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CJ올리브네트웍스가 비즈니스 데이터 제공 전문기업 쿠콘과 API 플랫폼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API란 운영체제 및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API 이용하면 표준화된 코드 작성이 가능하고, 빠른 프로세스 처리와 개발자들과의 협업을 용이하게 만들어 준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API를 활용해 기존 메시징 서비스 중심에서 API 기반 서비스형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해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재택근무가 강화되고 비대면 활동이 확대되면서 음성, 영상, 문자, 채팅, 파일 공유 등 통합 서비스가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통신 플랫폼의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CJ올리브네트웍스는 내년 상반기 중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 통신 플랫폼 ‘API 플렉스’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쿠콘과의 협약을 통해 ▲API 플랫폼 기술 개발 ▲비즈니스 모델 발굴 ▲서비스 교차 공급 등을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특히 CJ올리브네트웍스가 제공하는 문자, 카카오톡, 푸쉬 등 커뮤니케이션 관련 API 서비스 상품 외에도 쿠콘의 기업 및 금융 API 상
헬로티 함수미 기자 | Basler Korea는 오는 10월 20일 오후 3시에 CXP 2.0의 세계에 대한 웹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 Basler CoaXPress 2.0 (CXP-12)을 지원하는 제품을 활용해 플러그 앤 플레이의 비전 시스템을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하는 방법을 새로운 제품과 액세서리 그리고 소프트웨어와 함께 자세히 소개한다. 향후 머신비전의 핵심 동향 중 하나는 CoaXPress 2.0 구성요소들을 비전 시스템에 통합시키는 것이다. 머신비전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은 이 인터페이스는 간단한 설치와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에 힘입어 최근 더욱더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웹 세미나에서 CoaXPress 2.0 신제품과 더불어, 액세서리, pylon 카메라 소프트웨어 제품군을 효율적으로 조합한 심플한 구성의 멀티 카메라 시스템을 예로 고급 촬영 용도에 요구되는 속도와 화질 구현 방법을 설명한다. Basler Korea 관계자는, "이번 웹 세미나에서는 Basler 에서 제공하는 boost 제품 포트폴리오를 선택함으로써 얻는 이점과 큰 대역폭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장거리 케이블 통신이 가능한 CoaX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코그넥스는 가장 난이도 높은 비전 애플리케이션의 결함 검사를 위한 PC 기반 비전 소프트웨어인 ‘비전프로(VisionPro) 10’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비전프로 10은 스마트라인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GUI(퀵빌드) 환경이 개선되었다. 또한 ID 툴 업데이트, 메모리 및 리소스 관리 개선, 코그넥스 딥러닝과의 연동, C# 및 C++ API가 추가됐다. 비전프로 10은 종합적인 개발 환경에 업계 최고의 비전 기술을 결합한 소프트웨어로 물체의 위치판별, 결함 검사, 계측 및 식별을 비롯한 까다로운 비전 문제를 처리할 수 있다. 직관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방대한 툴 프로토타입(시제품)을 활용해 맞춤형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핵심 기능에 규칙 기반, 지능적인 알고리즘을 이용해 픽셀 크기보다 더 작고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 툴과 딥러닝 기술을 포함해 비전 과제를 지원하기 위한 미래 지향적인 설계를 갖추고 있다. 비전프로 10 스마트 툴은 PC 비전 환경에서 업계 최초로 제공되는 솔루션이다. 스마트 툴에는 2D 비전과 딥러닝 기술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규칙 기반 비전 및 머신 러닝에서 최상의 기능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코어에이아이의 CIO가 대화형 AI 가상 비서 플랫폼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체크리스트를 소개했다. 대화형 AI 가상 비서 플랫폼은 단순한 커뮤니케이션 도구에서부터, 복잡한 정보 관리 시스템의 자동화에 이르기까지 비즈니스의 토대를 만든다. 기업들이 사용하는 ERP, HR, 영업관리 등의 시스템과 코어 뱅킹이나 물류관리 등 각 산업별 주요 애플리케이션에는 수많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동되고 있다. 직원들은 분산 팀, 파트너 및 공급업체와 협업하기 위해, 이메일과 메신저, 온라인 회의 솔루션과 같은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협업 툴과 파일 공유 서비스, 업무용 애플리케이션, 메신저 등을 사용하면서 업무 생산성이 오히려 저하되고 있다. 