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이트 필드(Bright field)와 다크 필드(Dark field)는 머신비전 전문가가 비전 검사에서 조명을 검토할 때 사용하는 용어다. 브라이트 필드와 다크 필드를 활용해 조명 각도를 조절하면 표면 검사를 진행할 때 검사하고자 하는 영역을 균일하고 선명하게 부각할 수 있어 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브라이트 필드에 대한 정확한 이해 머신비전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브라이트 필드와 다크 필드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브라이트 필드를 화각(FOV)과 혼동하곤 한다. 그러나 브라이트 필드와 화각(FOV)은 광학 및 이미징 분야에서 분명 서로 다른 개념이다. 브라이트 필드는 렌즈나 광학 장치에서 빛이 모이는 영역을 가리키는 용어로 빛을 모으거나 집중시키는 영역을 나타낸다. 반면 화각은 카메라나 눈이나 기타 광학 장치로 볼 수 있는 시야의 넓이를 말한다. 즉, 화각이 넓을수록 한 장면에서 볼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브라이트 필드는 광을 모으는 영역에 관한 것이고 화각은 시야의 넓이에 관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브라이트 필드는 아래 면이 거울이
고정밀도 AI 비전 검사에 최적화...효율성·생산성↑ ‘비전문가 활용성 제고’ SICK Nova Foundation 소프트웨어 장착 씨크(SICK)가 인공지능(AI) 기반 머신비전 시스템 ‘Inspector83x’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고속 생산라인에 특화된 AI 비전 검사 솔루션으로, 품질검사 영역에서 고도화된 효율성과 생산성을 달성하는 데 기여한다. 또 해당 솔루션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카메라에 일부 샘플 및 레퍼런스를 적용하는 작업만으로 초기 설치가 가능한 점이다. 구체적으로, 복잡한 생산 현장을 관리하는 사용자는 시크의 웹 서비스 컴퓨팅 기능인 ‘dStudio Cloud’를 통해 분류 작업을 훈련한 자체 신경망을 자율적으로 다룰 수 있다. Inspector83x에 접목된 하드웨어는 최대 5MP의 해상도 및 고사양 조명이 이식돼 검출 정확도가 향상됐다. 아울러 쿼드코어 CPU가 탑재됐고, 산업용 네트워크 기반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 기기 자체적으로 AI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결함 및 이상 감지, 분류 등 품질검사 공정을 수행하는 머신비전 검사는 초당 최대 15회급 성능으로 알려졌다. 이 성능은 소비재(Fast-Moving Co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한국에서 초창기에는 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용도로 사용되던 머신비전 기술은 점점 더 다양한 분야로 그 적용 범위가 확장되어 왔다. 최근 들어 머신비전 시스템은 반도체, 이차전지, PCB, 모바일 기기 등의 제조 공정을 포함한 대부분의 첨단 제조업에서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비롯한 생산성 혁신 활동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기존에 단순히 더 작은 크기의 불량을 검사해야 하는 필요에서 벗어나서 근래에는 훨씬 더 다양하고 복잡한 종류와 형태의 불량을 검사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기술적 수요가 변화 발전함에 따라 머신비전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검사 방법도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맞춰서 발전하게 된다. 이번 원고에서는 비전 검사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빛의 특성들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하는 사례를 소개하려고 한다. 이와 같은 접근을 통해 단순히 2D, 3D로 구분되어 있는 현재의 머신비전 기술을 좀더 광학 중심적으로 들여다보고 다양한 니즈에 적합한 검사 방법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빛의 특성 지금까지 머신 비전에서 주로 사용돼 왔던 검사는 렌즈를 통해 우리가 보고자 하는 불량을 검출하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이와 같은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머신비전/RFID 활용 전략 세미나’가 26일 오후 1시 창원 CECO 6층 세미나룸 600호에서 개최된다. 본 행사는 2021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기술제조전(SMATOF)의 부대행사로 열린다. 