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삼성전자가 3분기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매출을 제외하고도 인텔을 꺾고 글로벌 반도체 1위 자리에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9월 20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는 올해 3분기 삼성전자의 반도체 매출 점유율이 14.11%를 기록하며 세계 1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2위인 인텔의 점유율(12.09%)보다 2%포인트 이상 높은 수치다. 옴디아는 반도체 기업의 매출 조사에서 파운드리 실적을 포함하지 않는다.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삼성전자의 반도체 매출 점유율은 13.12%로 인텔(13.53%)에 근소하게 뒤져 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3분기에 D램 등 메모리 가격 상승과 판매량 증가로 인텔의 실적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3위는 SK하이닉스로 3분기 점유율이 2분기(6.37%)보다 늘어난 6.80%로 예상됐다. 이어 마이크론 테크놀로지(5.39%), 퀄컴(4.41%), 브로드컴(3.40%), 미디어텍(3.09%)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파운드리 부문의 실적을 포함하는 IC인사이츠 조사에서는 삼성전자가 이미 2분기에 인텔을 따라잡았다. 삼성전자 매출은 202억9,700만 달러(약 24조원), 인텔은 193억400만 달러(약
[헬로티] 삼성전자가 최신 SAS-4 표준을 지원하는 엔터프라이즈 서버용 SSD를 출시했다. ▲SAS 표준 최고성능 서버용 SSD ‘PM1653’ SAS(Serial Attached SCSI)는 서버나 대형 컴퓨터의 스토리지 장치에 쓰이는 고속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로, SAS-4는 SAS-3에 비해 약 2배 향상된 22.5Gbps의 속도를 지원한다. 삼성전자가 출시한 PM1653은 6세대 V낸드가 처음으로 적용된 초고속 엔터프라이즈 서버 전용 SAS-4 SSD로 800GB부터 최대 30.72TB까지 고객 수요에 맞춰 다양한 용량으로 출시한다. 삼성전자는 이번 제품을 탑재한 엔터프라이즈 서버가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서비스하도록 임의읽기 성능을 업계 최고 수준인 800K IOPS로 구현했다. 연속읽기 성능도 이전 세대 제품에 비해 약 2배 향상된 4,300MB/s를 제공한다. 이번 제품은 SAS-4 표준뿐 아니라 SAS-3을 비롯한 이전 표준의 인터페이스도 함께 지원해 고객들이 엔터프라이즈 서버를 보다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게 했다. 듀얼포트를 지원하는 PM1653은 한 포트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포트를 통해 서비스가 가능해 서버 운영
[첨단 헬로티] 최근 몇년간 반도체 업계를 강타한 대규모 M&A 시대는 끝났을까? 시장조사기관인 IC Insights는 적어도 거래 규모에서는 정점에 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최근 퀄컴(Qualcomm)이 440억 달러 규모의 NXP 반도체 인수를 포기함에 따라 정부 규제 감시 강화, 고액 거래의 복잡성 및 무역 전쟁의 확대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대형 M&A의 감소로 이어졌다고 IC Insights는 분석했다. IC Insights는 보도자료를 통해 현재의 지정학적 환경과 무역 마찰 등으로 400억 달러를 넘는 M&A 건이 발생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전망했다. 지금까지 발표된 반도체 업계의 대형 M&A 10건 중 8건은 과거 3년 동안 이뤄졌다. 퀄컴의 NXP 반도체 인수 포기와 올해 초 중국 기업들에게 셀룰러 기술의 유출을 우려한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퀄컴의 브로드컴 인수 저지 등은 주목을 받았다. IC Insights는 2015년부터 2018년 중반의 반도체 업계의 M&A의 거래 금액은 총 2,450억 달러로 집계하고 있다. 거래 규모가 최대였던 것은 2015년으로 1,073억 달러에 달했다. 한편,
