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는 인피니언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지멘스의 임베디드 차량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AUTOSAR Classic 플랫폼 R20-11과 인피니언의 AURIX TC4x 마이크로컨트롤러(MCU)를 결합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를 통해 자동차 OEM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에 필요한 차세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생산 준비 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자동차 산업에서 자율 주행, ADAS, 전기화, 승객 편의,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컴퓨팅 성능, 기능 안전, 사이버 보안이 요구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시스템 개발 흐름에 맞는 지능형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AURIX TC4x와 같은 고급 MCU가 필수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지멘스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팀과 인피니언은 주요 고객인 BMW와 협력해 임베디드 ECU(Electronic Control Unit)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또한 지멘스와 OEM은 지멘스의 첨단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툴을 사용해 SDV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해 협력했다. 프랜시스 에반스 지멘스 라이프사이클 협업 소프트웨어 부문 수석 부사장은 “
차세대 AURIX TC4x 마이크로컨트롤러 제품군 샘플 공급 시작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차세대 e-모빌리티, ADAS, 자동차 E/E 아키텍처, 보급형 AI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AURIX TC4x 28nm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샘플 공급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TC4x 제품군은 기존의 주력 제품군인 AURIX TC3x MCU를 위한 상향 마이그레이션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차세대 TriCore 1.8과 AURIX 가속기 세트를 사용한 확장 가능한 성능 향상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는 다양한 AI 토폴로지의 요구를 충족하는 SIMD 벡터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인 새로운 PPU(parallel processing unit)을 포함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간 제어 및 레이더 후처리에 사용할 수 있다. 확장 가능한 제품군 컨셉으로 공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활용할 수 있어 플랫폼 소프트웨어를 절감할 수 있다. 도메인 및 영역 기반 E/E 아키텍처의 기능 통합 요구를 포함해 다양한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AURIX TC4x는 e-모빌리티와 안전 시스템을 통한 자율주행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새로운 SOTA(Softwa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최근 출시된 버라이즌의 USB-C 벽면 급속 충전기에 자사의 EZ-PD PAG1(Power Adapter Generation 1) AC-DC 파워 솔루션이 채택됐다고 밝혔다. Xentris Wireless에서 제조한 버라이즌의 새로운 충전기는 OTG 디바이스를 빠르게 충전하고 호환 디바이스에 최대 45W의 급속 충전을 제공한다. EZ-PD PAG1은 2-칩 AC-DC 파워 솔루션으로 USB-PD 기능을 통합해 컴팩트한 충전기를 가능하게 한다. 강력한 성능의 이들 충전기는 모든 USB-C 충전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으며 USB-C 포트가 있는 최신 및 기존 디바이스를 모두 충전할 수 있다. Xentris Wireless의 CEO인 데이비드 베일리는 "EZ-PD PAG1 칩셋은 SR(이차 정류)과 USB PD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고성능 AC-DC 벽면 충전기에 매우 적합하다"며 “이 올인원 솔루션을 사용해 PCB 풋프린트와 BOM을 크게 줄이고 소형화된 충전기로 더 높은 전력을 공급해 디바이스를 빠르게 충전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한다"라고 말했다. 인피니언의 EZ-PD PAG1 1차 및 2차 컨트롤러 제품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는 클라우드 인증서 프로비저닝과 IoT 디바이스-클라우드 인증을 자동화하는 CIRRENT Cloud ID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사용하기 쉬운 서비스로 칩에서 클라우드까지 신뢰 체인을 연장하고 작업을 수월하게 하고 보안을 높이며, 기업의 총 소유비용을 낮춘다. Cloud ID는 산업용, 컨슈머, 헬스케어, 의료 및 제조 분야의 클라우드 연결 제품을 제조하는 회사에 적합하다. 