인더스트리4.0 시대를 맞아 스마트제조 분야에서는 머신비전/RFID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혁신기술과 융합된 머신비전이 육안으로는 할 수 없는 다양한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업무와 생산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외에도 RFID는 자산관리, 재고관리 등 이력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주최사인 첨단은 머신비전/RFID에 대한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 부울경(부산, 울산, 경남)의 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머신비전/RFID 활용 전략 세미나’를 준비했다. 첫 발표로는 아시아나IDT 한주철 팀장이 나서 ‘제조업의 RFID 적용사례를 통해 살펴본 RFID 활용법’이라는 주제로 RFID를 활용하기 위한 팁을 공유한다. 다음으로 LMI테크놀로지 소한별 지사장은 ‘쉽게 접근하는 3D와 적용 사례’ 발표를 통해 3D 센서의 역할과 적용 사례를 발표한다. 뉴로클 이홍석 대표는 ‘Auto Deep Learning 비전 검사와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넥스트랩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Beyond X-Ray와 WideNet Camera 제품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Beyond X-Ray는 AI기반 검사엔진으로, 재질/모양에 관계없이 제품 속에 있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탐지할 수 있고, 더불어 부착된 장식물의 종류별 수량 자동 계수, 비전 기반 외관검사를 동시에 지원해 검사 공정 통합을 실현할 수 있다. WideNet Camera는 넓은 공간을 비전 기반으로 측정해 그 공간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AI 기반으로 분석하는 카메라 제품이다. 기존의 제품들보다 넓은 면적을 촬영할 수 있어 설치 수량을 줄일 수 있고, 영상촬영과 분석이 하나의 디바이스 안에서 모두 이뤄져 서버구축 등 별도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넥스트랩은 창립 이래 AI, 영상처리 관련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수행해오면서 영상처리에 특화된 고유의 AI 플랫폼 Beyond AI를 확보했으며, 자체 역량으로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쓰리디산업영상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비전 검사 시스템 ‘핀박스’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핀박스는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필수요소인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용 가능한 비전 검사 시스템이다. 검사제품 사출부터 제품 양불 판정 및 제품 적재의 공정까지 가능케 하는 솔루션으로 산업용 카메라를 이용해, 치수불량, 미성형, 부품누락, 표면이상, 이물 및 오염 등의 불량을 검사한다. 쓰리디산업영상의 비전 전용 소프트웨어 AnyLook은 산업용 카메라를 이용해, 치수불량, 미성형, 부품누락, 표면이상, 이물 및 오염 등의 불량을 검사한다. 검사 대상의 제품이 변경되거나 검사사양이 추가되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새로운 작업을 생성하거나 기존의 작업을 편집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라온피플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AI를 기반으로 한 각종 자동화 통합 솔루션들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NAVI AI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이미지를 학습하고 분석하기 때문에 기존 비전 검사 방식으로는 검출이 어려운 불량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육안 검사에 의존하던 부분을 자동화해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발생하는 품질 편차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LPMVC-CL025M-G는 CameraLink 인터페이스와 Global Shutter가 적용된 25Mp CMOS 카메라로, 외부 노이즈에 강해 합리적인 비용으로 비전 검사에 최적화된 고화질 영상을 제공하는 카메라다. AI 비전 기술은 작업자 개입을 최소화해 공장 자동화를 질적으로 개선하며 복잡하고 정교한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AI의 학습 및 의사 결정에 필요한 데이터는 정확하고 신뢰도가 높아야 한다. 라온피플의 AI 플랫폼인 ADAMS는 AI가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유니아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각종 머신비전 솔루션들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공정 모니터링 솔루션은 생산 공정 상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생산정보를 실시간 수집 및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해 운영자가 빠르게 문제 상황을 파악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범용 비전 검사 솔루션은 산업용 카메라와 소형 PC를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대상체의 외형, 밝기, 크기, 위치 등을 분석해 결함을 검사하는 알고리즘과 문자 인식 기능을 제공한다. 