시연이 진행된다고 전했다. 관람객은 NB-IoT(Narrow Band IoT)), EC-EGPRS(Extended Coverage EGPRS), Cat-M(LT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 3종의 보완적 기술 표준으로 뒷받침된 다양한 솔루션을 체험하게 된다. GSMA의 ‘모바일 사물인터넷(IoT) 이니셔티브’는 이들 표준을 지지하는 모바일 업계와 보조를 맞춰 왔다. 3개 표준은 3GPP의 ‘릴리즈13’으로 채택됐다. 2016년 상용 솔루션이 제공되면 시장 단편화를 제거하고 시장 확신을 확보하는 한편, 초저가형 모바일 사업자 연결 기기 제공을 통한 IoT 가속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알렉스 싱클레어(Alex Sinclair) GSMA 최고기술책임자(CTO)는 “LPWA는 사물인터넷의 떠오르는 고성장 분야지만 효과적인 확장과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확실한 성
2030년까지 5억개 이상의 이더넷 포트가 자동차에 탑재될 듯 브로드컴 코리아는 지난달 3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PHY 통합 차세대 BroadR-Reach® 자동차 이더넷 스위치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이날 공개한 자동차 스위치 솔루션 28nm 디바이스는 독특한 디자인을 사용하여 과거 제품 대비 30%의 전력을 절감, 업계 최소 수준의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 브로드컴 티모시 라우 자동차 사업부 어소시에이트 디렉터 브로드컴은 지난달 3일 서울 대치동 브로드컴 코리아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자동차 중앙 게이트웨이,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인포테인먼트, 헤드유닛 및 정밀한 시간 제어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PHY 통합 차세대 브로드알-리치(BroadR-Reach) 자동차 이더넷 스위치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이날 공개한 자동차 스위치 솔루션은 28nm 디바이스는 독특한 디자인을 사용하여 과거 제품 대비 30%의 전력을 절감, 업계 최소 수준의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그림 1). 그림 1. 연결 비용의 80%와 케이블 무게를 30%까지 줄일 수 있다 티모시 라우(Tim Lau) 브로드컴 인프라스트럭처 & 네
15W, 30W의 저전력 제품인 ‘SPB-015/030 시리즈’는 라이즈 클램프 타입의 단자대를 적용하여 기존 스크류 타입의 단자대 보다 쉽고 편리한 결선이 가능하다. SPB-015 시리즈 경우, 가로 폭이 최소 22.5mm로 슬림하고 콤팩트한 사이즈를 제공한다. 이런 이유로 협소한 공간에도 취부가 용이해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오토닉스는 이번 라인업 추가를 시작으로 180W, 480W 등 다양한 출력의 S.M.P.S. 제품도 출시할 계획이다. 임근난 기자(fa@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