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나이더 일렉트릭이 HMI 신제품 ‘ST6000’을 출시했다. HMI는 사람과 기계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로,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장비단의 컨트롤러, 로봇, 비전, 인버터 등의 데이터를 작업자가 한눈에 확인해 빠르게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도와준다. 고해상도의 와이드 디스플레이 프로페이스의 베이직 HMI ‘ST6000’ 시리즈는 전면 알루미늄 베젤을 갖춘 디자인과 인터페이스로 비즈니스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총 4인치부터 15인치까지 모두 5가지의 디스플레이를 보유하고 있으며, 1,600만 컬러의 고해상 그래픽을 제공한다. 고객들은 와이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더 많은 데이터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풍부한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친화적인 프로토콜을 통한 높은 연결성으로 여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장치를 쉽게 연결할 뿐만 아니라, 표준 이더넷 포트 2개를 탑재하여 IT와 OT 연결을 쉽게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기능들로 인해 고객은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BLUE와 GP-Pro EX 연동으로 작동 및 기계 정보 최적화 새로운 소프트웨어 블루(BLUE)와도 뛰어난 연결성을 자랑한다. 블루는 한 화면에 필요한 화면을 구성하도록 디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신성이엔지가 13일부터 15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사흘간 열리는 2021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서 다양한 고출력 태양광 모듈과 탄소중립 및 RE100 솔루션을 선보였다. 신성이엔지는 이번 전시회에서 고출력 태양광 모듈과 다양한 환경에서 발전 가능한 고내구성 친환경 태양광 모듈을 전시했다. 먼저 태양전지를 반으로 잘라서 연결한 Half Cell Bifacial 태양광 모듈은 535~555W의 출력으로 최대 21.4%의 효율을 보장한다. 양면 발전 제품으로 후면을 통해서 5~25%의 추가 발전이 가능하다. 고내구성 친환경 모듈은 수상태양광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 설치할 수 있도록 특수 설계됐다. 설중하중 5,400Pa로 설계돼 강화 유리와 특수 설계된 프레임을 적용, 혹독한 기후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발전량을 유지한다. 부스 한켠에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솔라스킨과 인버터 제품 등도 전시됐다. 솔라스킨은 건축자재의 질감 및 색상이 적용된 태양광 모듈로, 태양광으로 전력을 생산함은 물론 건축자재로도 활용할 수 있다. 신성이엔지의 SSE-S0655JK는 고정밀 알고리즘을 적용, 최대 효율이 99%에 달한다. 신성이엔지는 탄소중립과 RE1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노사 상생형 기업으로 설립된 광주글로벌모터스(이하 GGM)를 통해 현대자동차의 신차 ‘캐스퍼’가 출시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국내 최초로 국산 자동화 기술만으로 구축된 GGM 공정라인도 새삼 주목 받고 있다. LS일렉트릭은 지난해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 끝에 GGM 생산라인 자동화 솔루션 구축 사업을 수주한 이후 4월 PLC, HMI, 서보, 인버터 등 자사 솔루션을 적용한 공장이 준공, 9월 첫 차가 출고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LS일렉트릭은 캐스퍼가 생산되는 광주 소재 GGM 공장 자동차 공정라인에는 전체 공정라인에서 두뇌 역할을 하는 PLC, 공정에 동작지시 및 확인을 하는 HMI, 실제 공정에서 모터 속도를 제어해 동작시키는 서보ㆍ인버터 등 자동차 공정의 핵심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했다. 그동안 국내 대부분 자동차 공정에 적용되는 자동화 솔루션은 생산라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공장 구축 당시부터 사용된 외산 제품들이 주로 사용해왔다. 하지만 GGM은 2019년 차체, 도장, 의장공장에 적용되는 자동화 제품 선정을 위해 LS일렉트릭과 외산 메이커 3개사 간 경쟁 입찰을 통해 최종적으로 국산 기술을 도입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헬로티] 인아그룹 3개(인아오리엔탈모터·인아엠씨티 SF사업부·인아코포)계열사가 5월 25일부터 28일까지 나흘간 경기도 킨텍스에서 열리는 국제포장기자재전(Korea Pack 2021)에 참가, 스마트 팩토리에 대응할 토털 솔루션을 선보인다. 인아그룹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포장기기 업계에 적용 가능성이 높은 제품군을 중심으로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를 선일 예정이다. 