사용자의 편의에 맞춰 모바일 앱 개발은 물론, 간편한 UI 설계로 사용자 환경을 개선하는 등 애플리케이션을 단순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이다. 대화형 AI 가상 비서 플랫폼은 간단한 메시징 기반 인터페이스에서 ‘봇’이 대응하는 방식이며, API를 통해 다양한 업무용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관련 작업을 수행해, 개인 비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반복적인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자일링스(Xilinx)의 Kria KV260 비전 AI 스타터 키트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Kria KV260을 사용하면 AI 개발 경험이 없는 설계 엔지니어도 FPGA 플랫폼에 설계와 알고리즘을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 키트는 가속화된 비전 애플리케이션의 지원을 위해 특별 제작됐다. 소비자 및 산업 개발자가 FPGA 또는 FPGA 도구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1시간 이내에 시작 및 실행할 수 있다. 마우저에서 제공하는 Kria KV260 비전 AI 스타터 키트는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서 AI 모델, FPGA 설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추상화 수준에서 선호되는 설계 환경을 통해 사용자 지정 및 차별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아웃오브더박스(out-of-the-box, 즉시 사용 가능한) 플랫폼이다. 이 키트는 Kria K26 SOM(system-on-modules)을 이용해 대량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Kria KV260 비전 AI 스타터 키트에는 최대 8개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다중 카메라 지원, 3개의 MIPI 센서 인터페이스, USB 카메라, 내장 ISP 컴포넌트, HDMI
[헬로티]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차세대 인터페이스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ompute Express Link, 이하 CXL)' 기반의 D램 메모리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출처 :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이번에 개발한 CXL 기반 D램 메모리를 인텔의 플랫폼에서 검증을 마쳐 차세대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대용량 D램 솔루션의 기반 기술을 확보했으며, 글로벌 주요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업체들과 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응용 분야가 늘어나면서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데이터센터, 서버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DDR 인터페이스로는 시스템에 탑재할 수 있는 D램 용량에 한계가 있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지속해서 요구해 왔다. CXL은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에서 CPU와 함께 사용되는 가속기, 메모리, 저장장치 등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된 인터페이스로 기존 컴퓨팅 시스템의 메모리 용량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D램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로 대용량 SSD에 적용되는 EDSFF(Enterprise &a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산업용 애플리케이션과 범용 광커플러 대체를 위한 새로운 고성능 IC 시리즈로 듀얼 채널 디지털 절연기 STISO621를 출시해 양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출처 : ST STISO621은 ST의 6kV 두꺼운 산화물 기반의 갈바닉 절연 기술을 활용해 3ns 미만의 펄스 왜곡 및 최대 100Mbit/s의 속도로 두 개의 절연 도메인 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두 개의 독립적인 단방향 채널을 사용하는 이 디바이스는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UART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한다. 각 채널에 대한 슈미트 트리거(Schmitt-Trigger) 입력을 통해서는 뛰어난 노이즈 내성을 보장해준다고 ST는 밝혔다. 갈바닉 방식으로 상호 절연된 STISO621의 양 측면은 각자 독립적인 공급 전압을 가지고 있다. 3V~5V에 이르는 넓은 전압 범위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3.3V와 5V 회로 간의 레벨 변환이 가능하다. 보통 65kV/µs인 공통모드 과도응답 내성(CMTI: Common-Mode Transient Immunity)으로는 혹독한 환경의 높은 스위칭 과도 현상으로부터 저전압 측을 보호한다. STISO62