[첨단 헬로티] 2017년 글로벌 MEMS 시장에서 랭킹 1위 기업은 어디일까? 로버트 보쉬(Robert Bosch)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를 떠올리겠지만, 브로드컴(Broadcom)이 바로 1위의 주인공이다. 시장조사 기업인 Yole Développement가 지난 5월에 발표한 MEMS 보고서에 따르면, 브로그컴은 2017년에 RF MEMS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MEMS 업계 최고 단골 제조업체를 처음으로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4G는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종류의 대역을 지원해야 한다는 복잡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무선 필터에 대한 수요가 그 어느 때보다도 급증했다. 이는 RF MEMS를 갈망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러한 경향은 업계 전체가 5G로 방향 선회가 강해지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Yole Développement은 "RF MEMS(BAW 필터)는 MEMS 시장 전체를 끌어 올리는 가장 강력한 엔진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2011 ~ 2023년 MEMS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CAGR)은 RF를 제외 경우는 9%, RF MEMS를 포함한 경우는 17.5%로 수직 상승해 나갈 전망"이라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2018년 1월 전세계 반도체 산업 매출이 전 분기 대비 3.4 % 감소한 1158 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 같은 실적은 무선 통신 시장의 매출 감소의 영향에 따른 결과다. 반면, 자동차와 소비 가전 반도체와 같은 다른 분야는 매출 성장을 보였다.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반도체 매출 순위 6위로 무선통신 반도체를 대표하고 있는 퀄컴(Qualcomm)은 전 분기 대비 13.6% 하락하며 두 자릿수 이상 감소해 40억 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또 5위인 브로드컴도 전분기 대비 5.1% 감소한 점이 전체 반도체 매출 감소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 밖에 반도체 매출 10위권 밖에 있는 무선통신 반도체 기업인 스카이웍스 솔루션(Skyworks Solutions)와 코보(Qorvo) 또한 두 자릿수로 감소했다. 반면, 메모리 부문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엔터프라이즈와 스토리지 시장에서 메모리 구성 요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1 분기 1.7 %의 높은 성장을 기록해 397 억 달러를 기록다. 실제로 서버 DRAM에 대한 강한 수요로 인해 지난 4 분기 동안 DRAM 가격과 출하량이 모두 증가했다. 그러나 NAND는 지난해 4분기의
[첨단 헬로티] 반도체 업체 브로드컴이 새 위성항법시스템(global positioning satellite: GPS) 신호를 사용해 정확도를 끌어올린 스마트폰 칩 BCM47755를 2018년 선보인다. 새 칩은 내년에 일부 스마트폰에 적용될 예정이다. 어느 제품일지 대해 브로드컴은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브로드컴에 따르면 BCM47755는 GPS 정확도를 현재 5m에서 30cm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이에 따라 위치정보 서비스의 정확도가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위성항법시스템은 수신기를 탑재한 기기의 위치와 시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우주 궤도를 돌고 있는 특정한 인공위성의 신호를 지상에서 받아 위치·고도·속도를 계산할 수 있게 한다. 인공위성과 수신기, 지상의 감시체계로 구성된다. 위상항법시스템으로는 미국이 개발하는 GPS, 유럽이 주도하는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ervices), 일본 QZSS, 러시아 글로나스 등이 있다. 브로드컴 BCM47755는 위성 합법 기술의 정확도를 센티미터 수준으로 끌올리려는 최신 행보 중 하나다. 유럽이 주도하는 GNSS( global navi
[첨단 헬로티] 200억달러 규모로 예상되는 도시바 반도체 사업 인수전에서 브로드컴이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일본의 아사이신문이 6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파이낸셜타임스 등 외신들도 아사이신문을 인용해 관련 내용을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도시바는 브로드컴과 이달초 마무리 협상을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브로드컴은 사모펀드인 실버 레이크와 손잡고 도시바 반도체 사업 인수전에 참여하고 있다. 브로드컴 외에 도시바 반도체 사업 인수전에는 폭스콘, 웨스턴 디지털, 미국 사모펀드인 베인캐피털이 한국의 SK하이닉스와 컨소시엄을 이뤄 뛰어들었다.