인피니언의 소프트웨어 및 에코시스템 부사장인 롭 코넌트(Rob Conant)는 “IoT 제품 회사들은 수년 전부터 제조, 보안 및 프로비저닝을 간소화하기 위해 애써왔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Cloud ID는 인피니언의 임베디드 보안을 기반으로 했으며, CIRRENT 클라우드 서비스를 결합해 칩에서 클라우드까지 신뢰 체인을 연장하고 고유한 방식으로 제조, 보안 및 프로비저닝 문제를 해결한다. 당사는 고객이 보안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비용, 시간 및 인력을 절약하는데 주력한다”고 말했다. 기존에는 IoT 디바이스 제조 업체들이 IT 복잡성과 보안 사이에서 절충을 해야 했다. 제조 라인에 하드웨어 보안 모듈을 설치하고 안전한 I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전동화와 커넥티비티가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사이버 공격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 제조사들이 텔레매틱스 데이터를 적절히 보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차량용 보안 컨트롤러 SLI37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SLI37은 설계하기 쉽고 신뢰할 수 있는 트러스트 앵커로 5G 지원 eUICC (eCall), V2X 통신, 자동차 엑세스나 SOTA 업데이트 같이 보안이 중요한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한다. SLI37은 고유의 견고한 칩 디자인으로 확장된 온도 범위와 17년의 수명을 제공하며, 탁월한 품질로 고장률이 매우 낮다. 가장 큰 이점은, 자동차 제조사가 한 번의 검증과 설계 작업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이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1억 개 이상의 eSIM이 출하되었으며, 인피니언의 SLI 시리즈는 현장에서 그 신뢰성을 입증하고 있다. 이제 CC EAL 6+및 AEC-Q100을 포함한 차량에 요구되는 모든 시험 규격과 인증을 추가로 제공한다. 인피니언의 장기적인 제품 공급과 품질 지원으로 자동차 제조사들은 보안 위험을 제거하면서 차세대 커넥티드 카를 설계할 수 있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는 차량용 전류 센서 XENSIV TLE4972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코어리스 전류 센서는 인피니언의 검증된 홀 기술을 적용해 정밀하고 안정적인 전류 측정을 달성한다. 컴팩트한 디자인에 진단 모드를 제공하는 TLE4972는 하이브리드 및 배터리 구동 자동차의 트랙션 인버터 같은 xEV 애플리케이션과 배터리 메인 스위치에 적합하다. 고유한 온도 및 스트레스 보정의 결과로 TLE4972는 자기 코어로 인한 부정적 영향 없이 첨단 센싱을 달성한다. 차동 센싱 구조이므로 센서를 부유 자기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코어나 차폐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EEPROM을 통합함으로써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에 따라 센서를 맞춤화하며 2kA에 이르는 측정 범위를 지원한다. 시스템 보호를 위해 센서에는 1µs 미만의 정격 응답 시간으로 과전류 감지를 하는 2개의 개별 출력 핀이 있다. 고객은 감도와 과전류 제한을 프로그래밍하고 시스템 요구 사항에 맞게 센서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감도 리프트와 과열에 따른 오프셋을 합친 것이 1.6% 미만이다. TLE4972는 자기 센싱 원리를 사용해서 전력 손실이 극히 낮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는 스타트업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현대차 그룹과 MOU를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 협약에서 인피니언은 스타트업에 제품 차원의 기술 전문성을 지원하고, 싱가포르에 있는 인피니언 코이노베이션 스페이스에서 긴밀하게 협력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중점 분야는 미래 모빌리티, 스마트 시티 및 스마트 팩토리 애플리케이션이다. 싱가포르에 위치한 코이노베이션 스페이스는 스타트업에 1년 동안 R&D 장비, 제조 설비 및 인피니언의 첨단 기술, 엔지니어링 전문지식, 글로벌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도 이와 유사한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인피니언이 매년 개최하는 OktoberTech Asia Pacific 2021 행사에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경영이사회 위원이자 CMO인 헬무트 가젤(Helmut Gassel) 박사는 “전동화와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는 환경에서 창의성과 혁신을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 분야 간에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인피니언은 통합하기 쉬운 반도체 솔루션과 시스템 전문성 및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스타트업 에코시스템을 육성하고 스타트업이 지속가능