[헬로티] 머신비전 카메라 인터페이스의 발전 머신비전 카메라 인터페이스의 선택은 장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머신비전 장비는 더 높은 검사정도와 더 빠른 검사를 하기 위해 진화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 또한 더 높은 해상도와 더 빠른 속도로 발전해 왔으며, 넓은 대역폭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머신비전 시스템에 도입하게 되었다. 아래 <표 1> 머신비전 인터페이스 비교표를 참고하면 수치를 통해 비교할 수 있다. 표 1. 카메라 인터페이스 비교표 머신비전 카메라 인터페이스 선택 머신비전 카메라 인터페이스는 아날로그부터 광 케이블까지 다양하다. 검사할 때 필요한 카메라 해상도, 검사 속도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정해야 한다. 위 그래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데이터량이 많이 필요한 경우에는 10GigE, CoaXPress, USB 3.2 Gen2가 유리하다. 현재까지 머신비전 시장에서 많이 쓰인 인터페이스는 CameraLink 이지만, 의료장비와 같이 소형일 경우에는 가격 대비 성능이 높은 USB 인터페이스를 추천한다. 케이블 길이의 장점과 구성품의 가격, 편의성을 생각하신다면 GigE 인터페이스를 선택 하는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Intel Agilex(인텔 애질렉스) F-시리즈 FPGA개발 키트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Intel Agilex F-Series FPGA Dev Kit 이 키트의 PCI-SIG 호환 개발 보드는 PCIe(PCI Express) 4.0 설계 장치의 개발 및 테스트를 위해 개발됐다. 마우저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설계 환경을 제공하는 이 키트는 HPS(하드 프로세서 시스템)를 통해 SoC의 기능과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고 전했다. 마우저에서 제공하는 Intel Agilex F-시리즈 FPGA 개발 키트는 2486구 BGA 패키지에 1400KLE를 갖춘 Agilex-F-시리즈 FPGA에 장착된다. 본 확장 개발 키트는 4개의 DDR4 DIMM 소켓과 2개의 DDR4 DIMM 모듈을 포함한다. 이 키트의 HPS 인터페이스는 UART, 이더넷, SD 카드 소켓, eMMC 및 Mictor 커넥터를 지원한다. 또한 이 키트는 P-Tile 송수신기에 연결된 PCIe x16 Gen 4 골든 핑거도 갖췄다고 마우저는 밝혔다. 통합 소프트웨어 자산에는 설계 예제, 보드 설계 파일, 설명서 및 Intel Quartus Prime Pro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AI)과 초저전력 이미지 캡처 및 인식 기능을 결합해 차세대 사물인터넷(IoT) 엔드포인트를 구현하는 RSL10스마트 샷 카메라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출처 : 온세미컨덕터 RSL10스마트 샷 카메라는 감시 카메라, 제한 구역, 공장 자동화, 스마트농업, 스마트홈 등을 포함한 초저전력 IoT 엔드포인트에 AI 기반 이미지 인식 기능을 제공한다. 동반(companion)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RSL10스마트 샷 카메라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클라우드 기반의 AI 지원 객체 인식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 RSL10스마트 샷 카메라는 초저전력 블루투스 저에너지 기술을 제공하는 RSL10 SIP와 ARX3A0 모노65° DFOV IAS 모듈 등 온세미컨덕터의 여러 혁신 기술을 탑재하고 있다. ARX3A0 모노65° DFOV IAS 모듈은 ARX3A0 CMOS 이미지 센서를 기반으로 360fps 모노 이미징을 제공하는 콤팩트 카메라 개발에 사용되는 소형 프로토타입이다. 첨단 모션·환경 센서와 전력·배터리 관리로 보완되는 이 기술은 이미지를 자율적으로
[헬로티] Advanced Energy Industries가 새로운 Extelsys CoolX3000 모듈식 구성 가능한 전력 플랫폼을 발표했다. ▲CoolX3000 다양한 의료 및 산업용 적용을 위해 설계된 이 3000W 전력 공급 장치 플랫폼은 높은 전력 밀도와 유연성을 제공한다. 다른 적용제품과 연결해 Industry 4.0 이행을 위한 디지털 통신 및 제어 기능을 할 수 있다. 특수 산업 장비뿐 아니라 의료 진단, 영상과 치료 장비, 생명 과학 시스템, 임상 화학에 사용할 수 있는 CoolX3000은 CX600, CX1000 및 CX1800 시리즈를 포함해 구성 가능한 전력 공급 장치인 AE의 CoolX 제품군을 완성한다. CoolX3000은 OEM을 위한 시스템 통합을 단순화하고 최대 24개의 격리된 사용자의 현장 구성 가능 출력 및 개별 출력 제어를 통해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한다. CoolX3000은 디지털 및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통한 시퀀싱 제어뿐만 아니라 출력 전압 및 전류의 완벽한 제어를 제공하는 범위에서 가장 높은 전력 레벨을 제공한다. 또한 의료 적용 분야에 중요한 최대 5000m의 높은 고도 조건에서 작동하도록 안전 기관의 승인을 전