고정밀 패널 정렬 솔루션은 디스플레이 패널, 커버 글라스, 필름 부착 공정 등 다양한 평면 패널 생산 공정에서 검사 또는 물류를 위해 정렬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모션 구동을 하는 설비에 제공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쓰리디산업영상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비전 검사 시스템 ‘핀박스’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핀박스는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필수요소인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용 가능한 비전 검사 시스템이다. 검사제품 사출부터 제품 양불 판정 및 제품 적재의 공정까지 가능케 하는 솔루션으로 산업용 카메라를 이용해, 치수불량, 미성형, 부품누락, 표면이상, 이물 및 오염 등의 불량을 검사한다. 쓰리디산업영상의 비전 전용 소프트웨어 AnyLook은 산업용 카메라를 이용해, 치수불량, 미성형, 부품누락, 표면이상, 이물 및 오염 등의 불량을 검사한다. 검사 대상의 제품이 변경되거나 검사사양이 추가되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새로운 작업을 생성하거나 기존의 작업을 편집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뉴로클(대표 이홍석)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뉴로클은 SF+AW 2021에서 AI 오토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 제품을 전시한다. 뉴로클은 손쉽게 딥러닝 기반의 비전 검사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는 오토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다. 뉴로클의 Auto Deep Learning Vision Software인 뉴로티&뉴로알(Neuro-T&Neuro-R)은 ▲오토 딥러닝 알고리즘(클릭과 드래그만으로 딥러닝 모델 자동생성) ▲데이터 관리 시스템(체계적인 학습 데이터 관리 구조)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전기/전자/반도체/PCB/배터리/자동차부품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기술 지식에 관계없이 손쉽게 기술을 도입할 수 있는 제품이다. 뉴로클은 인공지능 딥러닝 비전 기술을 바탕으로, 기술 사용이 어려웠던 일반 사용자까지 자유롭게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의 효용을 누릴 수 있도록 GUI 기반의 딥러닝 비전 학습 소프트웨어(Neuro-T & Ne
[첨단 헬로티] 산업용 센서 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가 CC-Link 통신 가능한 2상 컨트롤러 일체형 클로즈 루프 스테핑 모터 시스템 ‘AiC-CL 시리즈’를 출시했다. CC-Link 통신 타입 AiC-CL 시리즈는 미쓰비시 PLC 제어 환경에서 별도의 모션 모듈이나 컨트롤러 없이 제어가 가능하며 최대 42축까지 개별 및 동시 다축 제어가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 AiC-CL 시리즈 또한 10,000 PPR 총 10단계 분해능으로 최고 0.036°까지 고정밀 제어가 가능하며 고토크 구현으로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더욱이 정지 시에 미세 진동(헌팅)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정밀한 제어가 필요한 반도체 칩 마운터, 비전 검사 내 회로 검사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최대 42축 제어 가능 △경보/상태 표시부(7 세그먼트)로 경보 및 상태 확인 가능 △빠른 응답성으로 단거리 연속 기동에 유리 △ 정지 시 미세 진동(헌팅)이 없어 비전 검사기 등 정밀 검사 장비에 적용 가능 등의 특징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첨단 헬로티] “딥러닝 기반 SW 검사 솔루션과 3D 카메라 이용한 다양한 솔루션 공급으로 스마트 팩토리 핵심 솔루션 공급업체 되겠다.” 넥스버의 양혁준 이사는 포화 상태인 머신비전 시장에서 눈을 돌려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필요한 딥러닝과 3D 솔루션을 차세대 먹거리로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다고 말한다. 오는 3월에 열리는 오토메이션월드에서는 산업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Virtual fence 솔루션과 작업자 개인 안전장비 착용 여부 검사 시스템을 선보일 예정이다. 