스마트 팩토리 시대를 맞아, 모터, 감속기 등 기존의 하드웨어는 물론, 로봇, AI, VISION 등 소프트웨어까지 통합한 폭넓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아울러 장비 제작 및 생산 현상에서 각종 어려움을 겪는 고객에게 많은 힘이 되도록 고객이 원하는 모든 기술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는 'INA TO GO Premium Service'를 소개할 계획이다. 인아오리엔탈모터는 포장기기 업계 고객을 주 타깃으로 신뢰성 높은 오리엔탈모터(Orientalmotor)의 제품을 집중적으로 선보인다. 주요 출품 제품은 △AC/BLDC (WK2 Series + ATV INVERTER, DSC Series, US2 Series, BMU Series, BLE2 Series, BLM Motor)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높은 정확도의 절연 및 2차측 시그마-델타 변조기인 ISOSD61 및 ISOSD61L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출처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이 디바이스는 모터 제어, 전기차 충전소, 태양광 인버터, UPS, 서버 및 통신용 전원공급장치와 같은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향상된 성능과 신뢰성을 제공한다. ISOSD61은 TTL/CMOS 호환 클럭 입력과 데이터 출력 신호 레벨을 갖추고 있으며, ISOSD61L은 LVDS(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와 호환된다. 두 종의 제품 모두 16bit 분해능의 ADC(Analog-to-Digital Converter)와 함께 일반적으로 86dB의 신호대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를 제공한다. 이 디바이스는 갈바닉 절연 기술을 내장해 전력소모를 줄이고 훨씬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하면서도 다른 광결합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최대 ±320mV의 진폭을 가진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최대 25Msamples/s 속도로 고속 1bit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양측 간의 절연을 통해
[헬로티] 현대차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E-GMP)에 독일산 인버터가 장착된다. 25일 오토모티브뉴스에 따르면 최근 현대차는 독일 콘티넨탈 그룹의 파워트레인 사업부인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와 전기차용 800V 인버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수천억원대로 추정된다. 전기차의 주요 부품 중 하나인 인버터는 배터리의 직류를 교류로 변환해 모터를 가동하게 하는 장치로, 현대차는 E-GMP가 800V 고전압 충전 시스템을 채택한 만큼 그에 맞는 비테스코의 인버터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비테스코의 인버터는 출력 밀도가 높고 폐열을 줄여준다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현대차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현재 대부분의 전기차에는 400V 충전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800V 충전 시스템을 적용한 차량은 포르쉐 타이칸, 아우디 e-트론 GT 등 일부 고급 모델 뿐이다. 800V 충전 시스템을 적용하면 20분만에 배터리를 80%까지 충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터의 크기와 무게도 줄일 수 있게 된다. 현대차는 비테스코의 인버터를 향후 출시할 E-GMP 적용 모델과 파생 전기차에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양산을 시작한 아이오닉 5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로우 인덕턴스 SiC 파워 모듈 및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드라이버 키트 솔루션 출시 [헬로티] 전 세계적으로 기차, 트램, 트롤리(trolley), 버스, 자동차, EV 충전기 등 전기를 사용하는 교통수단에 대한 변화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북아시아 총괄 및 한국대표 한병돈)는 개발자가 SiC(Silicon Carbide) 파워 디바이스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하는 AgileSwitch 디지털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드라이버와 SP6LI SiC 파워 모듈 키트를 발표했다. 이번 신제품은 출시 기간을 단축하고 현장 배치 시 신뢰도를 높이는 통합 시스템 솔루션이다. 마이크로칩의 AgileSwitch 디지털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드라이버와 SP6LI SiC 파워 모듈 트는 평가에서 생산까지 개발 속도를 높여준다. 따라서 최종 제품 생산에 적합한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파워 모듈과 게이트 드라이버가 별도로 조달할 필요가 없다. ▲ 마이크로칩이 인버터 개발자를 위한 로우 인덕턴스 SiC 파워 모듈 및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드라이버 키트 솔루션을 출시했다. (사진 : 마이크로칩) 마이크로칩의 AgileSwtich 게이트 드라이버와 검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한국지사 대표 이승수)가 전기차 트랙션 인버터용 IGBT 전력 모듈을 출시한다. 