[헬로티] 품질향상과 합리적인 가격은 검사를 위한 비전 시스템의 사용을 확대했지만 구매 전에 몇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기술 발전으로 머신비전 카메라가 이전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고품질 센서가 탄생했다. 이러한 요인들은 다양한 산업과 규모있는 기업들이 이 새롭고 개선되고 더 저렴한 카메라를 도입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다만 업계와 상관없이 비전 솔루션을 도입하는 동안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다. 수십 년 동안, 회사들은 제품의 가치가 높거나 결함이 있을 경우 잠재적인 문제들이 있을 때 검사 목적으로 비전 시스템을 사용해 왔다. 이제는 고부가가치가 아니거나 결함이 있을 경우 잠재적 위험을 내포하지 않더라도 품질 좋은 제품을 생산하는데 관심이 있는 기업들에게는 비전 검사가 보다 저렴해지고 있다. 라인 스캔 또는 에어리어 스캔? 라인 스캔 카메라이든 에어리어 스캔 카메라이든 제조업체가 필요로 하는 카메라의 종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한 에어리어 스캔 카메라의 이면에 있는 기술을 이해한다. 에어리어 스캔 카메라는 수평 및 수직 요소로 2D 이미지를 생성한다. 라인
[헬로티 = 김동원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이하 마우저)가 파나소닉의 PAN1740A 시리즈 RF 모듈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 모듈은 블루투스 5.0 저에너지 연결을 위한 완전 통합형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및 무선 송수신기를 갖추고 있다. 최대 8개의 연결을 지원하고 부팅 시간을 줄이며, 모션/제스처 인식 및 음성 명령 지원이 필요한 원격 제어 장치에 맞게 최적화되어 있다. ▲ 마우저가 파나소닉의 PAN1740A 시리즈 RF 모듈을 공급한다. (사진 : 마우저) 손쉬은 인터페이스 제공 파나소닉 PAN1740A 모듈은 오디오 장치를 통합하여 PCM/I²S를 통한 외부 코덱, PDM을 통한 MEMS 마이크 및 샘플 속도 컨버터 장치를 위한 손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모듈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Arm Cortex-M0 CPU를 갖추고 있어 독립형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호스팅 시스템의 데이터 펌프로 사용할 수 있다. 동전형 배터리로 원거리 사용 가능 파나소닉 PAN1740A는 송신 또는 수신 모드에서 4.9mA만 소비한다. 신호 범위나 송신 전력을 줄이지 않고도 동전형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9mm × 9.5mm &tim
[헬로티] 산업용 통신 및 자동화 솔루션 기업인 힐셔(Hilscher)가 자동화 시장에서 가장 작은 다중 프로토콜 PC 카드인 M.2 2230 포맷의 새로운 cifX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필요한 모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패키지 형태로 제공된다. 사용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 연결에 맞게 장착, 설치, 연결만 하면 된다. M.2 소켓에 최신 네트워크 기술 적용 - 즉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PCI Express M.2 표준은 제조업체들이 소형의 스마트한 혁신적인 장치를 구현하고, 다양한 유형의 부속 카드를 통해 시스템에 수많은 기능을 통합할 수 있도록 해준다. 힐셔는 M.2 2230 Key A+E 포맷의 cifX를 통해 실시간 이더넷 및 필드버스 통신을 위한 M.2 PC 카드를 제공한다. 이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있는 기술 플랫폼으로 기존의 장치나 신규 장치를 산업용 자동화 네트워크와 즉시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힐셔의 즉시 사용 가능한 산업용 네트워크 기술은 제조업체들의 제품 설계를 대폭 간소화하고, 새로운 시장에 쉽게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미래지향적 기술을 통해
[헬로티 = 김동원 기자] 슈나이더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김경록)이 자사의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인 에코스트럭처 IT 엑스퍼트(EcoStruxure IT Expert)에 최적화된 오픈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발표했다. API(EcoStruxure IT Expert API)는 슈나이더일렉트릭이 새롭게 선보이는 첫 번째 오픈 응용 프로그램으로 IT 솔루션 제공업체와 최종 사용자의 전력 및 주요 인프라 모니터링 플랫폼 관리 시스템을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케빈 브라운(Kevin Brown) 슈나이더일렉트릭의 에너지 관리 부문 에코스트럭처 수석 부사장은 “슈나이더일렉트릭은 파트너 및 고객과 다양한 방식으로 협력해 IT 인프라에 대한 가시성과 통찰력을 확보하고, 개방적인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에코스트럭처 IT 엑스퍼트의 가용성은 엣지 컴퓨팅으로 효율성과 지속가능성 과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파트너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는 자사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고 전했다. ▲ 슈나이더일렉트릭이 에코스트럭처 IT 엑스퍼트(EcoStruxure IT Expert)에 최적화된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