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가 노르딕의 고성능 블루투스 5 인증 SoC에 메모리를 최적화한 'nRF52810 블루투스 LE (Bluetooth Low Energy) SoC'의 대량생산을 시작하고 전 세계 고객들에게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노르딕의 nRF52810은 이미 고객들에게 입증된 nRF52832(nRF52810과 핀-호환) 및 고사양의 nRF52840 SoC와 함께 노르딕의 nRF52 시리즈 포트폴리오를 완성시켰다. 이 제품의 양산 제품 출시는 노르딕의 S112 SoftDevice(노르딕의 최신 RF 블루투스 5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또는 스택)와 새로운 버전의 노르딕 nRF5 SDK(Software Development Kit)와 함께 제공된다. 뿐만 아니라 완벽한 주변장치 드라이버를 갖춘 프로덕션-레디 개발 툴도 nRF52810 SoC를 위해 지원된다. 노르딕의 nRF52 시리즈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nRF52810 SoC는 nRF52 시리즈 중 가장 낮은 전력을 소모하며, 블루투스 5의 2Mbps의 빠른 전송속도와 개선된 공존성, 그리고 애드버타이징 확장 기능을 통한 향상된 브로드캐스트 처리량을 가장 비용에 민감한 대량생산 애플리케이션에 제공
[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가 자사의 nRF52832 SoC를 기반으로 블루투스 5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프로덕션-레디(Production-Ready) 블루투스 5 소프트웨어 솔루션인 S132 v5.0 및 nRFSDK v14.0을 출시한다. 노르딕이 이번에 출시하는 솔루션은 20-링크 다중 기능을 지원하는 사전 검증된 블루투스 5 프로토콜 스택으로, 모든 기능 조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풀 링크를 제공한다. 또한 향상된 성능의 2Mbps PHY를 비롯해 블루투스 5의 새로운 기능도 지원한다. 개발자들은 2Mbps PHY를 통해 블루투스 저에너지의 높은 처리량과 증가된 데이터 대역폭을 실현해볼 수 있다. 이전에 비해 2배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기존 전력 버짓을 최대 50%까지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밖에도 L2CAP 접속-지향(Connectin Oriented) 채널과 네트워크 개인정보보호, 새로운 블루투스 채널 선택 알고리즘(CSA #2) 등이 포함됐다. CSA #2는 첨단 채널 호평 시퀀스를 도입해 혼잡한 2.4Ghz 대역에서 블루투스 저에너지 장치간의 상호운용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132 v5.0과 함께 제공되는
[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가 최첨단 고성능 블루투스(Bluetooth®) 저에너지 SoC(System-on-Chip) 제품군인 nRF52 시리즈의 최신 제품을 출시했다. 노르딕에서 출시한 nRF52810은 입출력 포트 및 메모리를 최적화한 제품으로 현재 마켓에서 제공되는 블루투스 5 솔루션들에 비해 보다 손쉽게 접근이 가능한 단일 칩 솔루션이다. 이 SoC는 가장 비용에 민감한 대량생산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블루투스 5의 핵심 성능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 블루투스 4.2 기반 기존 블루투스 저에너지 솔루션에 비해 2배의 데이터 대역폭(2Mbps)를 제공하며, 특히 비콘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애드버타이징 패킷 페이로드 크기를 251byte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 확장 기능을 갖춰 브로드캐스팅 성능이 8배까지 향상된다.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블루투스 5 솔루션 nFR52810 IoT용 네트워크-연결 센서 및 비콘 빌딩 블록과 저가형 웨어러블 기기, 컴퓨터 및 태블릿용 무선 마우스와 키보드, 장난감, 일회용 의료용 모니터링 장치, 기본 RF 리모콘 등이 이 SoC의 주요 타킷 애플리
