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1978년 설립 이후 공업계측 및 계장 기기 분야에서 국내 기간산업 발전을 이끌어온 한국요꼬가와전기가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차 등 진보하는 자동차 시장에 진출했다.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에 참가하며 본격적인 자동차 시장 선점을 예고한 한국요꼬가와전기는 전기차 성능의 지표가 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계측기부터 무선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선보이며 차별화된 기술력을 선보였다. 이에 한국요꼬가와전기가 어떤 계획을 갖고 있는지 문성수 부장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 문성수 한국요꼬가와전기 부장 <사진 : 김동원 기자> Q. 한국요꼬가와전기가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에 참가했다. 그 이유가 궁금하다. 사실 이 전시회는 처음 참가했다.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는 우리와 관련된 분야가 맞다. 우리 제품이 전기자동차의 전력을 측정하고, 자율주행차에도 다 들어가다 보니 기본적으로 우리와 성격은 맞다. 이에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가 어떤 전시회인지 알아보고자 처음으로 참가하게 됐다. Q.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하는 주력제품은 무엇인가. 자동차 전시장인 만큼, 전기차 전력측정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전기차의 가장 기본은 전력이다.
[첨단 헬로티] 자동차 경량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주목받기 시작한 기술이 플라즈마 표면처리다. 플라즈마는 유독한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 자동차 표면 처리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플라즈마 표면처리 시장은 유럽 등의 기업이 대부분 선점하고 있다. 이처럼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플라즈마를 전문으로 국내와 해외에 장비와 기술을 보급하며 그 기술력을 인정받는 국내 기업이 있다. 바로 에이이티피다. 이에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에 참가한 이창훈 대표를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 이창훈 에이이티피 대표 <사진 : 김동원 기자> Q.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에서 참가한 이유가 궁금하다. 현재 자동차 경량화에 대한 관심이 높다. 자동차 경량화를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기계적인 접근 방법 대신 구조물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가야 한다. 여기에 가장 기초적인 기술이 표면처리다. 유독한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지 않고, 접착제를 가지고 두 소재를 강하게 붙일 수 있다면 상당한 긍정적인 효과를 낼 것이다. 우리가 하는 플라즈마 표면처리는 이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 부분을 소개하기 위해
[첨단 헬로티] 자동차가 진화 중이다. 전기차 등 친환경 차량이 이미 시장에서 입지를 높이고 있고, 꿈에만 그리던 자율주행차도 하나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자동차는 진화할수록 안에 들어가는 장비가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완성차의 안전을 위해서는 각 장비마다 철저한 테스트가 요구된다. 하지만 모든 장비를 테스트하기에는 시간과 비용, 인력의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이에 내쇼날인스트루먼트(National Instruments, 이하 NI)는 자동차 업계가 가진 어려움을 고민하고, 이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에 참석한 NI의 김종우 수석매니저를 만나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 김종우 한국 내쇼날인스트루먼트 수석매니저 <사진 : 김동원 기자> Q.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에 참가한 이유가 궁금하다.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는 소재부터 전자까지 오토모티브와 관련한 다양한 전시를 하고 있어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NI가 소개하는 데모는 배터리 테스트, 레이더 테스트, VRTS 데모 등이다. Q. 오토모티브 트렌드와 관련해 이미 경쟁업체가 많이 포진돼있다. 이에 NI 제품의 차별된 강점은 무엇인가. 최근 오토모티브
