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제너럴모터스(GM)가 차량용 반도체 부족 때문에 멈췄던 전 세계 공장을 곧 재가동한다고 27일(현지시간) 밝혔다.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출처 : GM)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50% 수준에서 가동 중인 한국GM 공장 2곳이 5월 31일부터 100% 정상 조업에 들어간다. 부평 1공장은 지난달 19일부터 23일까지 완전히 문을 닫았다가 이후 50%의 가동률로 운영 중이고, 지난달까지 정상 가동하던 창원 공장은 이달부터 절반만 가동 중이었다. 부평 1·2공장은 트레일블레이저, 말리부, 트랙스를, 창원공장은 스파크를 각각 생산한다. 북미에서는 공장 4곳이 몇 주 내로 재가동에 들어간다. 지난 2월 5일부터 멈춰섰던 미국 미시간주 랜싱 그랜드리버 공장은 6월 21일부터 쉐보레 카마로 조립을 다시 시작한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같은 공장의 캐딜락 CT4와 CT5 조립은 이보다 1주 뒤부터 정상 가동된다. 캐나다 공장은 6월 14일 다시 가동을 시작하고, 멕시코 산루이스포토시 공장과 라모스아리스페 공장은 5월 31일부터 재가동된다.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이하 코로나19) 대유행의 여파로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에
[헬로티] 한국GM이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결국 다음주 부평1공장과 부평2공장의 생산을 중단한다. ▲출처 : 한국GM 한국GM은 차량용 반도체 칩 부족으로 19일부터 일주일간 인천 부평 공장 2곳의 생산을 중단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이후 운영 계획은 다음주 중 확정할 예정이다. 한국GM은 국내 완성차 업체 중 가장 먼저 반도체 수급난으로 생산 차질을 겪으며 지난 2월 8일부터 부평2공장의 가동률을 50%로 유지해왔다. 부평1공장과 창원공장은 정상 가동 중이었다. 부평1공장은 트레일블레이저를, 부평2공장은 쉐보레 말리부와 트랙스를 생산하고 있다. 한국GM은 "협력업체의 반도체 수급 해결책을 찾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긴밀히 협업 중"이라며, "이후 부평 공장의 생산 손실을 최대한 회복해갈 것"이라고 말했다.