헬로티 전자기술 기자 | 최근 몇 년 동안 비접촉 결제의 사용이 증가해왔으며, 코로나 팬데믹으로 비접촉 기술 사용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결제 시장이 비접촉 솔루션으로 빠르게 전환함에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듀얼 인터페이스 점유율이 2021년 76%에서 향후 5년 안에 91%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는 최신 40nm 기술 기반의 새로운 SECORA Pay 결제 포트폴리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인피니언은 지난 8년 동안 결제 IC 시장을 선도해왔으며, 현재 48%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플러그-앤-플레이 솔루션은 비접촉 결제 기술의 광범위한 전문성과 인피니언의 SOLID FLASH 칩 플랫폼을 채택해 결제 카드와 디바이스 솔루션의 최신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이 솔루션은 표준 결제 카드(SECORA Pay S)와 다중 애플리케이션 카드(SECORA Pay X)를 위한 새로운 애플릿과 맞춤형 부품 및 어떤 디바이스든 결제 디바이스(SECORA Pay W)로 변신시키는 기성 부품을 포함한다. 또한, 해외 사용 및 국내 사용을 위한 애플릿을 제공한다. 이들 솔루션은 앞선 비접촉 및 개인화 성능을 제공하므로 Mast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는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차량용 하프 브리지 전력 모듈 EasyPACK 2B EDT2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750V EDT2 디바이스의 최대 전력은 인버터 조건에 따라서 50kW 및 230Arms에 달하므로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의 인버터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지난 10년 동안 인피니언은 산업용 및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다양한 칩셋을 채택한 5000만 개 이상의 EasyPACK 모듈을 출하했다. 이 패키지에 EDT2(Electric Drive Train) 기술을 적용해 오토모티브 인증을 받음으로써 인피니언은 EasyPACK 모듈 제품군의 적용 범위를 트랙션 인버터로까지 확대하게 됐다. EDT2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경부하 조건에서 더 높은 효율을 달성한다는 것이다. EDT2 칩은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다른 제품에 비해 손실을 크게 낮추며, 인피니언의 이전 세대 칩보다 20% 더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 EasyPACK은 모듈 통합을 간소화한 플러그-앤-플레이 방식을 갖는다. 이뿐 아니라 기존의 쓰루홀 디스크리트 패키지나 HybridPACK 1 패키지와 비교하여 더 이상 핀을 솔더링할 필요가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등에 따라 고성능 반도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술 경쟁력을 갖춘 미국의 거대 반도체 기업들이 미래차 플래포머(Platformer)로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외 솔루션 의존도가 높은 국내 자동차 기업의 기술 종속이 우려되는 만큼 경쟁력 확보를 위한 개발·협력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이 27일 공개한 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전장 아키텍처 고도화로 현재 차량에 장착된 수십 개의 제어기 수는 감소하고, 기능과 성능이 강화된 3∼4개의 제어기로 통합되면서 소프트웨어와 고성능 반도체 역량의 중요성이 커졌다. 이에 미국의 거대 반도체 기업들은 기존 완성차 기업이나 마이크로콘트롤유닛(MCU) 중심의 차량용 반도체 기업보다 높은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시장 지배력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2015년부터 자율주행 플랫폼 '엔비디아 드라이브' 시리즈를 출시 중이며, ARM 인수를 추진 중이다. 퀄컴은 작년 미국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자율주행 플랫폼 '스탭드래곤 라이드'를 공개했으며, 자율주행 사업 다각화를 위해 기술기업 비오니어 인수를 추진 중이다. 보고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는 시장 출시 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사전 테스트를 거친 산업용 레퍼런스 디자인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레퍼런스 디자인은 22kW의 정격 전력을 제공하고 380~480V 3상 그리드에서 직접 동작하는 범용 모터 드라이브다. 맞춤화를 위해 레퍼런스 디자인을 완전히 재사용하며, 고객은 실제 동작 조건에서 인피니언 제품을 평가한다.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은 펌프, 팬, 컴프레서 및 컨베이어 벨트 등이다. 새로운 레퍼런스 디자인은 인피니언의 최신 기술을 하나의 시스템에 결합했다. 여기에는 고전류 및 고전력 밀도를 위한 EasyPIM 3B IGBT7 모듈 FP100R12W3T7_B11, 최적의 EMI 성능과 저전력 손실을 달성하는 EiceDRIVER 컴팩트 1ED3131MC12H 및 최소 전력 손실로 고전류를 측정하는 XENSIV 전류 센서 TLI4971-A120T5가 포함된다. 1700V 차단 전압의 CoolSiC MOSFET IMBF170R1K0M1이 보조 전원 공급장치의 중심 부분이다. 또한, 시스템은 제어용 XMC4800 및 통신용 XMC4300 마이크로컨트롤러 2개를 포함하며 모터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안경에 증강 현실(AR)이 구현되거나 차 앞유리에 유용한 정보를 표시해 안전 운전을 안내할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의 새로운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스캐너 칩셋이 이들을 가능하게 한다. MEMS 미러와 MEMS 드라이버로 구성된 MEMS 스캐너 칩셋은 소형 크기와 낮은 전력 소모로 웨어러블이나 차량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애플리케이션에 증강 현실이 도입되도록 한다. 