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독일, 인간과 로봇과의 협업을 위한 기술 개발의 현주소’에 관한 KOTRA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산업용 로봇은 운송 및 물류와 기술·자동차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향후 3년 내에는 기술 분야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이를 뒤이어 운송 및 물류, 자동차, 가공산업, 건강(의료), 상품 생산, 소비재 등 순으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 의료 산업에서 활약하는 협동로봇 (출처:유니버설 로봇) 협동로봇, 제조 현장을 넘어 서비스 분야로 영역 확장 제조 현장에서 인간과 기계, 로봇이 한 공간에 있는 모습은 더 이상 놀랍거나 새로운 일도 아니다. 로봇은 인간과의 협업을 위해 다양한 작업에 투입되고 있다. 특히 산업용 로봇 중에서도 협동로봇, 코봇(cobot)은 사람과 직접 상호작용을 하며 일하도록 설계되어 사람과 함께 작업을 성공적으로 끝마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협동로봇’의 도입은 생산 현장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다. 과거 산업용 로봇은 작업자와 한 공간에서 일할 수 없을 정도로 위험 요소가 많아 안전 펜스도 설치하며 작업을 해왔다. 하지만 최근 협동로봇
[첨단 헬로티] 100년 전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몇 살이었을까? 1900년대 한국인 평균 수명은 36세에 불과했다. 지금으로 따지면, 한창 인생을 즐길 시기에 생을 마감한 것이다. 이후 항생제가 개발되는 등 의학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급격히 상승했다. 1950년대에는 52.4세를 기록했던 평균 수명은 2017년 81.8세가 되었다. 의학이 발달은 사람들에겐 축복이었다. 그리고 그 축복은 이제 의료기기를 넘어 의료로봇으로 이어지고 있다. ▲ 2018 로보월드 협력로봇관에는 별도로 의료재활로봇이 전시됐다. <사진 : 김동원 기자> 지난 10월 10일부터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고 있는 ‘2018 로보월드’에는 앞으로 의학 발전을 더 이끌어갈 의료로봇 기술이 소개됐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신체 일부분이 마비돼 팔이나 다리를 움직일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의료기기부터 치매를 예방하는 로봇, 식사를 도와주는 로봇, 침상 생활 환자들을 위한 로봇 등이 전시돼 관람객들의 많은 이목을 끌었다. 이동의 꿈을 실현시켜주는 크레템의 ‘SUBAR’ ▲ 크레템의 'SUBAR'가 전시장을 돌아다니고 있다.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