[헬로티] IC 인사이트가 2016년 반도체 연구개발비에 대한 기업별 순위를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4위를 차지했다. IC 인사이트에 따르면, 인텔이 전년 대비 5% 증가한 127억 달러로 1위를 차지했다. 이 수치는 상위 10개 기업의 연구 개발비의 36%이며, 전체 반도체 산업 연구개발비의 23%에 해당한다. IC 인사이트는 "IC 기술의 개발 비용이 증가하는 가운데, 인텔의 매출에서 차지하는 연구 개발비의 비율은 지난 20년 동안 크게 상승했다"고 말했다. 1995년에는 9.3%, 2005년 14.5%였던 연구 개발비 비율이 2016년에는 22.4%로 대폭 늘어났다. 인텔에 이어 퀄컴, 브로드컴, 삼성전자, 도시바가 각각 5위 안에 랭크됐다. 퀄컴은 2015년에 인수한 CSR과 Ikanos Communications의 연구 개발비도 포함되어 있지만, 전년 대비 7% 감소한 51억 달러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퀄컴의 연구 개발비가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3.1 %로 상위 10개사 중 가장 높다. 3위는 전년 대비 4% 감소한 32억 달러를 기록한 브로드컴이 차지했다. 4위는 삼성전자가 올랐다. 연구 개발비가 전년 대비 11% 증가한 29억 달러였지
[헬로티] 2015년에 이어 2016년에도 반도체 업계에는 인수합병(M&A) 광풍이 몰아닥쳤다. 2015년의 경우, 100억 달러를 상회하는 인수합병이 4건에 달하며 반도체 역사상 가장 커다란 지각변동이 일어났던 해였다. 2016년 역시 뚜껑을 열어보니 100억 달러를 초과한 인수합병 거래가 3건, 특히 퀄컴의 NXP반도체 인수와 소프트뱅크의 ARM 인수 등 사상 최고 금액의 인수합병이 이뤄졌다. 굵직굵직한 거래가 연속 발생하면서 2015년에 이어 2016년까지 반도체 업계의 M&A 거래 총액이 1000억 달러를 연속 돌파했다. 그렇다면 2017년은 어떨가? 우리가 놀랄만한 인수합병이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예측불허다. 전문가들이 바라보는 2017년도 반도체 업계 재편 분야는 아날로그 반도체다. ADI가 리니어테크놀로지를 인수했지만 여전히 로직과 메모리 영역에 많은 업체가 난립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바라보고 있다. 업계는 "최근들어 ADI의 리니어 인수, 온세미컨덕터의 페어차일드 인수 등 인수합병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며 "아날로그 반도체 업계의 재편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고 전망하고 있다. [그림:EE Times Japan] 2016년도 반
ADI, 리니어 품고 고성능 아날로그 시장서 강자로 우뚝 최근 2~3년 동안 반도체 업계에는 M&A 돌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 업계가 쉴새없이 재편되고 있다. 2015년에만 전체 M&A 금액이 1,000억 달러를 넘었을 만큼 블록버스터급 거래가 많았다. 아바고의 브로드컴 인수(370억 달러), 인텔의 알테라 인수(167억 달러), NXP 반도체의 프리스케일 반도체(118억 달러) 인수가 대표적이다. 그 뒤를 이어 최근에는 아나로그 디바이스가 리니어 테크놀로지를 전격 인수했다. 아나로그 디바이스(이하 ADI)가 리니어 테크놀로지를 148억 달러에 인수하면서, ADI는 고성능 아날로그 산업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 아날로그 IC 공급업체 순위 IC 인사이트가 발표한 2015년 글로벌 아날로그 IC 공급업체 순위를 보면, ADI는 4위, 리니어 테크놀로지는 8위에 각각 위치해 있다. ADI가 리니어를 품으면서 단숨에 인피니언을 제치고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에 이어 2위에 올랐다. 점유율로는 2015년 기준 전체 아날로그 IC 시장의 9%를 차지하게 됐다. 회사 관계자는 “인수 절차가 마무리되면 아나로그디바이스는 예상 연간 실
2030년까지 5억개 이상의 이더넷 포트가 자동차에 탑재될 듯 브로드컴 코리아는 지난달 3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PHY 통합 차세대 BroadR-Reach® 자동차 이더넷 스위치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이날 공개한 자동차 스위치 솔루션 28nm 디바이스는 독특한 디자인을 사용하여 과거 제품 대비 30%의 전력을 절감, 업계 최소 수준의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 브로드컴 티모시 라우 자동차 사업부 어소시에이트 디렉터 브로드컴은 지난달 3일 서울 대치동 브로드컴 코리아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자동차 중앙 게이트웨이,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인포테인먼트, 헤드유닛 및 정밀한 시간 제어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PHY 통합 차세대 브로드알-리치(BroadR-Reach) 자동차 이더넷 스위치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이날 공개한 자동차 스위치 솔루션은 28nm 디바이스는 독특한 디자인을 사용하여 과거 제품 대비 30%의 전력을 절감, 업계 최소 수준의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그림 1). 그림 1. 연결 비용의 80%와 케이블 무게를 30%까지 줄일 수 있다 티모시 라우(Tim Lau) 브로드컴 인프라스트럭처 &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