인피니언의 자동차용 MEMS 제품 라인 책임자인 촬스 찬(Charles Chan)은 “증강 현실 솔루션은 유용한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해서 실제 환경을 풍부하게 하고, 업무나 놀이에 있어 사람을 도울 뿐 아니라 특히 도로 상에서 사람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전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안경 위에 지도, 인포테인먼트, 메시지 같은 것들을 표시해서 가까운 수퍼마켓이나 주차 공간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준다. 운전자 앞의 작은 영역이 아니라 차량 앞유리 전체에 경로 내비게이션에서부터 운전자 지원 시스템에 이르는 다양한 유용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의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운전자의 편의를 개선하기 위한 차량용 센서 개발이 활발하다. 크레딧 스위스 조사에 따르면, 차량용 반도체 시장은 2020년 기준 약 380억 달러(약 42조3500억 원)에 달한다. 전기차를 포함한 친환경차 수요가 지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는 가운데, 차량용 반도체 수요 역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차량 내 삽입되는 센서는 차량 내·외부 환경 특성을 감지하고 디지털화해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이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황을 계산하고 판단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한 예로, 최근 현대모비스는 운전자의 뇌파를 측정해 건강 및 심리, 졸음 여부 등을 확인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한 바 있다. 여기서 센서는 뇌파를 감지해내는 주된 역할을 해낸다. 이처럼 센서가 차량 내에서 감지하는 정보량은 실로 방대하다. 특히 차량용 반도체를 생산하는 기업들은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전기차, 자율주행 등 미래차에 탑재될 센서를 지속해서 연구 중이다. 인피니언, 탑승객 안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는 인캐빈(In-cabin) 센서 시장을 주목했다. 특히 인피니언은 차량용 인캐빈 모니터링 시스템(IC
헬로티 전자기술 기자 | 차량용 반도체의 가치가 날개를 달았다. 차량용 반도체는 자동차의 엔진·변속기 등 동력전달체계인 파워트레인, 계기판 등을 포함한 자동차 전자장치, 인포테인먼트 구현을 목적으로 하는 비메모리 반도체다. 오늘날 자동차 업계는 코로나19로 발생을 기점으로 자동차 수요 예측에 실패하면서 전에 없던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 허덕이고 있다. 여기에 기존 내연차 생산과 함께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수요 급증도 상황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됐다. 이처럼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임에 따라,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차량용 반도체 기업 동향이 주목되고 있다. 주요 기업으로는 NXP(네덜란드), 인피니언(독일), 르네사스(일본), 텍사스인스트루먼트(미국, 이하 TI),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스위스, 이하 ST) 등이다. 이 기업들은 세계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50% 이상을 점유하며,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2019년 옴니아가 조사한 차량용 반도체 시장 업체 점유율을 살펴보면, NXP가 전체 시장 가운데 21%를, 인피니언이 19%, 르네사스 15%, TI 14%, ST 13% 순으로 차지했다. 차량용 반도체 매출 비
[헬로티] 와이드 밴드갭(WBG) 소재인 GaN 기반의 전력 스위치는 뛰어난 효율과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가능하게 해 파워 일렉트로닉스의 새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된다. ▲CoolGaN IPS TIQFN 28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새로운 CoolGaN IPS 제품군을 출시해 자사의 WBG 전력 디바이스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IPS 제품군의 첫 제품인 하프 브리지 및 싱글 채널 제품은 충전기와 어댑터, SMPS 같은 중저전력대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600V CoolGaN 하프브리지 IPS IGI60F1414A1L은 중저전력대의 작고 가벼운 디자인에 적합하다. 열적으로 향상된 8x8 QFN-28 패키지로 제공되며, 매우 높은 전력 밀도의 시스템을 가능하게 한다. 이 제품은 2개의 140mΩ/600V CoolGaN e-모드 HEMT 스위치에 EiceDRIVER 제품군의 전기적으로 절연된 하이 사이드 및 로우 사이드 게이트 드라이버를 결합했다. IGI60F1414A1L은 2개의 디지털 PWM 입력이 있는 절연 게이트 드라이버로 인해 제어가 쉽다. 절연 기능을 통합하고, 디지털과 전원 접지를 분리하고, PCB 레이아웃 복잡성을 낮춰 개발 시간을 단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