인피니언은 80kW~100kW 전력 등급의 전기차 트랙션 인버터용 IGBT 전력 모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6팩 모듈인 HybridPACK DC6i는 하이브리드 및 소형 배터리 전기차에 최적화되어 우수한 가격대 성능비를 제공한다. ▲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전기차 트랙션 인버터용 IGBT 전력 모듈을 출시했다. (사진 :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인피니언의 EDT2 IGBT에 컴팩트한 패키지 기술을 결합해 열 관리가 우수하다. 또, 원자재 비용을 줄이면서 통합도 용이한 편이다.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도입이 빨라지면서 비용을 아낄 수 있는 트랙션 인버터 설계를 집중하는 기업이 많아졌다. 이 트랙션 인버터는 특히 어떤 전력 모듈을 선택하는지가 중점 사항이 되고 있다. 많은 시스템 디자이너들은 필요한 성능을 위한 최적의 실리콘 면적을 갖춘 모듈을 원한다. 인피니언 제품 포트폴리오에서 HybridPACK DC6i는 HybridPACK1 제품군과 HybridPACK Drive 제품군 사이의 중간이다. 새로운 모듈은 HybridPACK1과 동일한 컴팩트한 풋프
기존 인버터가 해결하지 못하는 틈 찾아 자체 기술력으로 시장 공략 카카오톡 활용한 실시간 재고 확인 시스템으로 새로운 유통 물결 만들어 [헬로티 = 김동원 기자] 트럭운전사가 있다. 그는 업무를 위해서 항상 오르는 언덕길이 있다. 그 길은 가팔라도 너무 가파르다. 길을 오르기 위해서 트럭은 크나큰 소리를 내며 매연을 내뿜는다. 그만큼, 기름도 많이 들어간다. 그런데 그의 동료는 그 언덕길을 어려워하지 않는다. 동료의 트럭은 언덕길을 가볍게 오르면서 매연도 내뿜지 않는다. 연료도 적게 든다. 그만큼, 마력이 좋은 트럭을 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느 트럭을 운전하는 것이 더 이득이고, 환경을 생각하는 것일까? 현대일렉트릭의 전동기 특약점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현대모터산업은 자체 기술로 양방향 인버터(절전형 제어반)를 개발했다. 이 인버터는 200%의 스텝부하에도 3%의 속도변화가 가능하고, 제동전력회생으로 사용되는 전력도 약 40%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회생 시 발생할 수 있는 정전, 결상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토크를 요구하는 설비인 크레인, 파쇄기, 굴착기뿐만 아니라 DC모터, 권선형 모터로 기동하는 다양한 설비에 적용이 가능하다.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태양광 인버터 애플리케이션용 풀 실리콘카바이드(SiC) 전력 모듈을 공개했다. 또 전력 및 열 관리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선도업체인 델타(Delta)가 자사의 M70A 3상 PV 스트링 인버터 포트폴리오를 지원하기 위해 해당 제품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온세미컨덕터의 NXH80B120MNQ0 온세미컨덕터의 NXH40B120MNQ 풀 SiC 전력 모듈 제품군은 1200V, 40mΩ SiC MOSFET, 1200V, 40A SiC 부스트 다이오드를 듀얼 부스트 스테이지와 통합했다. 해당 제품은 SiC 기술을 통해 태양광 인버터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전력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낮은 역회복(reverse recovery)과 빠른 스위칭 특성을 제공한다. 온세미컨덕터 첨단전력부문 수석 부사장 아시프 자콰니(Asif Jakwani)는 “SiC 기술은 에너지 시장을 혁신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온세미컨덕터가 개발한 풀 SiC 통합 전력 모듈은 태양광 인버터의 높은 전력 수준에서 시스템 효율성을 높여야 할 필요성을 개선하며, SiC 기술의 성숙도를 보여주는 제품이다”라고 말했다. 델
[헬로티] -12인치 팹을 통해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안전한 양산 지원 온세미컨덕터는 덴마크 댄포스 그룹(Danfoss Group)의 자회사인 댄포스 실리콘 파워(Danfoss Silicon Power)에 IGBT와 인버터 트랙션 모듈용 다이오드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자료: 댄포스 실리콘 파워 첨단 기술과 폭넓은 연구개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50년 이상 전력반도체의 선도적 공급자로 자리매김해 온 온세미컨덕터는 고전압 인터페이스, 스마트 전력관리, 차내 네트워킹, 시스템 레벨 통합, 센서 인터페이스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한 자동차 부품을 개발해왔다. 또한 설계자가 값비싼 측정 주기가 아닌 시뮬레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모델링 툴을 제공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이스트 피시킬(East Fishkill)에 위치한 12인치 팹(Fab)을 통해, 향후 몇 년간 차량 전장화 시장에서 요구되는 많은 규모의 경쟁력 있는 기기를 공급할 수 있는 완벽한 입지를 구축했다. 댄포스 실리콘 파워는 덴마크의 가장 큰 산업 회사 중의 하나인 댄포스 그룹의 자회사로, 수십 년 동안 자동차, 산업 및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맞춤형 전력 모듈을 설계,