양혁준 이사를 만나 앞으로 계획을 들어봤다. ▲ 넥스버 양혁준 이사 Q. 주력 사업은. A. 넥스버는 머신비전 검사 및 3D 관련 솔루션 분야에서 다년간의 경험을 가진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회사이다. 카메라, 렌즈, 조명 등 머신비전 장비에 필요한 컴포넌트 및 산업용 임베디드 모듈을 만드는 업체들과 파트너십을 통해서 고객에게 제안 및 판매를 하고 있다. 현재는 딥러닝 기반 소프트웨어 검사 솔루션과 3D 카메라를 이용한 다양한 솔루션을 추가하여 산업설비의 무인자동화와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필요한 전반적인 핵심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Q. 넥스버의 3D 관련 솔루션은 어
라온피플(주)은 ‘Automotive Expo 2017’에서 자동차 비전 검사에 최적화된 다양한 솔루션을 전시했다. 특히, 올해 전시회에서는 10개 이상의 동적 데모를 통해 참관객들의 직접 참여를 이끌어내 큰 호응을 얻었다. 라온피플㈜은 지난 7월 19일부터 21일까지 양재 AT센터에서 진행한 ‘Automotive Expo 2017’에서 자동차 비전 검사와 관련한 차별화된 다양한 기술을 선보여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번 전시회에서 특히 딥러닝(Deep Learning)을 이용한 다양한 인공지능 비전 솔루션이 참관객과 관련 기업 담당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이 솔루션은 기존 비전 검사 장비로 해결 하지 못한 부분을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해결하였고, 사람이 직접 육안으로 검사하여야 하는 어려운 문제도 쉽고 강력하게 해결할 수가 있다. 기존에는 부품의 유무 검사나 정형화된 불량에 대해서는 검사가 가능했지만,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NAVI AI’를 이용하면 부품의 분류 및 비정형 불량 검사와 복잡한 배경에서의 광학문자판독 등 까다로운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정밀하고 일관성 있는 치수 검사 솔
프로비젼테크놀러지는 20년의 노하우를 축척한 검사장비 전문 기업으로, 영상처리에 필요한 기계설계, 영상처리 프로그램 기술과 각종 컨트롤러의 하드웨어 기술, 광학 및 조명기술 등을 손쉽게 해결하는 모든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머신비전에 필요한 컴포넌트 및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비전시스템의 핵심 부품인 스마트카메라는 물론, 사용하기 편리한 각종 소프트웨어와 각종 컨트롤러 및 특수 렌즈, 조명 등을 비롯해 시스템 제작에 필요한 기계설계를 제공하는 등 고객 맞춤형으로 검사장비의 모든 솔루션을 포함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영상처리 및 비전 검사 솔루션을 동시에 공급하고 있다. SPC-Ex 이 제품은 케이스를 포함해도 ITX 보드 사이즈보다 작은 소형 PC 시스템으로, 다수의 PC를 설치할 수 없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 가능하며 기존 장비 업그레이드 및 소형 검사 장비 개발이 가능하다. 스위칭 허브를 통해 하나의 이더넷 포트에 카메라를 여러 개 연결하던 방식에서 PC 한 대에 네 개의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를 이용해 카메라 대 PC를 1:1 연결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트래픽 또는 프레임 누락, 지연 등과 같은 문제를
[헬로티] 2008년 설립한 아이디맥스는 휴대폰과 자동차 시장에 자동인식 및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며 성장했고, 이를 바탕으로 비전 검사와 마킹 시스템, 센서 등 다방면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팩토리 시대에 맞는 편의성 높은 검사 장비와 솔루션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김태연 대표를 만나 자세히 들었다. Q. 요사이 아이디맥 활동이 두드러지던데요. 아이디맥스는 2008년 자동인식 및 자동화 솔루션 사업을 기반으로 설립되었으며 휴대폰, 자동차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검사, 가이드, 이력 관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기술을 개발, 공급하고 있습니다. 휴대폰의 카메라, 배터리, 케이스, 포장 등과 같은 각 파트별 생산 이력 관리용 BCR/OCR Vision 검사와 데이터 수집, 레이저와 잉크마킹 같은 DPM(Direct Part Making) 마킹 시스템, 각종 측정을 위한 센서 공급 등 다각도로 사업 분야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Q. 제품 라인업과 제품 경쟁력은 무엇인지요. 현재 코그넥스의 바코드 리더, 스마트 비전 시스템, 이미지 기반의 센서와 Vision-PRO 비전 SDK를 기반의 Inspection MAX2와 Guide MAX2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