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34회째를 맞이한 ‘형기술자회의 2020’는 일본의 금형 기술 개발에 관한 최신 정보를 발신하는 장으로, 이번 회의에서는 ‘금형 기술 5개의 힘, 사람(인재)·기계(공작기계, 공구)·재료·지식(센싱, 노하우, 컴퓨터 원용 기술)·연결(loT, 네트워크)’를 주제로 프로그램이 구성됐다. 금형기술 2월호에서는 동 회의의 일반 강연 논문 중 일부를 발췌해 게재했다. 금형 설계와 해석, 금형가공, 사출성형, 프레스, 다이캐스트 등에 관한 새로운 금형 기술의 방향성을 소개했다. <주요 목차> 1. 일품 생산에 특화된 CAM 소프트웨어의 개발 2. 계측 폴리곤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수정·정형하는 기능 3. cBN 래디우스 엔드밀 'CBN-RSF'에 의한 고경도재의 다듬질가공 4. 날끝 교환식 볼 엔드밀 'BR2P형'의 개발 및 가공 사례의 소개 5. cBN 소경 4날 래디우스 엔드밀에 의한 고정도·고능률 가공 6. 가공 사례·연료전지 세퍼레이터 금형의 소개 7. 오벌 배럴 엔드밀 'COVB'에 의한 고능률의 평활한 다듬질
[첨단 헬로티] 초경합금절삭공구제조·판매 전문 업체인 코오로이가 스테인레스강(STS) 가공을 위한 'S Plus Endmill'을 새롭게 출시하고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했다. ▲스테인리스 가공 전용 엔드밀 'S Puls Endmill'(사진 : 코오로이) 스테인레스강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표면이 매끄러워 일상생활뿐 아니라 여러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는 소재다. 스테인레스강은 가공경화성이 매우 크며, 칩이 공구면에 용착되기 쉽고 전단저항이 커서, 공구인선의 결손 및 용착을 유발해 공구 수명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효율적인 가공을 위해서는 스테인레스 가공 전용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S Plus Endmill은 스테인레스 가공에 최적화된 인선설계로 가공부하 및 떨림을 최소화해 돌발 치핑으로 인한 파손 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새로운 모재와 코팅 박막을 적용해 기존 제품보다 내마모성 및 내용착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한편, 코오로이는 스테인레스 가공에서 모재, 박막, 형상을 최적화해 내용착성 및 내마모성을 대폭 향상시킨 S Plus Endmill로 최적의 스테인레스 가공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첨단 헬로티] 세코툴스(Seco Tools)가 80개 이상의 미세 엔드밀 제품으로 구성된 ‘Seco Jabro-Mini JM500’ 제품군을 선보였다. 이 제품군을 통해 그동안 너무 작아서 가공 작업 중 잘 보이지 않았던 소형 및 초소형 부품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되었다. ▲세코툴스의 미세 엔드밀 ‘JM500’ 제품군 이번 제품군의 최적화된 재종, 형상, 코팅은 강, 스테인리스강, 내열 초합금 및 티타늄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진 부품들로부터 우수한 표면조도를 이끌어낸다. 형상은 2, 3, 4 플루트 버전을 통해 토리컬 형상과 볼노즈 스타일이 전부 가능한 30도 나선과 3도 경사를 포함한다. 폴리싱된 SIRA 코팅을 적용한 전면 초경합금 재종을 통해 가장 낮은 인선당 비용으로 고인성 소재의 가공을 실현한다. Jabro-Mini JM500 엔드밀은 DMM 4㎜ 및 DMM 6㎜ 샹크 직경, 2~20×DC의 7가지 오버행 길이, 0.2㎜~3㎜ 직경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폭넓은 선택지 덕분에 사용자는 부품 공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가능한 한 가장 짧은 공구 오버행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첨단 헬로티] 와이지원(YG-1)의 신제품 Alu-Power HPC는 Al7075 알루미늄 합금 및 비철금속 가공에 특화된 엔드밀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우주항공 산업을 겨냥하여 특별히 디자인 되었다. Alu-Power HPC는 알루미늄 합금 가공에 가장 적합한 형상을 적용하여, 일반 알루미늄 가공 제품보다 약 3배 이상 빠른 절삭이 가능하다. 다양한 형상의 가공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중·황삭 가공에서도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제품이다. 또한 빠른 작업 속도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표면조도 및 안정감 있는 가공이 가능하다. 이에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주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현재는 3날 스퀘어 및 코너 래디우스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넥 제품이 있다. 코팅 제품과 비코팅 제품 모두 있으며, 다양한 직경의 Corner Radius가 구비되어 있다. Alu Power HPC는 우주항공 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서 많은 수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와이지원(YG-1)의 알루미늄 합금용 초경 엔드밀 ‘Alu-Power HPC’