[헬로티]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용 구동 분야의 리딩 컴퍼니인 리드라이브 테크놀로지(Leadrive Technology, 이하 리드라이브)(상하이)와 반도체 기업 로옴 세미컨덕터(이하, 로옴)는 중국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 임항신구에 SiC 기술 공동 연구소 개설에 앞서 지난 6월 9일 제막식을 실시했다. SiC 파워 디바이스는 IGBT 등의 Si (실리콘) 파워 디바이스에 비해 스위칭 손실 및 도통 손실이 적고, 온도 변화에 강하다는 메리트가 있어, 극적인 저손실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반도체로서 전기자동차의 온보드 차저 (On Board Charger) 및 DC/DC 컨버터 등에서 채용이 추진되고 있다. ▲로옴과 리드라이브 테크놀로지는 SiC 기술 공동 연구소 개설을 위해 지난 6월 9일 제막식을 진행했다. 리드드라이브와 로옴은 2017년부터 협력 관계를 맺고, 지금까지 SiC 파워 디바이스를 탑재한 차량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기술 교류를 실시해 왔다. 이번에, 로옴의 SiC MOSFET 베어 칩 및 절연 게이트 드라이버를 활용한 차량용 파워 모듈, 인버터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소를 개설함으로써, 향후 SiC를 중심으로 한 혁신적인 파워 솔루션 개발을
[헬로티] 로옴(ROHM)은 메인 인버터를 비롯한 자동차 파워 트레인 시스템 및 산업기기용 전원에 최적인 1200V 제4세대 SiC MOSFET를 개발했다. 최근 차세대 전동차 (xEV)의 보급 확대를 위해, 한층 더 고효율로 소형 · 경량화된 전동 시스템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구동의 중심이 되는 메인 인버터 시스템의 소형 · 고효율화가 과제로서 중요시됨에 따라, 파워 디바이스에도 한층 더 진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 (EV)에 있어서는 항속 거리가 짧다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탑재 배터리의 용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충전 시간의 단축이 요구되어, 배터리의 고내압화 (800V)가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내압 및 저손실을 실현할 수 있는 SiC 파워 디바이스가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로옴은 2010년에 SiC MOSFET의 양산을 개시했다. 또한, 일찍이 자동차기기 신뢰성 규격 AEC-Q101에 준거하는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여, 차량용 충전기 (On Board Charger : OBC) 등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획득했다. 이번에 ON 저항과 단락 내량
[첨단 헬로티] LS산전이 경기도 안산시 소재의 한양대 ERICA 캠퍼스에서 더욱 새로워진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산업체 재직자 역량 향상에 나섰다. ▲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전경 LS산전은 지난 2018년부터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직업능력 러닝센터’와 협력하여 한양대 ERICA 캠퍼스에서 다양한 자동화 제품 교육을 진행해 고 있다. 올해 개설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PLC, HMI, 인버터, 협동로봇+PLC 연동을 위한 PLC 기본 수업 등이다. 특히 이번 재직자 역량 교육들은 고용 보험 환급 과정으로 교육비의 약 50%를 환급 받을 수 있어, 수강생 및 수강생 파견 회사의 부담을 한층 줄이게 됐다. 단, 협동로봇+PLC 연동을 위한 PLC 기본 수업은 비환급 과정이다. LS산전 관계자는 ERICA 캠퍼스에서는 기존 안양 교육센터보다 넓고 쾌적한 교육장이 마련되어 수강생들에게 보다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유창기계공업(주)는 1970년에 창립된 50년 업력의 공기압축기, 도장기계 관련 전문 제조업체로서 국내 선구자적 위치에 있다. 이 회사는 1992년 한국산업안전공단으로부터 설계 및 성능검사 획득을 비롯해 1997년 ‘ISO9001’, 2014년 ‘ISO14001’, 2018년 ‘API Q1’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스크류 에어 콤프레샤의 효율, 수명 및 신뢰도에 있어서는 국내 최고의 제품이라고 평가할 만하다. 유창이 완성시킨 메커니즘의 걸작품 ‘스크류 에어 콤프레샤’에 대해 소개한다. AIR END KYPHO ROTOR와 INTENSIVE INJECTION CYLINDER 구조는 압축 사이클의 쿨링에 에너지 소비율을 제어하는 핵심 요소이다. INTENSIVE INJECTION은 4개의 분사 구멍을 통하여 미세한 연무상태로 압출실내에 냉각제를 공급한다. 대부분 분사와 AIR 자체의 가장 높은 압력과 온도에 이를 때 발생된 열은 짙은 연무의 OIL과 AIR의 혼합물 사이에 열 교환비율을 촉진한다. 그리고 뜨거운 S P O T은 제거 되고 즉, 일정하며 계속적으로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