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삼성전자의 D램 시장 점유율이 올해 3개 분기 연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호황기를 누린 D램 시장이 4분기부터 가격 하락세와 함께 다운사이클로 전환됐지만, 시장에서는 애초 예상보다 D램 가격 하락 폭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 나온다. 21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D램 시장 점유율은 43.9%로 전 세계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삼성전자의 D램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4분기 41.0%에서 올해 1분기 41.2%, 2분기 43.2%, 3분기 43.9%로 3개 분기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2위 기업인 SK하이닉스와의 점유율 격차는 지난해 4분기 11.7%포인트(p)에서 올해 1분기 12.4%p, 2분기 15.0%p, 3분기 16.3%p로 꾸준히 확대됐다. 특히 삼성전자의 D램 매출액은 평균판매가격(ASP) 상승과 출하량 증가 영향으로 대폭 늘었다.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D램 매출은 115억3000만 달러(약 13조7299억 원)로, 지난해 동기(약 8조5366억 원)보다 60.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지난 10월부터 업계 최소 선폭인 14나노미터 EUV(극자외선) 공정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지난 10월, 10% 가까이 하락한 메모리반도체 D램의 고정거래가격이 11월에는 큰 변동 없이 지난달과 비슷한 가격대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1월 30일 대만의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의 11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지난달과 같은 3.71 달러를 기록했다. 이 제품의 가격은 올해 1월 5% 오른 것을 시작으로 4월 26.7%, 7월 7.9% 오르며 상승세를 보이다가 지난달 9.5% 하락했다. 트렌드포스는 "장기계약 협상이 이어지면서 11월에는 가격 변동이 없었지만, 내년 1분기를 위한 계약이 체결되는 12월에는 다시 고정거래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트렌드포스는 D램 시장의 공급 과잉 상황이 이어지면서 내년 1분기 PC용 D램의 계약가격이 전 분기 대비 10%가량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내년 하반기부터 차세대 D램 DDR5 적용이 늘면서 D램 가격 하강기가 전보다 짧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클라우드 업체들이 주로 구매하는 서버용 D램 주요 제품(32GB RDimm)의 고정거래 가격은 지난달 4.4% 하락한 데 이어 이번 달에도 1.3% 하락했다. 트렌드포스는 PC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올해 3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이 점유율 20%로 1위였다고 1일 밝혔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업체별 점유율(출하 대수 기준)은 삼성에 이어 애플(14%)과 샤오미(13%)가 각각 2·3위였다. 비보(10%)와 오포(10%)는 공동 4위였고, 리얼미는 5%였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올해 3분기 삼성전자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20% 증가한 6930만 대였다고 설명했다. 애플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5% 증가한 4800만 대였다. 샤오미는 전 세계적인 부품 부족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5%, 전 분기 대비 15% 각각 감소한 4440만 대를 출하했다. 반면 리얼미는 부품 부족난에도 불구하고 올해 3분기 1620만 대를 출하해 역대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헬로티] 명확한 전략과 방향, 기술역량·투자, 리더십, 기업 구조 등을 높게 평가해 선정 앤시스가 글로벌 경제지 포춘이 선정한 ‘미래 유망 기업(2020 Future 50)’에 이름을 올렸다. 포춘은 ‘보스턴 컨설팅 그룹(Boston Consulting Group)’과 함께 미래 시장을 선도할 유망 기업 50개를 선정해 발표한다. 전년도 기준 20억 달러 이상의 시가 총액 또는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달성한 기업을 대상으로 수십가지의 지표를 평가해 대상으로 선정하며, 기업의 재무성과를 바탕으로 성장 가능성(30%)과 기업의 역량(70%)을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포춘은 앤시스의 명확한 전략과 방향, 기술역량·투자, 리더십, 기업 구조 등을 높게 평가해 선정했다. 포춘지는 보도에서 “앤시스는 270억 달러의 시장 가치를 지녔다고 평가받는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기업”이라고 밝혔다. 포춘지는 “해당 기업은 출시 예정 제품의 초기 콘셉트부터 최종 기능 확인까지 디지털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품 개발 과정 전반을 확인하도록 지원한다”고 전했다. 이어 &ldq
[헬로티] 가상화, 자동화, AI 등 고성장 영역 비롯해 모든 통신 소프트웨어에서 시장 선도 노키아는 글로벌 시장조사전문기관 애널리시스 메이슨(Analysys Mason)이 최근 발표한 '2019년 전 세계 통신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시장점유율 보고서'에서 매출 기준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노키아 본사 전경(출처 : 노키아) 이는 노키아의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강화 전략이 점차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애널리시스 메이슨에 따르면, 지난 해 전세계 통신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시장이 전년대비 약 1% 성장한 669억 달러(한화 약 78조3천억 원) 규모에 이르며, 그 가운데 노키아는 약 45억 달러(한화 약 5조2천600억 원)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키아의 소프트웨어 제품군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다중 네트워크, 멀티 벤더 기반의 CSF(Common Software Foundation) 용도로 설계돼 모든 주요 공공 클라우드 플랫폼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통신사업자들에게 광범위한 운영 유연성을 제공한다. 또한, 노키아의 포트폴리오는 가상화, 디지털 인프라, 네트워크 오케스트레이션 및 자동화, AI 및 머신러닝, 인지분석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