[첨단 헬로티] 한국OSG는 SIMTOS 2018에 참가해 다양한 밀링가공용 공구인 엔드밀을 선보였다. 1976년에 설립된 한국OSG는 절삭공구 국산화에 힘써 왔으며, 1985년 일본OSG와의 합작을 통해 용도별 탭 생산을 시작했다. 1988년에 엔드밀을 생산해 절삭공구 종합 제조사로 발전한 후 꾸준한 연구를 통해 현재 스플라인 다이스, 풀리 다이스, 웜 다이스, 리드스크류 다이스와 초경 탭, 셸 탭, 인터 탭, 초경 엔드밀, 극소경 엔드밀, 고속가공용 엔드밀 등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한국OSG의 초경엔드밀 중 WS 시리즈는 건식, 습식가공 모두 가능한 WS 코팅이 적용되어 있으며 코팅막이 나노 구조로 되어 있어 고경도, 내마모, 내산화성이 우수하다. 고속, 고능률 가공에 최적인 초경소재를 적용했으며, 나노 복합 파우더를 사용해 내치핑성,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또한 폭넓은 피삭재, 가공영역, 가공조건에 대응 가능하고 초정밀 6축 가공기에서 가공해 인선부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고정도 가공을 실현한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주최로 4월 3일부터 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SIMTOS 2018에서는 절삭기계, 절단 및 성형기계 분야 기술을 비롯해 공작기
[첨단 헬로티] CBN·SUS 가공용 엔드밀 등 1만여 개의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는 제이제이툴스는 SIMTOS 2018에 참가해 흑연 가공용 엔드밀, 복합소재 가공용 엔드밀, SUS 가공용 엔드밀, G-TAC 코팅 엔드밀, 초경 정삭용 인서트 등 다양한 제품들을 전시했다. 제이제이툴스의 엔드밀 제품들 중 2날 강력 절삭용 리브 볼 엔드밀은 중저경도강(HRC52 이하), 프리하든강 계열, 탄소강, 금형강 등 다양한 피삭재 가공 엔드밀로서 고함량 실리콘계 코팅(Si) 처리되어 있어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넓은 영역의 피삭재 가공에 적합하며 항절력이 높은 미립자 초경합금을 채택, 엔드밀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초경 2날 고경도 가공용 제이제이 볼 인서트의 경우, 고경도강(HRC62∼), 프리하든강 계열의 고정밀 가공 인서트, 그라파이트로 넓은 영역의 피삭재 가공에 적합하며 볼 형상은 날부 치핑이 적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주최로 4월 3일부터 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SIMTOS 2018에서는 절삭기계, 절단 및 성형기계 분야 기술을 비롯해 공작기계, 자동화 부품, 측정 및 계측, 공구, 3D 프린팅 및
알루미늄용 3날 엔드밀로 대만 SPEED TIGER사의 신제품이다. 날끝 파손 방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절삭칩 배출성이 높은 경면 다듬질에서 Z이송 시 절삭칩 처리가 양호하다. 절삭성이 높은 50° 비틀림으로 되어 있으며, 3날 스몰 개쉬로 마무리 품질을 중시했다. 3날이면서 저가격이다. 스피드 타이거사는 초경 엔드밀을 제조하고 있는 대만 유수의 공구 메이커이다. 김정아 기자(prmoed@hellot.net)
신개발의 팁과 팁을 고정하는 전용 홀더로 이루어지는 거친가공용 소경 고이송 엔드밀이다. 새로운 팁은 피삭재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개발한 독자적인 형상의 날끝을 채용했다. 새로운 팁 채용에 의해 다날 사양에서도 절삭저항의 절감, 채터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평면·어깨가공이나 등고선가공, 홈가공, 포켓 가공, 헬리컬 가공 등 다양한 가공에 대응한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
범용성을 높여 다양한 가공에 대응할 수 있는 엔드밀의 새로운 시리즈이다. 1개의 공구로 거친가공, 다듬질가공, 홈가공, 구멍뚫기가공, 경사가공을 고능률로 채터 없이 안정되게 할 수 있다. 사이즈는 공구 지름 5.7~20.0mm, 적용 피삭재는 일반구조용 강,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주철 등이다. Si 함유 초다층 코팅을 하고 있으며, DLC 수준의 경도를 실현한다. 게링재팬 TEL 81-03-3536-2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