[첨단 헬로티] 차량 전자 시스템 분야에서 30여 년간 꾸준히 활동하며 입지를 다져온 벡터가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에 참가했다. 독일에 본사를 둔 벡터는 현재 전 세계 26개 사업소에서 2,500명 이상의 직원들이 전문적인 솔루션으로 자동차 및 관련 산업의 OEM과 협력업체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벡터는 최근 이슈가 되는 전기 자동차, ADAS, 자율주행 분야에서 굳건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벡터코리아 전시장을 방문, 유한열 매니저(영업총괄)과 김대환 매니저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 왼쪽부터 유한열 매니저(영업총괄), 김대환 매니저 <사진 : 김동원 기자> Q. 2019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에 참가한 이유가 궁금하다. 지금까지 오토모티브 테스팅 엑스포에만 초점을 맞췄었는데 발을 넓혀 다른 전시회에도 참가해보자 생각해서 이번 전시회에 참가하게 됐다. 이번 전시회가 처음인 만큼, 모든 솔루션을 소개하기보다는 계측 솔루션만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Q. 이번 전시회에서 주력으로 소개하는 계측 솔루션에 대해 설명해 달라. 쉽게 말해 차량용 계측 솔루션이다. 차량에서 계측이라고 하면 기본으로 차량 캠퍼스 상에서 흘러 다니는 데이터들을 계
[첨단 헬로티] 유럽과 미국, 일본 제품이 대부분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계측기 시장. 이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고 단단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는 국내 기업이 있다. 바로 에이앤아이다. 2001년 창업한 이 기업은 디스플레이 검사장비를 개발하여 그동안 핸드폰이나 TV 등의 디스플레이 시장에 진출해 기술력을 인정받아왔다. 이제 이 기업은 자동차 디스플레이 시장으로 활동 반경을 넓혀 시장 진출을 모색 중이다. 2019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에 참가한 에이앤아이 전시장에 방문, 나인규 부장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 나인규 에이앤아이 부장 <사진 : 김동원 기자> Q. 2019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에 참가한 이유가 무엇인가. 우리는 그동안 핸드폰이나 태블릿, TV 등의 디스플레이를 측정하는 제품을 개발해왔다. 자동차에도 디스플레이가 많이 있으니 이 시장에 진출하고자 이번 전시회에 참가하게 됐다. Q. 자동차 디스플레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에이앤아이의 제품이 궁금하다. 우선 색차계가 있다. 색차계는 LCD, OLED 디스플레이의 휘도, 색도, 플리커를 측정하는 표준 계측기다. 빠르면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디스플레
[첨단 헬로티] 2019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Automotive Technology Expo)가 23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마이스포럼이 주관한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는 자동차 기술에 대한 다양한 산업 기술을 볼 수 있는 전시회다. ▲ 2019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가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다. <사진 : 김동원 기자> 올해에는 자동차 경량화 기술(Weight Reduction), 자동차 전장 기술(Electronic System), 자동차 테스팅 기술(Testing) 등 세 가지 주제로 개최됐다. 약 100여 개 기업이 참가한 이번 전시회에서는 자율주행차, 전기차 등 최신 자동차 기술 트렌드에 맞는 전자제어, 계측, 경량화, 테스트, 보안 등 다양한 기술이 소개됐다. 또한, 전시회에는 부대행사로 신제품신기술 세미나, 자율주행 최신기술 상용화 세미나, 국제 자동화 경량화 기술 포럼 등 최신 자동차 기술을 알 수 있는 자리가 별도로 마련됐다. ▲ 이번 전시회에는 부대행사로 최신 기술에 대한 세미나가 함께 진행됐다. <사진 : 김동원 기자> 한 관람객은 “자동차 시장이 점점
[첨단 헬로티] 제이와이텍코리아가 MDS테크놀러지와 공동으로 Automotive 관련 PXI 솔루션 및 오픈소스(C#) 기반의 SeeSharp®을 지난 7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양재 AT 센터에서서 치러진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엑스포 2017에 전시했다. 양사는 MOU 협약을 통해 본 행사에 공동으로 참여했으며, 각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솔루션 및 기술력을 결합해 오토모티브를 포함한 테스트, 측정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이와이테크와 MDS테크놀러지가 함께 선보인 PXI 솔루션 뿐만 아니라 이번 전시회에서는 내쇼날 인스트루먼트(NI)의 최대 ‘Gole Alliance Partner’였던 JX 인스트루먼트(구 VI Sevice Network)사에서 제공한 자동차 오디오 테스트(Car audio test) 및 자동차 스타트 전압(Car starting voltage) 데모를 전시해 전시를 찾은 많은 고객들의 호응을 얻었다. JX 인스트루먼트는 지난 7월 NI 협력사 프로그램에서 탈퇴함과 동시에 랩뷰(LabVIEW) 기반의 플랫폼에서 제이와이텍의 SeeShar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