[헬로티] TI는 더 많은 메모리, 블루투스(Bluetooth) 5 지원 하드웨어, 오토모티브 인증 및 새로운 초소형 WCSP(wafer-chip-scale package) 옵션을 제공하는 확장 가능한 SimpleLink 블루투스 저에너지 무선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제품군 2종을 출시했다. 이 새로운 디바이스는 ARM Cortex-M3 기반 MCU, 자동 전력 관리, 매우 유연하고 완전한 기능을 갖춘 블루투스 호환 라디오와 저전력 센서 컨트롤러 등 단일 칩 하드웨어 및 통합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포함해 높은 통합성을 제공한다. TI에 따르면, 새로운 SimpleLink CC2640R2F 무선 MCU는 더 많은 메모리를 탑재해 풍부하고, 빠르게 반응하는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어 사물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 디바이스는 TI에서 가장 작은 4x4mm QFN 패키지 크기보다도 작은 2.7x2.7mm의 WCSP 옵션으로 제공되며, 가장 적은 전력으로 가장 긴 도달 범위를 제공한다. CC2640R2F는 확장된 도달 범위, 빠른 속도, 증가된 데이터 전송 용량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5 핵심 규격을 제공하므로 건물 자동화, 의료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블루투스(Bluetooth®) 5 소프트웨어 스택과 블루투스 5 SDK를 선보였다. 이 소프트웨어 스택과 SDK를 이용할 경우, 블루투스 5의 향상된 동작 범위와 데이터 처리량을 제공하는 노르딕의 최신 블루투스 5-레디 nRF52840 SoC(System-on-Chip)를 기반으로 차세대 애플리케이션을 즉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소프트웨어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노르딕의 nRF52832 SoC 상에서도 블루투스 5의 고속(2Mbps) 처리량을 지원할 수 있다. 노르딕 세미컨덕터가 블루투스 5 지원 솔루션을 발표함에 따라, 노르딕의 블루투스 저에너지 무선 기술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새로운 블루투스 5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가장 먼저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블루투스 5는 최근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가 공식적으로 채택한 최신 버전의 블루투스 무선 기술의 핵심 규격이다. 블루투스 5는 보다 긴 동작 범위와 처리량 개선으로 스마트 홈이나 웨어러블, IoT 애플리케이션에서 블루투스 무선 기술의 적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또한 블루투스 4.2에 비해 훨씬 많은 기기와 노드를 연결할 수
[헬로티] Bluetooth SIG는 ‘블루투스5’가 블루투스 핵심 규격의 최종 버전으로 채택됐음을 공식 발표했다. 블루투스5는 이전 버전 대비 확장된 도달 범위, 속도 및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용량 뿐만 아니라 향상된 타 무선 기술과의 호환 및 공존 기능을 핵심으로 한다. Bluetooth SIG에 따르면, 블루투스 5는 이전 버전 대비, 4배의 도달 범위, 2배가량 향상된 속도, 8배 확장된 브로드캐스트 용량을 갖추고 있다. 도달 범위의 확장으로 집안 및 건물 전체,야외에서도 견고하고 신뢰성 높은 사물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5는 충돌가능성을 현저히 낮춰, 점점 복잡해지는 글로벌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타 무선 기술과의 공존이 가능하도록 업데이트됐다. 이밖에도, 개발자가 기기나 응용 사례의 요구에 따라 변형할 수 있는 유연성과 업계를 선도하는 저전력 성능 또한 두루 갖췄다. 시장조사 연구 기관인 ABI 리서치는 2021년까지 전 세계에 약 480억개 이상의 인터넷 연결 기기가 설치될 예정이며, 그 중 1/3 가량의 기기에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될 것으로 전망했다. 사물인터넷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결정적인 시기에 블루투
Bluetooth SIG는 최근 블루투스 신버전인 블루투스 5를 공개했다. 블루투스 5는 빠르면 올 하반기 늦어도 내년 상반기 중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 이 제품은 이전 버전에 비해 확연히 향상된 전송거리, 속도, 브로드캐스트 메시징 용량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범위의 확장은 집안 전체, 건물 및 야외에서의 사용을 실현하는 견고하고 신뢰성 높은 사물인터넷 연결을 제공한다. 속도의 증가는 데이터 전송을 보다 빠르게 하며 응답성능을 최적화한다. 브로드캐스트 용량의 확장은 비콘, 위치 관련 정보 제공, 그리고 내비게이션 기능 등의 차세대 ‘비연결’ 서비스들을 활성화할 것으로 보인다. Bluetooth SIG는 현재 3만 여명 회원사들에게 접근성 및 상호 운용성을 지닌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지원한다. Bluetooth SIG 마크파월(Mark Powell) 전무이사는 “블루투스 5는 사람들의 사물인터넷 경험을 더욱 간편하고 원활하게 변화시킬 것”이라며, “전송거리의 확장은 일반적인 집에서의 사용범위를 넘어서는 곳에 위치한 사물인터넷 기기로까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속도의 증가는 데이터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