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그리드원, 기술보증기금 RPA 확산 프로젝트 참여 인공지능 솔루션 전문기업 그리드원이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의 RPA 확산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27일 밝혔다. 그리드원은 지난해 공공기관 최초로 RPA를 활용한 가상화 방식 업무 자동화 시스템을 기보와 함께 구축한 바 있다. RPA 도입 초기부터 업무 전반에 걸쳐 자동화 기술을 적용할 것을 염두에 두고 안정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가상화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그리드원은 이번 2차 확산 사업에서 자사의 지능형 RPA 솔루션인 ‘오토메이트원(AutomateOne)’을 활용해 40개의 업무를 자동화할 계획이다. 1차 사업에서 연간 2만 7천시간에 달하는 업무량을 줄인 만큼 2차 사업에서도 업무 공백 최소화, 수작업 오류 최소화라는 기보의 목표 달성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리드원은 특히, 공공기관 최초로 RPA를 전사적으로 확대하고자 하는 기보의 프로젝트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현재 기보 사내의 과제 발굴 워크숍, 사용자 실습교육, 과제 경진대회 등을 함께 기획하고 있다. 기보 관계자는 “그리드원과의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 협업을 통해
[첨단 헬로티] SK텔레콤, 롯데 e커머스, 두산, LG U+ 등의 현업 RPA 전문가 300여명 양성 RPA 기업 유아이패스코리아(UiPath Korea)가 지난 17일부터 양일간 주요 고객사 현업들과 함께 ‘아카데미 라이브(Academy Live)’를 열고, RPA를 전혀 사용해보지 않은 비개발자가 자신의 업무를 자동화해 볼 수 있는 체험형 교육세션을 진행했다. ▲유아이패스코리아 아카데미 라이브 현장 유아이패스는 2020년부터 1인 1로봇 시대를 여는 주체인 현업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보다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카데미 라이브는 조직의 구성원 누구든 직접 자동화 프로세스를 설계해 로봇을 사용하도록 하는 입문용 RPA 교육 및 실습 프로그램이다. 기존에 RPA 개발 경험이 없는 현업들도 단 3시간의 강의를 통해 기본적인 RPA 활용법을 습득해 간단한 업무를 직접 자동화해볼 수 있다. 아카데미 라이브는에서는 현업들이 사용하면 유용한 업무를 주제로 교육을 진행한다. 문서를 분석한 후 특정 정보만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크롤링(Crawling) 및 스크레이핑(Scraping) 등의 간단한 자동화를 RPA로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유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