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T는 엔터프라이즈 데이터를 위한 IoT 및 엣지 컴퓨팅 솔루션으로 고객의 성공적인 디지털 혁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팩토리부터 스마트 제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통합 서비스 제공은 물론, 스마트 팩토리와 스마트 제조 구축 및 제조·검수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디바이스와 인프라를 제공한다. 이번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에는 하드웨어 부문 신제품인 SDT ECN을 소개할 예정이다. Q. 지난해 비즈니스 성과는 어땠으며, 올해 기대는. A. 2021년에는 대기업 제조사, 리테일 기업, 모빌리티 기업,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머신 비전, 영상처리, 딥러닝, 인공지능 등을 이용한 고도의 자동화 기술을 구현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이 예전에 해결할 수 없던 문제에 해답을 제공했다. 또한, 디바이스나 설비의 제조사 또는 산업용 프로토콜에 국한하지 않고 제조 현장에 도입할 수 있는 산업용 IoT 플랫폼을 개발했다. 2022년에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엣지 컴퓨팅 하드웨어와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현장에 도입하여 고객의 비용 절감, 타임 투 마켓 단축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예정이다. Q. 디지털 전환 시대 SDT의 비즈니스 경쟁력은. A. 크게 3가
[첨단 헬로티] "RFID는 이제 성숙단계에 접어들었고, 다양한 산업에서 폭발적인 RFID 도입이 진행될 것이다" RFID전문매체인 RFID저널 편집장인 마크 로베르티(Mark Roberti)가 한 말이다. 그의 이같은 주장은 2000년대 초반 RFID저널을 창간해 그동안 RFID 분야를 전문적으로 취재하면서 내린 결론이다. 그는 특히, RFID가 로봇, 비전, 데이터 분석과 결합해 제조 및 유통, 물류부문을 혁신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바코드 시스템보다 신뢰성이 높고, 효율성과 다기능성이 검증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의류업계에서는 그동안 RFID 실효성 검증을 통해 명확한 ROI 창출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고, RFID 도입이 가장 활발한 분야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매년 발표되는 IDTechTx 보고서에 따르면,2017년도 전세계적으로 약 90억개의 RFID 태그 중 대다수가 의류산업에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RFID 시스템은 패션 업계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을까? 소위 말하는 '짝퉁'을 없애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기도 하고, 대다수 브랜드는 효율적인 재고관리를 목적으로 RFID를 도입한다. 이와함께 유니클로 등은 고객의
[첨단 헬로티] 지능형 보안 솔루션 분야 글로벌 기업 엑시스커뮤니케이션즈가 6월 19일 서울 금천구 엑시스커뮤니케이션즈코리아 사무실에서 리테일 업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엑시스 리테일 포럼 2018(Axis Retail Forum 2018)’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서 엑시스는 엑시스 네트워크 카메라와 지능형 솔루션을 활용하여 더욱 스마트하고 효율적인 매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더 스마트한 리테일 비즈니스를 위한 새로운 추진력’을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매장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카메라와 리테일 업계를 위한 지능형 솔루션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소개한다. 매장은 네트워크 카메라와 리테일 지능형 솔루션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객의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판매를 촉진할 수 있는 캠페인 및 운영 전략을 수립, 실행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글로벌 유통혁신 방향과 디지털이 오프라인 유통업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한 리테일 솔루션을 통한 매장 최적화 전략 및 글로벌 고객사례, △음악이 리테일 고객 경험에 미치는 영향, △리테일 업계에서 사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