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한국은행 경남본부 '경남 소재·부품 장비산업 발전방안' 보고서 경남 소재·부품 산업이 혁신하려면 제조 현장에서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산업연구원 정만태 선임연구위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원동규 R&D 투자분석센터장·한국노동연구원 황승진 초빙연구위원·한국은행 경남본부 장태윤 조사역은 25일 '경남지역의 소재·부품·장비산업 발전방안' 보고서를 25일 공개했다. 2019년 일본이 반도체 핵심 소재에 대한 수출관리 강화를 발표하고 수출 절차 간소화 혜택을 주는 '백색국가'(화이트 리스트) 명단에서 우리나라를 제외하면서 국내 소재·부품·장비산업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 표. 한국은행 경남본부 보고서 발췌 (출처:연합뉴스) 경남은 창원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2018년 기준 부품·장비 산업 생산액이 63조4천60억원으로 전국 부품·장비 산업 생산액의 7.7%를 차지한다. 같은 기간, 종사자 수는 전국 10.9%(15만4천369명), 사업체 수는 전국 11.6%(3천303곳)를 점했다. 보
[첨단 헬로티]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경제와 산업의 활력 회복과 재도약을 위해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성 장관은 지난 12월 28일 진행한 신년사에서 “새해 우리 경제와 산업을 둘러 싼 여건은 여전히 녹록지 않다”면서 “우리 모두가 힘을 모은다면 어려운 여건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새로운 미래를 여는 기회를 만들 수 있다”고 이같이 말했다.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그는 “2018년 말 발표한 ‘제조업 혁신전략’과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 제고 방안’, ‘조선산업 활력 제고 방안’의 후속 조치에 속도를 내겠다”며 “지자체와 함께 14개 지역 활력 회복 프로젝트의 성과를 조기에 가시화하고, 자동차·조선 업종의 일감확보, 세제·금융지원 방안도 차질 없이 실행에 옮기겠다”고 밝혔다. 또 성 장관은 “지자체와 함께 14개 지역 활력 회복 프로젝트의 성과를 조기에 가시화하고, 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