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고려대학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AI 혁신 허브’ 사업에 그랜드 컨소시엄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고려대는 2021년 7월부터 2025년 12월까지 향후 5년 동안 정부 지원금 445억과 서울시 지자체 지원금 44.5억 원을 포함한 총 489.5억 원을 지원받아 AI 혁신 허브 사업을 주도한다. 현재 인공지능대학원협의회 회장을 맡은 이성환 고려대 교수는 AI 혁신 사업에 대해 “국내에 흩어진 AI 인력과 연구 인프라를 결집해 교육·연구기관인 대학이 중심이 되어 유기적, 효율적으로 AI 교육·연구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최적의 기회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연구 경험과 실적이 풍부한 우수 연구진 및 산업계 전문가들과 최상의 컴퓨팅 인프라를 결합하면 최상의 AI 시너지를 나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AI 혁신 허브 사업을 통해 ▲고위험·도전형 대형 AI 연구 개발 프로젝트 공동수행 ▲개방형 공동연구체계를 구축해 공동연구를 수행 예정이다. 또한, AI 연구 개발 분야를 발굴하고 주요 사항 심의를 위한 운영위원회를 구성해 혁신적인 AI 연구 조직으로 운영한다. 대규모 컴퓨팅 파워 확보를 위해 공공 및 민간이 보유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뷰노는 25일 삼성서울병원 및 삼성전자와 ‘Mobile X-ray용 AI CAD(Computer Aided Diagnosis, 컴퓨터 보조 진단) 신기술 개발’을 위한 3자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25일에 삼성서울병원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에는 ㈜뷰노 대표, 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연구원장, 삼성전자 의료기기사업부장 및 3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세 기관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Mobile X-ray 장비의 사용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인공지능 기반 X-ray 판독 보조 소프트웨어 신기술을 공동으로 개발 및 검증해갈 예정이다. 김현준 뷰노 대표는 “뷰노의 인공지능 기반 X-ray 기술은 ‘Radiology’를 비롯한 세계적인 학술지에서 임상적 가치를 입증하는 한편, 다양한 임상 현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면서 입지를 다져왔다”고 말했다. 김현준 대표는 “이번 협력을 통해 글로벌 의료장비 기업 및 의료기관과 함께 의료 현장 수요가 높은 다양한 기능을 자사의 인공지능 기술로 구현하는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규성 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연구원장은 “이번 MOU를 통해 신속 정확한 임상판단 보조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진료현장에서 발생하는 응급
내년 2월 출시 예정, 3D프린팅융합의료학회에서 제품 시연 3D PLM & ICT 선도 기업인 솔리드이엔지(대표이사 김형구,www.solideng.co.kr)가 4차산업혁명 관련 신사업으로 의료분야 ‘3D프린팅 환자맞춤 상하지보조기 3D 설계’ 소프트웨어 'MediACE3D'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솔리드이엔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고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주관하는 “ICT 기반의 의료용 3D프린팅 응용SW플랫폼 및 서비스 기술개발” 사업에 참여해 템플릿 설계 특허 기술이 적용된 환자 맞춤 상하지 보조기 전문 3D 설계 소프트웨어를 삼성서울병원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개발해왔다. 내년 2월에 출시될 예정인 MediACE3D는 재활의학분야 보조기 3D 설계 전문 소프트웨어로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제작을 지원하는 국내 최초의 보조기 전문 3D CAD 솔루션이다. 솔리드이엔지는 MediACE3D로 하지보조기와 상지보조기 뿐 아니라 인솔 및 소아두상교정기 등 다양한 의료보조기 영역으로 확장하여 독자 개발한 3D 템플릿 기술을 적용하여 쉽고 빠르게 보조기 3D 모델을 생성하고 3D 프린팅 제작을 지원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